•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ingredient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25초

홍삼과 청국장 혼합 분말의 색도,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 기호도 (Color, Volatiles and Organoleptic Acceptability of Mixed Powders of Red Ginseng and Cheonggukjang)

  • 권중호;신진기;문광덕;정헌식;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83-489
    • /
    • 2006
  • 홍삼과 청국장의 단일 및 혼합 분말의 향미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원료와 제조회사가 다른 홍삼(J사 6년근, P인삼조합 5, 6년근)과 청국장($A{\sim}E$사 제품) 단일분말 및 혼합분말의 색도,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기호도를 조사하였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색상은 시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홍삼의 경우 L값은 $75.56\sim85.50$, a값은 $1.90\sim6.30$, b값은 $23.29\sim35.08$이었고 청국장의 경우 L값은 $64.96\sim71.69$, a값은 $4.64\sim8.30$, b값은 $30.45\sim36.50$을 각각 나타내었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휘발성 성분은 시료별 차이를 보였으나 홍삼분말에서 주요성분으로는 hexanal, $\beta-pinene$, methyl benzene, 3,5-methyl propyl nonane, 2-propanone, decane, 2,8-dimethyl undecane 등이, 청국장분말에서는 2,3-butanedione, decane, 2,2,7,7-tetramethyl octane, 3-methyl butanal 등이 확인되었다. 홍삼과 청국장 혼합분말의 휘발성 성분의 양은 홍삼의 혼합양이 적어지고 청국장의 혼합양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혼합분말의 관능적기호도는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동량 혼합일 경우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며, 이 경우 주요 휘발성 성분은 2-propanone, 2-butanone, pentane, hexanal, 3-methyl butanal 등이었다. 이로써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향미특성은 제조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두 분말의 적정 혼합을 통하여 새로운 가공소재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RAW 264.7 큰포식세포에서 상백피 및 상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비교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ic mulberry extract on the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 김윤영;양윤경;김동민;김지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43-348
    • /
    • 2017
  • 상백피 및 상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상백피, 상지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산화질소(II), 프로스타글란딘 $E_2$, 인터류킨-6, 종양괴사인자-${\alpha}$ 등의 생성능과 COX-2, iNOS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산화질소(II) 생성량은 두 추출물 모두 유의하게 비슷한 정도로 감소시켰으나, 활성산소종 생성에서는 상백피 추출물이 상지 추출물 보다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스타글란딘 $E_2$와 인터류킨-6 생성에서는 상지 추출물의 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COX-2와 iNOS mRNA 발현량 또한 상지 추출물의 상백피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로 상백피, 상지 추출물 모두 염증 매개인자 발현 억제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상지 추출물이 상백피 추출물 보다 염증 완화 효과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상백피 및 상지 추출물의 주요 활성 성분들의 차이와, 염증완화 메커니즘을 통한 관련 질환에 효과가 있는지 정확한 작용메커니즘 확인 등의 분석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강황을 첨가한 팬 프라잉 화전의 품질 특성과 산화방지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an-fried Hwajeon added with curcuma as a functional ingredient)

  • 한아름;서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96-303
    • /
    • 2017
  • 산화방지활성을 부가한 건강한 먹거리 개발을 위하여 화전의 주재료인 찹쌀가루의 일부(1-5%)를 강황가루로 대체한 강황화전을 제조하였다. 화전의 수분함량은 강황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온수 조건에서 찹쌀가루와 강황 가루의 물 결합력이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았던 결과로 해석하였다. 한편, 강황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황 고유의 색소인 쿠쿠민에 의해 반죽의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화전의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는 증가하는 전형적인 갈색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반죽을 지지는 동안 가속화된 비효소적 갈변 반응과 유지의 갈변 반응의 결과로 해석하였다. 강황 첨가로 화전의 경도는 증가하였고 부착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현상은 찹쌀가루를 강황가루로 대체함으로써 아밀로오스 함량은 증가하고 아밀로펙틴 함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총 환원력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측정된 화전의 산화방지활성이 강황 첨가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함으로써, 강황가루에서 관찰된 산화방지활성이 화전에 실질적으로 부가되었음을 시사해주었다. 강황 첨가량에 비례적으로 증가한 강황 고유의 향미와 쓴맛은 기호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침으로써, 첨가량이 낮은 강황 화전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종합적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기능성 소재로 강황을 첨가한 식품을 개발할 경우 영양성과 산화방지활성 부가에도 불구하고 관능적 요인이 최종 첨가량 설정에 결정적 인자임을 시사해주었다.

Anti-Helicobacter pylori IgY의 안전성 및 임상적 효과 (The Safety and Clinical Test of Anti-Helicobacter pylori IgY)

  • 정순희;김현주;이수원;류영수;박형석;이남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471
    • /
    • 2005
  • 본 연구는 H. pylori를 산란계에 과면역시켜서 얻은 anti-H pylori IgY난황 분말의 안전성과 위염 환자에 있어서 H. pylori에 대한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nti-H. pylori IgY난황 분말의 안전성 실험은 급성 독성실험과 아급성 독성실험으로 알아보았다. 급성 독성 실험시 식이섭취나 성장 모두 정상적이었고, 마우스의 체중(kg)당 400mg까지 투여했을 때 이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아급성 독성실험에서 외관상의 이상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고, 혈청의 CBC 검사에서 백혈구 수치도 정상적이었다. 그리고 소화기관과 간조직의 병리학적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 미루어 anti-H pylori IgY난황분말은 독성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임상실험에서는 WSF 분말 급이군의 UBT 수치는 58.65에서 35.33으로 약 23.31 감소하였으며, anti-H pylori IgY 난황분말 혼합 급이군의 UBT 수치는 47.77에서 28.81로 약 17.95 감소 효과를 보였다. WSF 분말 급이군은 anti-H. pylori IgY 난황분말 혼합 급이군보다 UBT 수치의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임상실험에서 anti-H, pylori IgY는 H. pylori의 억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수세미오이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uffa cylindrica (L.) Roem)

  • 이규옥;유양희;황권택;이정민;이호준;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33-738
    • /
    • 2012
  • 본 연구는 수세미오이의 일반성분과 생리활성 평가를 위한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수세미오이는 수분 93.69%, 조섬유 1.64%, 조단백 0.52%, 조지방 0.27%, 조회분 0.06%을 함유하고 있었다. 주요 무기질로 K, P, Ca, Mg 등이 분석되었고, 주요 유기산은 아세트산과 호박산으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으로 ${\beta}$-aminoisobutyric acid가 100.74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phosphoethanolamine, urea, asparagine, valine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가 1,039.99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 순으로 분석되었다. 수세미오이의 생리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물, 80% 에탄올, 메탄올을 이용하여 열수추출물(LCH), 냉수추출물(LCC), 80% 에탄올추출물(LCE), 메탄올추출물(LCM)을 수득하고 각 추출물간 라디칼 소거활성에 기인한 항산화활성을 비교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에서는 LCE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ABTS 라디칼소거활성 및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에서도 80% 에탄올추출물이 각각 12.13%, 16.88%, 26.61%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세미오이 80% 에탄올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을 갖는 기능성식품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수세미오이의 성분함량은 수세미오이를 이용한 식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 주신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12-5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질병치료와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온 약용식물 10종을 선정하여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약용식물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화피 추출물이 320.10 mg/g, 갈근이 153.93 m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화피 추출물이 226.25 mg/g, 황금 추출물이 101.98 mg/g으로 높았다. 약용식물 중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시료는 화피로 $IC_{50}$ $5.39{\mu}g/mL$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헛개나무($IC_{50}$ $24.87{\mu}g/mL$), 오가피($IC_{50}$ $27.79{\mu}g/mL$)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 소거 활성 측정결과 헛개나무가 $IC_{50}$ $173.96{\mu}g/mL$, 화피 추출물이 $IC_{50}$ $167.94{\mu}g/mL$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화피와 오가피가 유의적으로(p<0.001)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에 대한 흡광도 값을 측정한 결과는 10종의 약용식물 중에서 화피 추출물이 2.72의 흡광도를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비타민C의 3.04과 비교해도 크게 뒤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화피, 헛개나무, 오가피 추출물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나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계피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of Sponge Cakes Supplemented with Cinnamon)

  • 이수빈;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50-654
    • /
    • 2013
  • 계피분말의 첨가량을 0~4%로 달리하여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계피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크의 pH, 수분함량, 비체적, 굽기 손실률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밝기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계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crust에서는 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4% 첨가군이 최소값을 나타낸 반면 crumb의 $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4% 대조군이 8.59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경도는 계피분말 첨가량에 따라 $0.17{\sim}0.42kg_f$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2% 첨가군까지 단계적인 유의적 증가경향을 보였으나(p<0.05), 이후 2~4% 첨가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맛, 향 및 부드러운 정도에서 대조군과 1%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p>0.05), 전체적인 기호도 또한 대조군과 1%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p>0.05), 관능품질을 저해하지 않고 계피분말의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최적첨가농도는 1%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엄나무 발효물의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 (Antioxidant and Anti-amyloid Activities of Fermented Kalopanax pictus)

  • 강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89-398
    • /
    • 2018
  • 본 연구는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radical 소거 측정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엄나무추출물(KP),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추출물(HE), 엄나무 발효물(KP-HE)에서 모두 라디칼 소거활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KP-HE가 KP와 HE에 비해서 더 높은 소거 활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KP-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과 관련 있는 $A{\beta}_{1-42}$의 응집에 KP, HE, KP-HE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았다. KP와 HE는 $A{\beta}_{1-42}$의 응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KP-HE는 $A{\beta}_{1-42}$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A{\beta}_{1-42}$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에 엄나무 발효물을 $300{\mu}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생존율은 20.3% 높게 증가되었다. 또한 엄나무 발효물을 $5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세포 내 ROS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들을 통해 엄나무 발효물은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엄나무 발효물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illus firmus NA-1 균주를 이용한 비지로부터 혈전분해능효소 및 펩타이드 생산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and Peptides from Alkaline Fermentation of Soybean Curd Residue by Bacillus firmus NA-1)

  • 오수명;서지현;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04-909
    • /
    • 2005
  • 일본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firmus NA-1를 이용하여 비지의 수분함량, 생대두미세분말첨가 및 발효시간에 따른 비지 발효물의 혈전용해효소, 점질물, 펩타이드생산 및 풍미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비살균 D-비지는 30시간 이상부터 청국장 발효가 진행되는 반면, 살균 D-비지는 18시간부터 고초균 발효에 의하여 pH가 증가하였으며 혈전분해효소, 펩타이드 함량이 비살균 D-비지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P-비지의 경우는 18시간 발효시에 가장 높은 pH, tyrisone 함량과 혈전용해효소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P-비지를 건조하여 초기수분함량을 $60\%$로 낮추었을 때 발효비지물의 펩타이드 함량과 혈전용해분해효소활성이 증가하였다. p-비지에 전지활성 생대두미세분말을 $10\%$수준으로 첨가함으로써 혈전분해효소 및 펩타이드 함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점질물의 생성에 따른 점조도 값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특히, 콩미세분말을 $20\%$ 수준으로 첨가하여 발효시킨 비지는 고유한 청국장의 풍미를 나타내었으며, 건조시킨 발효비지물의 조단백질함량은 $27.3\%$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비지의 고초균 발효시에 전지활성 생대두미세분말의 첨가는 비지의 초기수분함량을 낮추면서, 고초균 발효의 촉진을 통한 콩 펩타이드 및 혈전용해효소의 증가, 점질물 생산, 풍미 개선을 비롯하여 발효비지의 단백질 보강이 가능하였다.

솔잎 발효액의 첨가에 의한 찐빵의 저장성 향상 (Shelf Life Extension of Steamed Bread by the Addition of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Syrup as an Ingredient)

  • 최동만;정순경;이동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16-621
    • /
    • 2007
  • 찐빵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제조시 솔잎발효액을 설탕 대용으로 사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발효하여 찐빵을 가공하였다. 솔잎 발효액의 양을 반죽의 가용성 고형분에 기준하여 밀가루 대비 8.3%, 11%, 18%로 첨가하여 반죽의 특성을 살펴보고, 제조된 찐빵의 저장 중 품질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를 포함한 처리구의 반죽은 pH $5.45{\sim}5.90$, 수분활성도 $0.94{\sim}0.96$의 범위를 유지하여 적절한 효모발효에 적당한 수준에 있었고 적절한 경도를 보여주었다. 솔잎 추출액의 첨가는 찐빵의 부피와 비용적을 20% 이상 증가시키는 데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솔잎 추출액이 많이 첨가되면 저장 중 찐빵의 경도 증가가 지연되어서 노화가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11% 이상의 함량으로 솔잎 추출액을 많이 첨가하면 관능적 품질에서 초기에 솔잎향으로 인하여 약간의 거부감이 있었으나, 저장 2일 후에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 솔잎 추출물이 첨가된 찐빵은 표면의 세균 및 곰팡이의 성장이 억제되어서(저장 4일에 대수값으로 $0.8{\sim}2.4$) 저장성 향상과 저장수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