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food material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34초

수확시기 및 원료 조건에 따른 풋귤 식초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remature mandarin vinegar according to harvest period and raw material conditions)

  • 박보연;최재원;김성현;윤예랑;이영란;이영미;정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33-341
    • /
    • 2020
  •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풋귤 식초를 개발하기 위하여 풋귤의 수확 시기(7월-9월)에 따른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3가지 원료 조건(풋귤 분쇄액, 10% 건조 청피 첨가 풋귤 분쇄액, 10%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분쇄액)으로 제조된 풋귤 식초의 발효 특성,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7월에 수확된 풋귤 착즙액은 1.02±0.02 ㎍ GAE/mL의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은 7월-8월에 수확된 풋귤 착즙액이 9월에 수확된 풋귤 착즙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7월에 수확된 풋귤 착즙액을 식초 원료로 선정하였다. 원료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식초의 최종 산도는 풋귤 식초가 6.0%, 건조 청피 첨가 풋귤 식초가 6.3%,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식초가 6.7%로 모두 85%의 높은 발효 효율을 보였다. 건조 또는 로스팅 청피가 첨가된 풋귤 식초는 발효 13일차에 5% 산도에 도달하였으며, 풋귤 식초보다 발효 기간이 단축되고 높은 산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원료조건에 따라 색도의 변화가 확인되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기산 함량은 건조 청피가 첨가된 풋귤 식초가 acetic acid를 비롯한 총 유기산 함량이 30,201 mg/L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풋귤 식초보다 1.4배 높았다. 총 페놀 함량은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식초에서 0.62±0.02 ㎍ GAE/mL으로 풋귤 식초와 약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풋귤 식초가 3.00±0.15 ㎍ CE/mL로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EC50 값은 건조 및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식초가 각각 5.83±1.66 nL/mL, 4.71±0.07 nL/mL으로 풋귤 식초(9.16±0.87 nL/mL)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환원력에서는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식초가 7.47±0.28 nL/mL으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7월에 생산된 풋귤 착즙액을 원료로 로스팅 청피를 첨가한 풋귤 식초는 초산 발효가 우수하고 높은 유기산 및 페놀 함량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기존 풋귤 식초보다 항산화능이 강화된 기능성 식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홍삼의 각 부위에서 추출된 Panaxadiol분획의 함량비에 따른 유해산소제거효소(Cu/Zn Superoxide Dismutase) 유도효과 (Effect of the Contents Ratio of Panaxadiol Ginsenosides Extracted from Various Compartment of Ginseng on the Transcription of Cu/Zn Superoxide Dismutase Gene)

  • 장문석;최강주;노현모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44-49
    • /
    • 1999
  • 유해산소제거효소는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유해산소를 산소와 과산화 수소로 바꿈으로서 유해산소의 농도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여 세포를 유해산소의 독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전의 연구에서 파낙사다이올(PD)와 진세노사이드 $Rb_2$가 전사조절인자 AP2를 유도하여 유해산소 제거효소의 전사조절부위 내의 AP2결합부위를 통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함량증대를 유도함을 보고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각부위에서 추출된 조사포닌으로 panaxadiol(PD)와 panaxatriol(PT)의 성분함유비가 다른 시료를 이용하여 이들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발현 유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조사하기위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전사조절부위를 클로람페니콜 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구조유전자와 융합시킨 벡터를 인간의 간세포에 도입하여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D 성분의 함량비증가에 비례적으로 유해산소제거효소의전사가 증대 되었다. 또한 동일한 결과로서, PD 대 PT의 함량비가 약 2.6으로 PD의 함량이 가장높은 세세미 (finely-hairy root) 추출분획에서 유해산소제거 효소의 전사촉진이 대조군에 비해 3배이상 촉진됨을 관찰할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PD계의 분획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유도성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하고 있으며, 유해산소제거효소의 유도물질로서 PD분획과 세세미 추출물이 유용하게 이용될수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발효 와송 급여 흰쥐의 orotic acid 유발 지방간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Fermented Orostachys malacophyllus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Model Rats)

  • 안희영;최다정;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917-924
    • /
    • 2015
  • 와송과 유산균 발효 와송을 식이 중에 2.5% 및 5.0% 수준으로 첨가하여 10일간 흰쥐에 급여하고, orotic acid 유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일으켜 임상생화학적 특성 및 조직 내 항산화 활성 및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OA군은 간 기능 지표 효소인 혈중 AST, ALT, ALP, cholinesterase, LDH 활성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OM군과 FOM군은 활성이 감소하여 N군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의적으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OM군보다 FOM군이 더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LDH에서 5FOM군은 N군보다 더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OA군은 간 조직의 분획물, 고환, 신장, 비장의 TBARS의 함량이 증가하였지만, OM군과 FOM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5FOM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장기 내 존재하는 glutathione의 함량 또한 OA군이 N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OM군과 FOM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5FOM군에서 N군에 상응하는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비장과 심장에서는 N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유산균 발효 와송은 orotic acid 유발 비알코올성 흰쥐 지방간에 대한 개선 효과를 보여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건강식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였다.

목련 꽃 에센셜 오일의 항균 및 항염증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the Magnolia kobus Flower)

  • 이재열;지광환;양선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8-284
    • /
    • 2020
  • 목련은 항산화효과와 진정작용과 같은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련 에센셜오일의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목련 에센셜 오일은 증류법으로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항균 활성은 S. aureus와 E. coli, P. aeruginosa에 대하여 paper disk diffusion법과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값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은 S. aureus 균주에 대하여 18 mm의 clear zone형성과 0.25 mg/ml의 MIC 값을 나타내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P. aeruginosa 균주와 E. coli 균주는 clear zone 형성이 각각 14 mm와 17 mm로 나타났다. 또한, MIC값은 각각 1 mg/ml와 0.5 mg/ml로 측정되었다. 항염증 활성은 LPS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와 PGE2의 생성억제율을 조사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 500 ㎍/ml의 농도에서 RAW264.7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지만, NO (37.7%)와 PGE2 (24.0%)억제를 보였다. GC-MS를 이용하여 목련 에센셜 오일을 분석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의 3 가지 주요 방향제 성분은 3-carene (77.07%), β-elemene (6.92%) 및 caryphyllene (2.86%)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목련 에센셜 오일이 항균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품 기능성 물질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황기 지상부로부터 장관면역 활성 다당체의 분리 및 단회 경구 투여 독성시험 (Isolation of Polysaccharides Modulating Intestinal Immune System and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in Astragalus membranaceus Abovegroud Parts)

  • 최리나;박영철;이지선;김정우;김종봉;최유순;김광기;이재근;유창연;김승현;정일민;김재광;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6-288
    • /
    • 2014
  • The six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prepared by chromatographic procedure from the hot water extracts of the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These six polysaccharides from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ere tested for gut-mucosal immune activity and acute toxicity. In a view of molecular weight, the six fractions were estimated to be 75000, 88000, 129000 and 345000 Da, respectively. Component sugar analysis indicated that these fractions were mainly consisted of galactose (46.3 ~ 11.8%) and arabinose (35.4 ~ 9.9%) in addition to glucose, rhamnose, fuc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lucuronic acid and galacturonic acid. Among the six major purified polysaccharides, AMA-1-b-PS2 showed highest bone merrow cell proliferation and lymphocyte of Peyer's patch stimulating activity. It may be concluded that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of aboveground par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is caused by polysaccharides having a polygalacturonan moiety with neutral sugars such as arabinose and galactose. In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clinical sig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thal dose 50 ($LD_{50}$) of water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5000 mg/kg/day in this experiment.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might have useful as a safe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s.

두릅나무 25개 선발 클론의 형태적 특성과 유연관계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25 Selected Clones of Aralia elata Seem)

  • 김세현;김문섭;한진규;김혜수;문흥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6-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약용식물로 부가가치가 높은 두릅나무 선발클론을 대상으로 잎, 가시 그리고 동아의 형태적 특정을 조사하고 다변량 분석 방법을 통하여 선발클론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4 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은 76%로 나타났으며, 유집분석 결과 거리 수준 2.0을 기준으로 I그룹은 강원 연곡 등 15클론, II그룹은 경기 여주 등 5클론, III그룹은 봉화와 울릉 클론, IV그룹은 용문과 보성 클론 그리고 V그룹은 신구 클론으로 총 5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농업용저수지인 오태지의 수생태계구조와 수질과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Structure of Aquatic Ecosystem in Agriculture Reservoir, Otae-ji)

  • 서정관;이혜진;정현기;탁보미;이재관;김인택;이종은;황의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407-142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structure of the aquatic ecosystem in the agriculture reservoir Otae-ji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9. The proportion of forest was 46.98%, which means that non-point sources are major contributor of water pollution in this area. The annual mean COD(Chemical Oxygen Demand) in Otae-ji was $3.6mgL^{-1}$, indicating, level II of environmental standards and the trophic state was mesotrophic. Although total phosporus concentration in the reservoir was high in August due to large inflow of nutrients from outside the reservoir during monsoon season, there was no break out of significant algal bloom in the summer.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showed that the dinophyta dominated in the the spring, chlorophyta in the summer, chrysophyta and chlorophyta in the autumn and chrysophyta in the winter. In case of zooplankton, rotifers dominated in the most seasons, but cladoceran(Bosmina longirostris) dominated in June and copepod(Nauplii) in August. The macrophyte plants showed diverse species compositon consisted of 3 varieties, 24 species, 23 genera, 15 families and 14 orders. The macroinvertebrates also showed various FFG(Functional Feeding Groups) such as GC(Gathering-Collector), P(Predator), SH(Shedder), FC(Filter-Collector) and PP(Plant-Piercer). Ecosystem stability analysis using aquatic insects was classified as Group I, which has high resilience and resistance indices. A total of 14 species of fish was collected but exotic species such as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were not found in Otae-ji. In conclusion, the preservation of healthy food wed in the reservoir ecosystem is closely related to water quality management as well as effective prevention of algal bloom by helping good material circulation in aquatic ecosystems.

생열귀나무의 카테킨 함량 및 항산화효과 (Catechin Content and Antioxidative Effect from Rosa davurica Pall)

  • 신인철;정경진;심태흠;오흥석;박상균;정의호;김석남;김광기;최대성;권용수;김창민;사재훈
    • 생약학회지
    • /
    • 제33권3호통권130호
    • /
    • pp.177-181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osa davurica Pall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novel antioxidant from natural products. Antioxidant activities of four different parts of Rosa davurica Pall such as fruit, leaf, stem and root were exa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of Rosa davurica Pall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16 samples tested. And, we also teste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5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Hexane, $CHCl_3$, EtOAc, BuOH and $H_2O$ fraction). EtOAc and BuOH fractions from the root of Rosa davurica Pall exhibited antioxidative activities higher to those of natural, ${\alpha}-tocopherol$ or synthetic antioxidants, BHT. The antioxidative substance of EtOAc fraction from the root of Rosa davurica Pall was successively purified with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The purified active substance was isolated as crystal and identified as (+)-catechin by $^{l}H-NMR$ and $^{13}C-NMR$. This compound exhibit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 $IC_50$ value of $1.7\;{\mu}g/ml$. In the analysis of catechin content, the leaf extracts contained the highest catechin, and fruit extracts contained the lowest catechin. Considering antioxidative activity on DPPH assay, the extracts of Rosa davurica Pall showed a possibility to be used as a new material for natural antioxidant and functional food.

홍어의 항고혈압 활성물질 (ACE Inhibitory Materials from Raja kenojei)

  • 임현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68-674
    • /
    • 2003
  • 홍어를 발효하여 발효기간에 따른 항고혈압 효과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항고혈압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GPC system을 사용하여 항고혈압 물질을 조 분리하였다. 항고혈압성 물질을 농축하기 위해 홍어 내장 및 가식부 열수 추출물을 대량 포집 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른 ACE 억제효과를 검색하였다. 즉, 홍어 가식 부의 ACE 저해 작용은 2% 첨가시 29%로, 다소 낮으나 상시 섭취될 수 있는 식품이란 측면에서 볼 때 그 유용성이 기대된다고 할 수 있으며 홍어 내장 열수 추출물의 ACE 저해 효과는 시료 2% 첨가의 경우 발효 0일째에 7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ACE 저해 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ACE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추정하기 위하여 홍어 내장 열수 추출물의 일반성분과 원소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성분 중 순단백질이 58.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소분석 결과 C, H, O, N의 성분비가 당류라기 보다는 peptide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소화합물의 분석결과 ACE를 억제하는 기능성 peptide의 성분인 Tyr, Phe, Val, His 등이 가식부 보다 많아서 ACE를 억제하는 peptide를 함유하리라 예상되었다. ACE억제 물질을 조 분리하기 위하여 Sephadex G-25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자량별로 분획한 결과, 분획물 들의 ACE 저해 효과는 분획물 B(111-160)의 농도 0.2%에서 67.8%로 가장 높은 ACE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홍어 내장 열수 추출물의 ACE 저해인자는 가열에 대하여 안정한 비교적 저분자의 peptide와 같은 물질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찔레나무뿌리(Rosa multiflora root)의 항산화 및 항염증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a multiflora Root)

  • 박근혜;이진영;김동희;조영제;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20-1126
    • /
    • 2011
  • 찔레나무뿌리를 열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에서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추출물에서 가장 많은 67.05${\pm}$0.56 mg/g의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SOD 유사활성능을 제외한 DPPH, ABTS, superoxide anion 라디컬소거능 확인 결과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의 HA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500 ${\mu}g/ml$ 에서 60% 이상의 높은 HAase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NO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RAW 264.7 cell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뚜렷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NO 생성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사실에 기초하여 NO 생성저해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iNOS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에탄올추출물 100 ${\mu}g/ml$에서 40%의 iNOS protein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iNOS의 발현억제가 NO생성억제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으로 NO생성억제는 iNOS의 발현저해를 경유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추후 산업적 응용도 가능함으로 기능성화장품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