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cosmetic

검색결과 684건 처리시간 0.033초

산약의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 PKA, ERK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icacy of Dioscoreae Rhizoma on MITF, TRP-1, TRP-2, Tyrosinase, PKA and ERK Expression in Melanoma Cells (B16F10))

  • 이수연;유단희;주다혜;이진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5-100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whitening effects and developing by cosmetics of the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health-promoting herb in herbal medications.Methods : We performed tyrosinase inhibition ass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for whitening effects. Also we measured MTT assay for cell viability.Results :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For whitening effect,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showed more than 42.28% at 1,000 ㎍/㎖ concentration. Cell toxicity effect on melanoma cells (B16F10) of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showed 81.97% with toxicity at 50 ㎍/㎖ concentration. So we were measured at a concentrations of 5, 10 and 50 ㎍/㎖ in all experiments involving cell. In addition, whitening related mRNAs including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tyrosinase were reduced byDioscoreae Rhizoma. We also foundDioscoreae Rhizomatransiently decreased protein kinase A (PKA) which is known to be upstream to the down regulation of MITF and tyrosinase. But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 related kinase (pERK) were increased byDioscoreae Rhizoma. These results imply thatDioscoreae Rhizomadecrease melanogenesis via ERK activation and subsequent down regulation of MITF and tyrosinase.Conclusions : Therefore, all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potent usage ofDioscoreae Rhizomaas materials of functional cosmetics by confirming whitening activity related with melanin content.

웰빙산업에서의 천연물 연구 동향 (A Research Trend of Natural Product on Well-Being Industry)

  • 김기호;고강일;강은정;양은경;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9-343
    • /
    • 2004
  •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자연친화적인 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웰빙소비성향이 두드러지며 천연소재를 이용한 각종 생활용품이나 화장품의 개발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민간에서 오랫동안 약재로 사용해 오던 식물들의 생리활성들이 피부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그 식물들로부터 유효성분을 농축하거나 분리하여 화장품 등에 이용하고 있다. 또한 기능성 화장품(functional cosmetics)의 출현으로 소비자들의 인식도 높아져 피부의 생리활성을 향상시켜주는 천연원료를 첨가하여 미백(whitening), 주름개선(wrinkle improvement)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들도 많이 개발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그 동안 연구되어져 온 천연물을 기능별로 분류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화장품 천연원료로 개발된 fructan, Areca extract, Portulaca extract, Licorice extract, Dandelion extract, Ulmus extract, SC-glucan, Arbutin, Sophora extract 등의 피부 생리환성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Microfluidics를 이용한 화장품 에멀젼 캡슐레이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capsulation of Cosmetic Emulsion Using Microfluidics)

  • 정남균;진홍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1-86
    • /
    • 2021
  • 화장품 산업은 정밀화학분야로 기술집약적인 산업이며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산업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과거에는 기능적 측면이 주로 강조가 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국내외적으로 화장품의 우수한 성능과 더불어 시각적 효과로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려는 노력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제조업체에서는 화장품 에멀젼을 캡슐화하고 에멀젼 캡슐의 형태, 색상 및 질감 등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기술을 다방면으로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멀젼을 캡슐화하는 기본 방식은 에멀젼 저장소에 에멀젼을 채워 넣고 노즐을 통해 에멀젼을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업체에서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멀젼을 캡슐레이션하는 기존 방식은 캡슐의 사이즈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방식의 한계를 이론 및 수치해석방법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책으로 미세유체역학(Microfluidics)을 적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채널 내에서 발생하는 에멀젼 캡슐레이션 현상을 연구하였다.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에 의한 인체 모발 연구 (Study on Effect of Human Hair by Deer Antler Fermented Keratin Peptide)

  • 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85-39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녹용에 함유한 단백질인 케라틴을 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로 고온 혐기 발효를 통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인체 모발 관련한 인자를 확인하여, 화장품 원료로서 케라틴 펩타이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모유두 세포주에서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를 농도에 따라 세포 독성 및 증식을 확인한 결과,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 증식 효과를 보였다. 인체 모유두 세포에 대하여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에 따른 성장인자의 증가를 확인하여 모발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를 함유한 화장품을 제조하여 피부 안전성 및 탈모 증상 완화 인체 효력 시험을 수행한 결과, 사용 12 주 후에 제품 사용 전 대비 전체 모발 수의 증가 및 대조군과 비교시 전체 모발 개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뿐만 아니라 건강 기능 식품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텍스트 인식 기법에 기반한 화장품 성분 자동 분석 시스템 (An Automatic Cosmetic Ingredient Analysis System based on Text Recognition Techniques)

  • 김예원;홍선미;엄성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65-570
    • /
    • 2023
  • 임산부나 피부질환자 등 화장품 성분에 예민한 사람들이 있다. 또 화장품으로 인한 부작용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쇼핑 시에 일일이 화장품에 유해 성분이 있는지 검색하는 것은 번거롭다. 또한 본인에게 잘 맞는 기능성 성분을 알고 기억하는 것은 새로운 화장품을 구매할 때 도움이 된다. 사진 촬영을 통해 현장에서 즉시 화장품 성분을 알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화장품에 표기된 성분을 촬영해 즉각적으로 화장품 성분을 알 수 있는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화안>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효과적인 텍스트 인식 기법을 적용하여, 카메라를 화장품 성분에 비추거나 앨범에서 화장품 성분 사진을 불러올 경우, 해당 화장품의 성분을 자동 인식 및 자동 분류하여 그 화장품의 성분을 현장에서 즉시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효과적이고 편리하다. 이 시스템이 널리 활용된다면, 일상생활 속 화장품으로 인한 피부 질환을 예방하고 본인에게 맞지 않는 화장품 구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승마, 황련, 황백, 후박 추출 혼합물의 항노화 및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Anti-aging and Anti-melanogenesis Effect of Cimicifuge dahurica, Coptis chinensis, Phellodendri amurense and Magnol obovata Extracts Mixture)

  • 신서연;김규원;강세원;조홍석;김은지;박경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0
    • /
    • 2017
  • 한의학에서 승마(Cimicifuge dahurica, C. dahurica), 황련(Coptis chinensis, C. chinensis), 황백(Phellodendri amurense, P. amurense) 추출물은 해독작용을 하며 후박(Magnol obovata, M. obovata) 추출물은 항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마, 황련, 황백, 후박 추출물을 혼합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평가와 DPPH와 ABTS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단일 추출물보다 추출혼합물이 더 안전함을 확인 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NO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섬유아세포에서 UVB로 유도된 세포 손상을 보호하면서 type 1 pro-collagen 합성량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추출 혼합물은 melanin 합성과 tyrosinase 활성 및 melanin 합성 관련 인자 및 효소들(MITF,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아 승마, 황련, 황백, 후박 추출 혼합물은 항노화 및 미백 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피부장벽에 대한 Bio-Mimic Liquid Crystal Emulsion (BLCE)의 긍정적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eneficial effect of Bio-Mimic Liquid Crystal Emulsion (BLCE) on Skin Barrier Function)

  • 안영훈;배순민;정진교;황정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7-230
    • /
    • 2007
  • 최근 기능성화장품과 피부관련 의약품 분야에서 multi-lamellar와 liquid crystal의 구조가 커다란 관심을 끌고 있다. 결합수와 고정된 유상을 함유하는 multi-lamellar 구조는 피부의 세포간지질의 lamellar 구조의 재건과 보습을 유지하는 작용으로써 보습기능이나 장벽기능의 복구에 우수하며, 이 지질들은 각질층에 침투하여 유지된다. 본 연구에서 고급 지방 알코올, 레시틴, 콜레스테롤을 사용하여 제조한 bio-mimic liquid crystal emulsion (BLCE)의 피부장벽 기능을 측정하였고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와 세포독성을 비교하였다.

천연왁스를 이용한 화장품 첨가용 비타민 C의 코팅 (Coating of Vitamin C Using Natural Wax as a Cosmetic Additive)

  • 김복희;김동만;이상화;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7권5호
    • /
    • pp.319-323
    • /
    • 2012
  • Vitamin C or L-ascorbic acid, an essential nutrient for humans with antioxidative property, was coated with natural wax to be used as functional additives for cosmetics. Coating of vitamin C was performed using carnauba wax and olive wax in self-designed reaction chamber for 60 min. The yield of coated vitamin C with carnawuba wax and olive wax were up to $94.6{\pm}1.2%$ and $82.5{\pm}1.4%$, respectively. The stability of the carnauba wax-coated vitamin C in the lotion was improved 17.8% than that of uncoated vitamin C during 30 day storage at $25^{\circ}C$. Color and the layer separation of the lotion added with the coated vitamin C showed better property than with the uncoated vitamin C. The coated vitamin C can be applied to cosmetic ingredients as a stable additive.

쑥으로부터 유래된 나노입자의 화장품 제품 응용 (Application of Nanoparticles Derived from Artemisia princeps for Cosmetic Products)

  • 정소영;강해란;유한준;최형;허효진;차병선;;이소민;여혜림;강서정;이대엽;곽병문;이미기;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5-271
    • /
    • 2021
  • 나노입자(nanoparticles)는 그 크기가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보다 작다. 따라서 세포막을 통과하고 약물 또는 유전자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에 매우 적합하며 특정 성분을 피부 속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쑥으로부터 나노입자를 추출하여 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통해 100 nm 전후 크기의 입자를 얻었음을 확인하였고, MTT assay를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cell viability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진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quantitative real time PCR 분석법을 통해서 COL1A1 mRNA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IL-6 mRNA 발현량은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세포실험뿐 아니라 화장품 제형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최근 화장품 산업 동향에서 화학 성분을 배제하고 식물 유래 성분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반면, 식물에서 유래된 나노입자의 응용분야를 제시하는 연구 결과가 거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의 화장품 산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견주어 쑥으로부터 유래된 나노입자를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Effects of Cymbopogon citratus and Perilla frutescens Extracts)

  • 소양강;황지영;김현우;조하늘;이태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5-235
    • /
    • 2019
  •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은 다양한 생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과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각 추출물이 피부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이 많았다. HPLC를 이용한 19종 페놀성 화합물 분석 결과는 레몬그라스 에탄올 추출물(CCE)에서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PFE)에서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가 검출되었다. 피부보습에 관련된 HAS1, HAS2, HAS3 및 AQP3와 피부장벽에 관련된 filaggrin, loricrin 발현은 PFE보다 CCE에서 높았다. 또한, CCE, PFE 모두 피부보습과 표피분화 조절에 관여하는 $PPAR-{\alpha}$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CE의 주요성분인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PPAR-{\alpha}$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피부보습과 피부장벽보호 효과에 있어서 CCE가 PFE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두 추출물은 피부보습과 피부장벽개선에 대한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