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el Indicator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8초

IT기반의 선박에너지절감시스템 성능평가 방법-(2) : 해상시험 수행 결과 (Energy Efficiency Evaluation of IT based Ship Energy Saving System-(2) : Ship Test Results)

  • 유윤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65-171
    • /
    • 2016
  • IMO에서는 선박온실가스 규제를 위해 2013년부터 현존선의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인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의 시행을 강제화하고 있다. SEEMP에서 권고하는 에너지절감기술 가이드라인은 크게 하드웨어적인 장비의 탑재 및 개조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기술을 통한 연료유 절감효과로 구분된다. 신조선의 경우 하드웨어적인 기술구현이 용이하지만 현존선의 경우 운항상 제약으로 인해 소프트웨어적인 에너지 절감기술 구현이 적용되고 있다. IT기반의 선박에너지절감 시스템 성능평가를 위해 해상시험을 수행하였고, 시스템 적용 전후의 항차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료유 절감효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SEEMP에서 자발적인 사용을 권고하고 있는 선박 경제운항 지표 (EEOI, Ship Energy Efficiency Operation Indicator) 분석을 통한 성능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Integrated risk assessment method for spent fuel road transportation accident under complex environment

  • Tao, Longlong;Chen, Liwei;Long, Pengcheng;Chen, Chunhua;Wang, J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2호
    • /
    • pp.393-398
    • /
    • 2021
  • Current risk assessment of Spent Nuclear Fuel (SNF) transportation has the problem of the incomplete risk factors consideration and the general particle diffusion model utilization. In this paper, the accident frequency calculation and the detailed simulation of the accident consequences are coupled by the integrated risk assessment method. The "man-machine-environment" three-dimensional comprehensive risk indicator system is established and quantified to characterize the frequency of the transportation accidents. Consideration of vegetation, building and turbulence effect, the standard k-ε model is updated to simulate radioactive consequence of leakage accidents under complex terrain. The developed method is applied to assess the risk of the leakage accident in the scene of the typical domestic SNF Road Transportation (SNFRT). The critical risk factors and their impacts on the dispersion of the radionuclide are obtained.

운항실습선에 적용한 CO2 배출량 저감대책 (Countermeasures for reduction for CO2 emission from training ship)

  • 이상득;고대권;정석호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9호
    • /
    • pp.981-986
    • /
    • 2015
  • 지구온난화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선박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국내 연구 수준은 기초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여러가지 저감대책 중에서 운항손실과 투자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자제어엔진 사용, 트림 최적화, 프로펠러 연마 및 친환경 방오도료의 사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저감대책들을 운항실습선에 적용하여 시험 운항을 실시하였고 연료소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대책들은 약 1~5%의 연료소비율 저감 효과가 있었고 이를 에너지효율운항지수 산출에 적용하면 약 1~5%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국제적 환경규제를 제정할 때 우리나라에게 유리하도록 대응하기 위해서는 에너지효율운항지수에 대한 연구에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Estimation of ship operational efficiency from AIS data using big data technology

  • Kim, Seong-Hoon;Roh, Myung-Il;Oh, Min-Jae;Park, Sung-Woo;Kim, In-Il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440-454
    • /
    • 2020
  • To prevent pollution from ships, the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EEDI) is a mandatory guideline for all new ships. The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SEEMP) has also been applied by MARPOL to all existing ships. SEEMP provides the Energy Efficiency Operational Indicator (EEOI) for monitor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a ship. By monitoring the EEOI, the shipowner or operator can establish strategic plans, such as routing, hull cleaning, decommissioning, new building, etc. The key parameter in calculating EEOI is Fuel Oil Consumption (FOC). It can be measured on board while a ship is operating. This means that only the shipowner or operator can calculate the EEOI of their own ships. If the EEOI can be calculated without the actual FOC, however, then the other stakeholders, such as the shipbuilding company and Class, or others who don't have the measured FOC, can check how efficiently their ships are operating compared to other ship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estimate the EEOI without requiring the actual FOC.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data, ship static data, and environment data that can be publicly obtained are used to calculate the EEOI. Since the public data are of large capacity, big data technologies, specifically Hadoop and Spark, are used. We verify the proposed method using actual data,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stimate EEOI from public data without actual FOC.

신형식 자동차 적용에 따른 연비 보정식 검토에 관한 연구 (Study on new type vehicle fuel economy correction formula review according to the applicable)

  • 임재혁;김성우;이민호;김기호
    • 에너지공학
    • /
    • 제25권4호
    • /
    • pp.198-206
    • /
    • 2016
  • 자동차 표시연비는 국가적으로 에너지관리 지표로서 활용되며, 자동차 제작사의 기술개발을 유도하고, 소비자 차량구매 시 정보제공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표시연비가 체감연비와 상이하다는 소비자 불만이 지속되어 정부는 보다 정확한 표시연비 측정을 위해 미국의 5-cycle 시험방법을 국내 차량 기준에 맞게 재설정하여 도입하였다. 본래는 다양한 환경조건 및 주행패턴이 반영된 5개의 시험모드를 모두 주행함으로써 측정된 결과 값을 표시연비로 계산하는 방법이지만 소요되는 자원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2개의 시험모드(도심(FTP-75 mode), 고속도로(HWFET mode))의 결과 값을 5-cycle 시험법으로 계산된 연비 값과 동등한 수준으로 산출하는 5-cycle 보정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보정식은 2011년에 30대 차량의 5-cycle 시험방법으로 산출되었으나 최근 자동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신형식 자동차에 대한 기존 5-cycle 보정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술이 적용된 14대의 신형식 자동차를 대상으로 기존과 동일한 시험 방법을 통해 시험모드별 연비 특성을 확인하고, 기존에 개발된 보정식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존 시험 차량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보정식 또한 최대 1.5% 이내의 오차로써 기존 연비 보정식은 현재의 자동차 기술발전에 따른 개선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처분환경조건에서 모의 방사성폐기물 붕규산유리고화체의 장기침출률 (Long-term leach rates of simulated borosilicate waste glasses under a repository condition)

  • 전관식;김승수;최종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1-46
    • /
    • 2003
  • 심부 처분환경조건에서 붕규산유리고화체의 장기침출거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3종의 모의붕규산유리고화체에 대한 장기침출실험이 1997년에 착수되었다. 5년간의 침출결과는 붕소가 본 붕규산유리고화체의 장기침출지표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고, 비록 고화체들의 조성은 약간씩 다르지만, 초기 1년여 기간동안의 침출률을 제외한 장기침출률은 S/V에도 무관하게 0.03g/$m^2$-day 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사용후핵연료 침출액 분석을 위한 세슘의 제거 및 스트론튬의 분리 (Removal of Cesium and Separation of Strontium for the Analysis of the Leachate of Spent Fuel)

  • 김승수;전관식;강철형
    • 분석과학
    • /
    • 제15권1호
    • /
    • pp.1-6
    • /
    • 2002
  • 사용후핵연료 침출액중 비방사능이 작은 핵종들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비방사능이 큰세슘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세슘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한다고 알려진 ammonium molybdophosphate(AMP) 를 이용하여 사용후 핵연류 침출액의 구성원소들(Cs, U, Ce, La, Co, Sr)과 사용후핵연료와 접한 벤토나이트의 성분들(Ca, Na, K)에 대한 제거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0.1 M 질산매질에서 AMP로 90% 이상의 세슘이 제거되었고 대부분의 Ca, Na, Co, Sr은 용액중에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일부 세늄을 포함한 란탄족 3가 이온들은 세슘과 같이제거 되었다. 벤토나이트 성분중일부 칼륨도 AMP에 흡착하였으나 실제 시료와 같이 묽은 벤토나이트 용액에서의 칼륨은 AMP이 유효치환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한편 사용후핵연료의 침출 기준원소인 스트론튬을 분리하기 위하여 8.0 M 질산매질의 용리할 경우 95% 이상의 스트론튬을 회수 할 수 있었다.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시스템의 환경 전과정평가 (Environmental Life Cycle Assessment (LCA)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System)

  • 김형석;홍석진;허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111-116
    • /
    • 2018
  •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a 1 kW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system are quantitatively assessed by performing a Life Cycle Assessment (LCA) study. A PEMFC system produces electricity and heat simultaneously, so an appropriate allocation of associated inputs and outputs is performed between the electricity and heat produced.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PEMFC system on the impact categories such as global warming (GW), abiotic depletion (AD), acidification (AC), and eutrophication (EU) are assessed from the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The impact indicator results of the impact assessment on these impact categories are obtained as $3.70E-01kg\;CO_2\;eq./kWh$, 1.86E-03 kg Sb eq./kWh, $4.09E-04kg\;SO_2\;eq./kWh$, and $1.88E-05kg\;PO_4{^{3-}}/kWh$, respectively. For all impact categories studied the most influential stage is the operation stage, which accounts for 98.8%, 98.7%, 70.3%, and 62.3% of the total impact on GW, AD, AC, and EU, respectively. For the impact categories of AD, AC, and EU, most of the environmental impacts during the operation stage is at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city gas. However, for the impact category of GW, $CO_2$ emission from the reforming process of city gas is the main reason for the largest contribution of the operation stage to the total impact results.

CO2 배출량을 감안한 화력발전소의 생산성 변화 분석: Luenberger지수 접근법 (CO2 Emission and Productivity of Fossil-fueled Power Plants: A Luenberger Indicator Approach)

  • 권오상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9권4호
    • /
    • pp.733-752
    • /
    • 2010
  • 본고는 한국의 화력발전소의 생산성 변화율 자체와 그 변화행태와 발전유형별 분포, 그리고 생산성 변화의 구성요소 등을 $CO_2$ 배출량을 감안하여 분석하며, 그러한 분석목적을 달성하는 데 매우 유용한 Luenberger지수를 비모수적 기법을 이용해 도출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분석결과 $CO_2$ 배출량을 감안하지 않을 때에는 생산성 변화율이 상당한 정도 왜곡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발전소의 경우 가동률 차이가 생산성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CO_2$ 배출량을 감안하지 않으면 주로 가동률 차이에 의한 생산량 변화가 생산성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 결과 생산성 변화율 계측치가 비상식적으로 높거나 낮게 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분석기간 동안 $CO_2$의 배출량이 늘어났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지 않고 생산성 증가율을 계측하면 생산성 증가율을 과대평가하게 됨도 밝혀졌다. $CO_2$를 모형에 포함하느냐의 여부는 또한 발전소 유형별로 생산성 증가율이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생산성 변화가 발생한 주요인은 무엇인지를 설명함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초래하였기 때문에 이들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적절한 방식으로 $CO_2$ 배출량을 반영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 PDF

The onset of extreme fire behaviour in a mine drift

  • Hansen, Rickard
    • Geosystem Engineering
    • /
    • 제21권5호
    • /
    • pp.282-290
    • /
    • 2018
  • The onset of extreme fire behaviour in a mine drift with longitudinal ventilation was analysed. A fire in a mine drift with continuous fuel load, involving several separate fires may lead to flames tilted horizontally and filling up the entire cross section. This will lead to earlier ignition, higher fire growth rate, higher fire spread rate and a severe fire behaviour. The focus has been on what changes take place at the onset and signs of the impending phenomenon. It was found that the fire gas temperature at the ceiling level provided a poor indicator. At the downstream far-field region of the fire, the sudden temperature increase at the lowest levels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sudden increase in flow velocities would provide signs of extreme fire behaviour. The corresponding full-scale heat release rates of the experiments at the onset of extreme fire behaviour were found to be very high for mining applications but not necessarily for tunnel fires. The heat release rate threshold for a mine drift with smaller cross-sectional dimensions would decrease considerabl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uel item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initiation of horizontal fla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