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y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5초

뽕나무 유전자원의 과실적 특성 및 오디생산용 우량계통 선발 (Fru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Fruit)

  • 김현복;성규병;홍인표;남학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11
    • /
    • 2004
  • 뽕나무 오디는 기능성 식품소재 및 농가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과실로서 뽕나무 묘목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디생산을 위한 뽕 품종은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의 결실 오디를 계통별로 채취하여 과실적 특성을 조사하고 우수한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오디 생산용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고 품종의 조기농가보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태전조생' 등 숙기가 이른 계통은 5월 27일부터 수확이 가능하였으며, '휘카스' 등 수확시기가 늦은 만생종 계통은 6월 10일경부터 수확하여 6월 21일까지 오디를 수확하였다. 2. 계통에 따라 1∼6회 수확할 수 있으며, 수확 가능 기간도 2주∼3주 계통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일뽕', '목상', '장소상', '수성뽕' 등의 오디는 2주 정도 수확이 가능한 반면, '사천금', '덕천상'의 오디는 3주 동안 수확이 가능하였다. 3. 그루당 10kg 이상 수확 가능한 계통으로서 2002년에는 '수성뽕', '휘카스', 청노상', '목상', 절곡조생(충북)' 5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03년도에는 '수성뽕', '자산', '화조십문자', '청노상', '죽천조생 ', '수원노상', 강선', '절곡조생(충북)' 8계통을 선발하였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효모가 생산하는 휘발성 화합물이 김치의 풍미에 미치는 효과

  • 김혜자;양차범;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2-518
    • /
    • 1996
  • Eleven strains had been previously isolated from kimchi and identified in our laboratory. The ability of each strain in aroma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y sensory evaluation. Among them Saccharomyc s sp. YK-17, Saccharomyces sp. YK-18, Saccharomyces sp. YH-3 and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 produced fruity flavour. Especially,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 produced apple and pineapple-like flavours. Pichia media YK-11, Saccharomyces sp. YK-20 and Pichia chambardii YH-4 produced wine-like flavour. Debaryomyces sp. YK-6, Debarymyces coudertii YK-10, Saccharomyces sp. YK-12 and Pichia haplophilia YH-5 produced alcoholic flavours. Using the good flavour producing strains as starters, various groups of kimchi were fermented, an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uch as odor, taste and total acceptability were evaluated. The acidic odor, moldy odor and taste were reduced by adding starter, while the fresh sourness odor and taste similar to fruity fiavour were increased by starter.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odor, taste and total acceptability were increased in the starter-added groups, such as Pichia edia YK-11, Saccharomyces sp. YK-17, and Saccharomyces,fermentati YK- 19.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 added kimchi group was higher siginificantly (P<0.05) than the others at the total acceptability. Volatile compounds of the culture broth of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 were analysed by gas chromatography, and 6 species of esters and 4 species of alcohols were identified. Among them, the ester substances which broth largely responsible for the apple-like flavour in the sensory evaluation, were found to be ethyl 2-methyl butvrate, ethyl pentanoate and ethyl acetate.

  • PDF

오디 생산을 위한 뽕나무 계통별 과실 특성 평가 (Evaluation of Fru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ulberry Breeding Lines for Fruit Production)

  • 김현복;성규병;강석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24-227
    • /
    • 2005
  • 뽕나무 오디는 기능성 식품소재 및 농가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과실로서 뽕나무 묘목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디생산을 위한 뽕 품종은 '대성뽕'외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의 결실 오디를 계통별로 채취하여 과실적 특성을 조사하고 우수한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오디 생산용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고 품종의 조기 농가보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루당 10kg이상 수확 가능한 계통으로서 '수성뽕', '청노상', '수원노상', '절곡조생(충북)' 4계통을 다수성 계통으로 선발하였다. 또한 단과중이 3.5g 이상인 대과형 계통과 17 Brix $\%$ 이상인 고당도 계통을 각각 5계통, 4계통 선발하였다. 공시계통 중 '절곡조생(충북)'은 단과중이 4.5g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강선'은 19.6 Brix $\%$으로 당도 함량이 가장 높았다. 2. 수량, 단과중 및 당도 값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오디 생산용 우량 계통으로서 '절곡조생(충북)', '팔청시평', '강선', '수원노상', '죽천조생', '수성뽕', '당상7호', '장소상' 8계통을 선발하였다.

Characteristics of Korean Alcoholic Beverages Produced by Using Rice Nuruks Containing Aspergillus oryzae N159-1

  • Kim, Hye Ryun;Lee, Ae Ran;Kim, Jae-Ho
    • Myc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119-122
    • /
    • 2017
  • Herein, nuruks derived from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inoculated with Aspergillus oryzae N159-1 (having high alpha-amylase and beta-glucosidase activities) were used to produce Korean alcoholic beverages. The resultant beverages had enhanced fruity (ethyl caproate and isoamyl alcohol) and rose (2-phenethyl acetate and phenethyl alcohol) flavors and high taste scores.

뽕나무 계통별 오디의 유리당 조성 및 함량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Free Sugars in Mulberry Fruits)

  • 김현복;김선림;문재유;장승종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80-84
    • /
    • 2003
  • 과실류의 단맛 결정인자인 유리당의 함량을 계통별로 분석하여 생식 및 가공식품의 원료로서 오디의 이용성을 늪이고 오디의 과실화 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오디 생산용 뽕나무 육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 계통에 대하여 결실 오디를 채취하여 유리당의 조성과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동시에 유리당의 함량이 높은 계통을 선발하여 수량, 과중, 당도 등 과실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디생산용 계통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계통 모두 fructose와 glucose만이 검출되었으며, fructose와 glucose의 평균 함량은 각각 4.49$\pm$1.06%와 4.62$\pm$1.08%로서 두 성분의 조성 비율은 1:1이었다. 그러나 두 성분에 대한 각각의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값은 23.6%와 23.4%로서 높게 나타나 오디의 유리당 함량은 뽕나무 계통간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2. 공시계통의 총 유리당의 평균 함량은 9.11$\pm$2.14%이었고, 공시계통 중 총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계통은 '근아노상'으로서 14.67%이었으며, ‘청시평’의 경우 5.57%로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3. '근아노상' 등 유리당의 합이 10% 이상인 계통을 1차 선발한 후 단과중, 수량 및 당도 함량에 대한 과실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환십조생', '개량조생십 문자', '중고조' 및 '근아노상' 계통은 이들 특성을 모두 만족시켜 오디생산용 유망계통으로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묘사분석을 이용한 쌀 과자의 관능적 특성 연구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nfections by Descriptive Analysis)

  • 정다은;양정은;정라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5-110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ensory profiles of rice confections.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obtained from Korea (traditional Korea rice snack and local specialty rice snack) and three countries (USA, Japan, and China) were evaluated and compar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five kinds of rice confections were evaluated using a sensory test and were analyzed via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In the descriptive analysis, 10 trained panelists evaluated sensory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19 attribut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mong the 16 characteristics. For the descriptive dat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carried out and identified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The PCA of rice confections for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could explain 85.66% of the variations. The Korean, Japanese, and Chinese rice confections were savory, gritty, and particle-sized, the other Korean local specialty rice confections were fruity, sweet, honey-flavored, compact, and crispy, and those from the USA were glossy, grainy, bright, adhesive, cohesive, crispy, and sweet.

국산 시판 로제 와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Rosé Wines)

  • 박정미;박혜진;정창원;최원일;김시동;윤향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89-899
    • /
    • 2017
  •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os{\acute{e}}$ wines marketed in Korea, 11 kinds of wines were purchased at the Korea Wine Festival in 2016. The color, physiological activity, aroma component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The hue value of $ros{\acute{e}}$ wines ranged from 0.592 to 1.990, with the Ro7 of Delaware having the highest value. The brightness of $ros{\acute{e}}$ wines ranged from 42.96 to 94.99, the redness from 3.20 to 59.37, and the yellowness from 8.43 to 24.83. Of the 11 $ros{\acute{e}}$ wines evaluated, 1 was a dry wine and 10 were sweet wines. The average sugar content of the sweet wines was 73.89 mg/mL. Among the organic acid contents, malic acid ranged from 0.214 to 2.903 mg/mL, and lactic acid content ranged from 0 to 3.423 mg/mL. Malolactic ferment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sourc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ros{\acute{e}}$ wines ranged from 50.55 to 99.55 mg%, the anthocyanin content was 2.12 to 213.30 mg/L,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os{\acute{e}}$ wines was between 73.75 to 90.41%. A total of 41 volatile components were detected, including 7 alcohols, 22 esters, 4 terpenes, 3 acids and 5 other compounds. Of these, 9 compounds had odor activity value(OAV) greater than 1; these were identified as 1-propanol (alcohol, pungent), 3-methyl-1-butanol (harsh, nail polish), ethyl butanoate (strawberry, lactic), isopentyl acetate (fresh, banana), ethyl hexanoate (green apple, fruity), ethyl octanoate (pineapple, pear, floral), ethyl decanoate (fruity, fatty, pleasant), linalool (flower, lavender) and limonene (lemone, orange).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Ro5 wine made from Campbell Early grape, and having a good color, flavor and taste, was the most preferred.

뽕나무 계통별 오디함유 rutin 분석 및 품종변이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Rutin in Mulberry Fruits)

  • 김현복;김선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5
    • /
    • 2004
  • Rutin은 GABA(γ-aminobutyric acid)와 더불어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상승 억제, 고혈압 치료, 동맥경화 및 중풍 예방 등 다양한 뽕잎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로서 인식되고 있다.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유망시되고 있는 오디를 뽕나무 계통별로 수확하여 rutin 분석을 실시하고 계통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품종육종 효율을 높임은 물론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계통의 평균함량은 0.14±0.050% DW이었으며, '사방소'는 0.29% D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심설'은 가장 낮은 함량인 0.05% DW를 나타냈다. 2. 오디 중의 생육시기에 따른 rutin 함량의 경시적인 변화를 살펴본 결과, 뽕잎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암뢰상', '청노상', '강선', '만생백피노상' 및 '사방소' 5계통 모두 수확시기가 이른 것의 오디에서 함량이 높았다. 3. Rutin 고함유 계통에 대한 오디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사방소', '휘카스', '강선', '중호상', '만생백피노상' 및 '팔청시평 ' 6계통의 과실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휘카스', '강선' 및 '팔청시평 ' 3계통은 수량, 과중, 당도 등 과실적 특성도 양호한 성적을 나타냈으므로 금후 오디생산과 기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품종선택시 활용할 가치가 있는 우수계통으로 선발하였다. 4. 건조방법 및 저장방법이 식물체의 rutin 함량에 영향을 미치므로 오디 건조 및 저장시 지나친 고온과 저온을 피해야 하며, 식품으로 가공시에도 이 점에 주의하여 생리활성물질인 rutin의 섭취량을 늘리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라비카 생두 등급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Coffee in Relation to the Classification of Green Arabica Coffee)

  • 최유미;윤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0-306
    • /
    • 2010
  • Arabica coffee has been classified for trading according to the New York Board of Trade (NYBOT) green coffee classifica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physiochemical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coffees classified by NYBOT as NY2 (specialty coffee), NY3/4 and NY4/5 (commercial coffee). The density of green coffee was higher for the NY2 sample. The amount of total solids in brewed coffee increase as the green coffee grade decreased and the pH levels decreased as the coffee grade decreased. Descriptive analysis using a 15cm line scale was carried out by 12 trained panelists prepared by espresso coffee and consumer preference tests were carried out by 168 consumers. The NY2 sample had the highest fruity, acidity, sweetness and aftertast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green, rio, sour and astringency characteristics increased as the coffee grade decreased. Acceptance of aroma, flavor, taste balance and overall were higher for the NY2 sample. In the consumer preference test, the NY2 and NY4/5 samples had a similar distribution, but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to 30 who like to drink brewed coffee more than instant coffee preferred the NY2 than sample over the NY3/4 sample. In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of green coffee classification in al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