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s and Vegetables

검색결과 1,100건 처리시간 0.027초

유전체 배리어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틸렌의 분해 (Decomposition of Ethylene by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 장두일;임태헌;이상백;목영선;박회만
    • 공업화학
    • /
    • 제23권6호
    • /
    • pp.608-613
    • /
    • 2012
  • 유전체 배리어 방전 플라즈마를 모사 농산물 저장시설($1.0m^3$)의 에틸렌 제거에 적용하였다. 에틸렌이 포함된 공기를 플라즈마 반응기에 유입시켜 처리한 후 다시 농산물 저장시설로 재순환하는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운전변수는 방전전력, 순환기체 유량, 초기 에틸렌 농도 및 처리시간이었다. 에틸렌의 분해속도는 주로 방전전력과 처리시간에 의해 결정되었다. 다른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플라즈마 반응기 후단에 이산화망간 오존분해 촉매를 설치했을 경우 오존분해 촉매가 없을 때 보다 에틸렌 제거속도가 더 빨랐는데, 이 결과는 플라즈마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오존이 농산물 저장시설에 유입 축적되어 에틸렌을 추가적으로 분해했기 때문이다. 에틸렌 초기 농도 50 ppm을 기준으로 하면 이를 완전히 분해하기 위한 에너지 요구량은 약 60 kJ이었다.

서울강북 및 양평지역 일부중학생의 식행동에 관한 연구 (Dietary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Yangphyung Area)

  • 조성정;김나영;한명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26-635
    • /
    • 2006
  • The eating attitudes, opinions related to health and eating habits of 382 middle school students (184 male, 198 female) living in Seoul Gangbuk and Yangphyung areas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Most middle school students (57.6%) didn’t eat breakfast. The main reasons for skipping the meal were lack of time (51.5%) and of appetite (39.3%). However, students (36.7%) recognized breakfast as being the most important meal. The self perception of health status showed that male students responded ‘good’ (58.7%) while female students responded ‘fair’ (48.5%). Overall, 42.4% of the mal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while 71.2% of the female students wanted to get thinner. More male students (76.4%) used various diet exercises for losing weight than female students (67.0%). Students living in Yangpyeung area (79.1%) used more diet exercises than those in Seoul (61.9%). More than half (57.3%) of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consider their food combination. More than half (56.0%) of male students took vegetables almost every meal while 50.1% of female students took them one meal per day. Mo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ok fruits more than 2-3 times per week. Students living in Yangpyeung area (58.0%) consumed more milk and than those in Seoul Gangbuk (43.4%). Male students preferred saltier food than female students. The eating habit scores were 1.90 in males and 1.85 in females and these score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family monthly food spending.

산화방지제 파이토케미컬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려할 점 (Considerations for the effects of antioxidant phytochemicals on human health)

  • 김대옥;이창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1-114
    • /
    • 2021
  • 과일, 채소, 곡물, 견과류 등에 함유된 파이토케미컬은 심혈관질환, 암, 퇴행성신경질환 등을 유발하는 활성산소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방지하는 산화방지제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유해물질로 간주되었던 활성산소는 최근에 면역 및 다른 생리적 반응 신호에서 인체에 유익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활성산소는 신진대사 건강을 증진시키는 필수 신호 전달 물질로 작용한다. 따라서, 산화방지제가 활성산소의 신호 전달에 간섭하는 것은 전반적인 이점에 의문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건강상의 이익을 위해 파이토케미컬을 기능성 식품과 보충제에 적용할 때 활성산소가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활성산소에 관한 연구를 계획하는 식품학자 및 영양학자들에게 가능한 연구 방향을 제공하고자 활성산소의 새로운 역할과 다양한 파이토케미컬의 호메시스를 간략하게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납 경구 섭취량 및 노출 특성의 변화 : 2011-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Variation of the Oral Intake and Exposure Characteristics of Pb among Young Ages in Korea: Data Analysis of 2011-2017 KNHANES)

  • 문찬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06-713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10대 청소년의 혈중 납 농도의 경시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영향 요인으로서 식품군 별 섭취 중량 및 납 섭취량의 경시적인 변화를 검토하였다. 2011, 2012, 2014, 2016 및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총 15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군의 혈중 납 농도는 2011년 조사에서 1.25 ㎍/100ml를 나타내었으며, 2012년 1.16 ㎍/100ml, 2013년 1.17 ㎍/100ml, 2016년 1.05 ㎍/100ml, 2017년 0.84 ㎍/100ml를 나타내어 경시적인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음식물 섭취 중량의 감소는 곡류, 감자 및 전분류, 두류, 버섯류, 채소류, 과일류의 식물성 식품군에서 나타났으며, 동물성 식품군의 유류에서도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들 식품군의 섭취 중량의 감소는 혈중 납 농도의 감소에 영향 요인이 될 수 있다.

Growth promotion effect of red ginseng dietary fiber to probiotics and transcriptome analysis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 Hye-Young Yu;Dong-Bin Rhim;Sang-Kyu Kim;O-Hyun Ban;Sang-Ki Oh;Jiho Seo;Soon-Ki H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159-165
    • /
    • 2023
  • Background: Red ginseng marc, the residue of red ginseng left after water extraction, is rich in dietary fiber. Dietary fiber derived from fruits or vegetables can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probiotics, and it is a key technology in the food industry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probiotics by adding growth-enhancing substances such as dietary fibe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ed ginseng dietary fiber (RGDF) on the growth of probiotic bacterial strains was investigated at the phenotypic and genetic levels. Methods: We performed transcriptome profiling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IDCC3501 in two phases of culture (logarithmic (L)-phase and stationary (S)-phase) in two culture conditions (with or without RGDF) using RNA-seq.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Gene Ontology terms. Results: The growth of L.plantarum IDCC3501 was enhanc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RGDF up to 2%. As a result of DEG analysis, 29 genes were upregulated and 30 were downregulated in the RGDF-treated group in the L-phase. In the S-phase, 57 genes were upregulated and 126 were downregulated in the RGDF-treated group. Among the upregulated genes, 5 were upregulated only in the L-phase, 10 were upregulated only in the S-phase, and 3 were upregulated in both the L- and S-phases. Conclusions: Transcriptome analysis could be a valuable tool for elucidating the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RGDF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L.plantarum IDCC3501. This growth-promoting effect of RGDF is important, since RGDF could be used as a prebiotic source without additional chemical or enzymatic processing.

Effects of Continuous Nutrition Care on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Habits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After Surgery

  • Jina Son;Ha I Kang;Eun young Jung;Hae won Ryu;Kyung-Ha Lee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99-115
    • /
    • 2023
  •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may experience symptoms such as diarrhea, nausea, and anorexia, during surgery and chemotherapy, which can increase the risk of malnutrition. In addition, dietary habits play a key role in the onset of colorectal canc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dietary habits to prevent recurrence during treatment after diagnosis. In this study, a clinical nutritionist conducted 4 interviews for patients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and scheduled for colectomy: before surgery, after surgery, 1st chemotherapy, and 2nd chemotherapy, and provided nutrition care for each treatment course to determine its effects on nutrition status and disease prognosis. Significant weight loss but no decrease in muscle mass was observed during treatment. Body fat mass,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responded 'yes' to the below items increased after compared to before receiving nutrition education: 'I eat meat or eggs more than 5 times a week,' 'I eat seafood at least three times a week,' 'I eat vegetables at every meal,' 'I eat fruits every day,' and 'I eat milk or dairy products every d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tients changed their dietary habit from a monotonous eating pattern to a pattern of consuming various food groups after receiving nutrition edu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nutrition care by clinical dietitians, according to the patient's treatment process, can help improve the patient's nutritional status and establish healthy eating habits.

향토자원의 융복합산업화를 위한 콘텐츠 제작 -충청남도 농업 6차산업화 경영체를 중심으로- (Production of Content for Regional Sources of the Convergence Industrialization -Based on Agricultural Management Entities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in Chungcheongnam-do-)

  • 강경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483-490
    • /
    • 2015
  • 연구 목적은 충청남도 융복합산업 농업 경영체의 향토자원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홍보용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농촌 융복합산업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남농어업6차산업협회 회원사에서 생산 및 판매되고 있는 향토자원이며, 총 70개의 자원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콘텐츠는 향토자원명과 소개글, 상품 메인 사진, 업체 및 상품 정보, 상품의 특 장점, 제품 특성, 체험 프로그램 안내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향토자원에 대한 스토리를 통해 제품의 가치와 의미를 전달하고, 대표 이미지를 추가하여 홍보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작성된 자료는 곡류, 과채류, 수산류, 축산류, 장류 김치류, 발효액 농축액, 주류 차류, 기타의 순으로 정리하였다. 자료는 pdf 파일로 저장하여 회원사에 배포하여 필요 시 출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온라인 홍보, 박람회 축제장 판촉전 등에서 제품 홍보, 게시판 복도 등에 게시물로 활용, 각국 언어로 번역하여 외국 판촉전의 홍보 자료로 활용 등이 가능하다.

저장 중 발광다이오드 광 조사가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Irradiation on Tyrosinase Activity during Storage)

  • 정효연;김정선;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85-788
    • /
    • 2015
  • 식품 저장 중 효소적 갈변을 일으키는 타이로시네이스의 활성을 저해시킬 수 있는 LED의 파장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LED와 형광등을 이용하여 타이로시네이스에 7일동안 조사하였다. 또한 강도에 따른 타이로시네이스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LED를 선택하여 빛의 강도를 3단계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파장에 따른 타이로시네이스의 활성 저해율은 형광등에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파란색 LED에서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빨간색 LED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한 저해율을 보였으며 초록색 LED에서 저해율이 가장 낮았다. 상대적 빛의 강도에 따른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은 초록색과 빨간색 LED 조사 시 효소활성의 변화가 크지 않았고, 반면 파란색 LED에서 강도가 증가할수록 큰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여러 가지 파장의 LED 중 고강도의 파란색 LED에서 타이로시네이스에 의한 식품의 갈변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갈변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과일 및 채소의 저장 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농업 및 생물계에서의 바이오 센서 (BIOSENSORS IN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YSTEMS)

  • Delwiche, M.J.;Jenkins, D.M.;Tang, X.;Jackson, E.S.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0년도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V.I
    • /
    • pp.76-100
    • /
    • 2000
  • 바이오 센서의 본질과 기능에 관한 일반적인 논의가 간단히 제시되었다. 바이오 센서개발에 대한 주 동기는 건강관리 산업이었지만, 최근의 연구 노력은 농업 및 생물 생산시스템에서의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우리 실험실에서 연구된 것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세 가지의 바이오 센서 예와 그들의 적용에 대해 소개한다. 첫째는 젖소의 번식관리 향상을 위해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을 착유할 때 측정하는 면역센서이다. 둘째는 우유에 있는 요소(尿素, urea)의 측정을 위한 효소 센서로서, 투여되는 단백질의 우유 단백질로의 전환효율을 구하기 위한 도구이며 이로 인해 젖소의 사양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는 신선하며 최소 가공된 야채와 과일을 씻은 물에 있는 극소량의 병원성 박테리아를 검출하기 위한 PCR(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DNA 센서이다. 농업과 농업생물공학, 식품가공 그리고 환경 모니터링에 있어서의 바이오 센서의 적용 가능성은 이제 겨우 이해되고 있다.

  • PDF

Potential Roles of Essential Oils on Controlling Plant Pathogenic Bacteria Xanthomonas Species: A Review

  • Bajpai, Vivek K.;Kang, So-Ra;Xu, Houjuan;Lee, Soon-Gu;Baek, Kwang-Hyun;Kang, Sun-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207-224
    • /
    • 2011
  • Diseases caused by plant pathogenic bacteria constitute an emerging threat to global food security. Xanthomonas is a large genus of Gram-negative bacteria that cause disease in several host plants leading to considerable losses in productivity and quality of harvests. Despite the ranges of controlling techniques availabl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and crop plants including fruits and vegetables continues to be a major concern to the agriculture industry. On the other hand, many of the currently available antimicrobial agents for agriculture are highly toxic, non-biodegradable and cause extended environmental pollution. Besides, the use of antibiotics has provoked an increased resistance among the bacterial pathogens and their pathovars. Thus, novel efficient and safe remedies for controlling plant bacterial diseases are necessar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worldwide on therapeutic values of natural products such as essential oils, hence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published data on the antibacterial efficacy of essential oils that could be considered suitable for application in agriculture as biocontrol measures against plant pathogenic bacteria of Xanthomonas species. The current knowledge on the use of essential oils to control Xanthomonas bacteria in vitro and in vivo models has been discussed. A brief description on the legal aspects on the use of essential oils against bacterial pathogens has also been presented. Through this review, a mode of antibacterial action of essential oils along with their chemical nature and the area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thoroughly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