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size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31초

Enterobacter cloacae YJ-1의 고정화세포에 의한 과일 폐기물로부터 수소생산 (Hydrogen Production from Fruit Wastes by Immobilized Cells of Enterobacter cloacae VJ-1)

  • 이기석;허양일;정선용;강창민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447-45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과일 폐액으로부터 고정화 세포를 이용하여 수소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각종 과일 폐액 중에 수박 폐액에서 환원당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수소생산량은 2319.2 mL/L이었다. 고정화 물질 sodium alginate의 농도와 크기에 따른 수소생산성 효과는 검토범위 내에서는 적었다. 고정화된 비드의 내부 관찰에서 세포가 왕성하게 생육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대사의 효소물질로 이용될 수 있는 각종 아미노산의 첨가는 종류에 관계없이 수소생산성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다. 금속이온 $FeSO_4$를 첨가한 결과 최적 농도는 1.2 g/L이고, 1.3배의 수소생산 증가를 나타났다. 수소생산정지 후 배양액의 유기산은 lactic acid와 butyic acid가 가장 많았다.

Analyses of Transpiration and Growth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as Affected by Moisture Content of Growing Medium in Rockwool Culture

  • Tai, Nguyen Huy;Park, Jong Seok;Shin, Jong Hwa;Ahn, Tae In;Son, Jung Eek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40-345
    • /
    • 2014
  • Since the moisture content (MC) of growing medium closely related with the crop transpiration, the MC should be included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irrigation control in soilless cul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anspiration of paprika plants using daily mean solar radiation (RAD) and vapor pressure deficit (VPD) as well as the growth of the plants at different MCs of rockwool growing media. The starting points of irrigation were controlled by a moisture sensor with minimum set points of 40%, 50%, and 60% of MCs. The canopy transpirations were measured for 80 to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analyzed. The transpirations were well regressed with a combination of both RAD and VPD rather than daily mean RAD only under the controlled MCs. The transpiration at 60% MC was higher than those at 50% and 40% MCs. Leaf area, leaf fresh and dry weights at 60% MC were higher than those at 50% and 40% MCs while the number of leav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M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mber of fruits and fruit size among all the MCs, while fruit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at 40% MC than other treatments. Fresh and dry fruit yields were the highest at 60% MC.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transpiration was affected by the MC of rockwool growing medium and the minimum set point of 50-60% MC of rockwool growing medium gave better effects on the growth of the paprika plants.

체리 잿빛무늬병에 관여하는 Monilinia fructicola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Monilinia fructicola Associated with Brown Rot of Cherry Fruit in Korea)

  • 최효원;홍성기;이영기;남영주;이재금;심홍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3-356
    • /
    • 2014
  • 2013년 8월,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과수원에서 체리 과실에 회색의 포자 덩어리가 발생하는 잿빛무늬병 증상이 관찰되었다. 과실에 갈색의 수침상 원형 병반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과실 전체가 부패하였다. 부패된 과실에 회갈색 내지 연회색의 포자덩어리가 관찰되었다. 병든 체리 과실에서 2개의 Monilinia균을 분리하여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M. fructicola로 동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리균은 모두 M. fructicola로 확인되었다. 체리 과실을 상처구와 무상처구로 구분하고, 포자현탁액을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한 결과, 접종 7일 후 상처의 유무에 관계없이 분리균을 접종한 부위에서 수침상의 둥근 병반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병을 Monilinia fructicola에 의한 체리잿빛무늬병으로 명명하며, 이 균에 의한 잿빛무늬병의 발생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사과의 과경절단이 과피에 상처발생, 작업노력 저장시 과중, 경도에 미치는 영향 (Occurrence of apple-skin wound, changes of input labor and changes of apple weight and flesh firmness by apple stalk cutting in 'Fuji' apple)

  • 정혜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21-29
    • /
    • 2006
  • 우리사과의 재배노력 절감으로 대외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몇가지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과 수확시 및 선별시 과경에 의한 과피의 상처발생은 선별시 보다 수확시에 많이 발생하였고 대과에서 상처발생이 심하였다. 사과 수확시 과경을 절단하면서 수확하면 과경을 절단하지 않고 수확하는 것보다 수확량이 반이하로 줄어서 수확노력이 배 이상 소요된다. 사과 선별기의 접시와 집적판 사이의 간격이 0cm인 경우에 소과에서 과피에 상처가 적게 발생하였다. 사과의 과경을 절단하여 저장하는 것이 과경을 무절단하여 저장하는 것 보다 과중이 크게 감소되어 저장시에는 사과의 과경을 절단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사과의 과경절단 유무에 따른 사과의 경도는 차이가 없었다. 경와부 밖으로 돌출된 사과과경의 길이는 사과의 크기와 차이가 없는 경향 이었다. 따라서 사과의 과경을 절단하지 않음으로서 과경절단에 소요되는 노력절감 및 과경절단 비용을 소득화 하고 원활한 대일 수출, 품질유지 등에 기여하였으면 한다.

조생종 추석용 단감 '초시' 육성 ('Chosi', Early Maturing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for 'Chuseok')

  • 마경복;조광식;강삼석;김윤경;황해성;최장전;한점화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24-427
    • /
    • 2019
  • 조생종 추석용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 2000년 '조홍시'에 '서촌조생'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묘를 전라남도 영암군 소재 배연구소 교배육성 포장에 식재하였고 그 중에서 과실 특성이 우수한 '00-10-135' 계통을 1차 선발하여 검토한 결과, 연차간 변이가 적고 특성이 우수하여 최종 선발하여 '초시'로 명명하였다. 과실의 숙기는 9월 19일경으로 조생종이며, 평균 과중은 161 g이고, 당도는 15.3 °Bx이었으며, 과즙이 많고, 과육이 아삭하여 식미가 우수하다. 과형은 편원형이고 과피색은 오렌지색으로 외관이 수려하고, 과정부 열과, 과피미세균열 등 생리장해가 발생하지 않아 재배관리가 쉽다(등록번호: 제7075호).

구기자 수집종(蒐集種)의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수양(收量)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Collected Boxthon(Lycium chinense Mill.) Varieties)

  • 이봉춘;백승우;김수동;윤덕상;박종상;곽태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7-154
    • /
    • 1999
  • 내병충(耐病蟲), 다수성(多收性) 구기자(拘杞子) 신품종(新品種)을 육성(育成)하기 위한 자료(資料)를 얻기 위하여 국내재내종(國內在來種) 5종(種), 육성종(育成種) 2종(種), 도입종(導入種) 4종(種)에 대하여 생육(生育) 특성(特性)과 수양성(收量性) 및 형질(形質) 과의 상관(相關), 경노계수(經路係數)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업종(蒐業種) 생육특성(生育特性)의 경장(經長)은 중국(中國) 수집종(蒐集種)이 $119{\sim}133cm$로 비교적(比較的) 큰 편이었고 분지수(分枝數)는 유성(儒城) 1호(號)가 많았으며 엽(葉)은 진도재내(珍島在來), 금산재내(錦山在來), 유성(儒城) 1호(號) 유성(儒減) 2호(號) 등(等) 이 광엽(廣葉)이었다. 2. 구기엽(枸杞葉)의 혹응애는 유성(儒城) 2호(號), 중국(中國) 1호(號), 일본(日本) 1호(號) 등(等)이 강(强)한 편이었으며, 과실(果實)분의 탄저병(炭疽病)은 일본(日木) 1호(號), 중국(中國) 1호(號) 등(等)이 10%미만(未滿)의 리병흑률(罹病黑率)을 보였다. 3. 개화기(開花期)는 청양재내(靑陽在來)가 빠른 편이었으며 1과당(果當) 종자수(種子數)는 중국(中國) 1호(號)가 30.5개(個)로 많았고 과육비률(果肉比率)은 영갱(寧更)가 높았다. 과실(果實) 크기 와 100과중(果重)은 금산재내(錦山在來), 유성(儒城) 2호(號)가 크고 무거웠다. 4. 1주당(株當) 과실(果實)의 착과수(着果數)는 유성(儒城) 2호(號)가 1,623개(個)로 수집종중(蒐集種中)에서 가장 많았으며 10a당(當) 건과(乾果) 수양(收量)은 청(靑) 양재내(陽在來)(152kg/10a)에 비하여 유성(儒城) 2호(號)가 86% 증수(增收)되 었다. 5. 과실(果實) 수량(收量)과 상관(相關)이 높았던 형질(形質)은 착과수(着果數), 분지수(分枝數), 엽(葉)크기였으며, 경노계수(經路係數) 분석(分析)에 의한 직접효과(直接效果)가 큰 것은 착과수(着果數)(Py=0.45) 였다.

  • PDF

우리 나라 지방자치단체 식재 조례 기준의 현황 및 개선방향 (A Study on Improvements of Local Governments' Planting Regulations in Korea)

  • 최일홍;황경희;이규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4-206
    • /
    • 1998
  • In 1977, Local governments' planting regulations for the development projects wer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building law in Korea. A landscaped area, planting densities of trees and shrubs, a percentage of evergreen plants, minimum tree size and species were prescribed in the planting regulations. But the clauses for an excessive planting density and a high ratio of evergreen trees that the regulations includes, have been gradually in the way to a creative planting design, and raise a problem of poor growth of trees an a disordered planting landscap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sent planting regulations of 124 local governments throughout the country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13 foreign local governments' of 4 countries ; Japa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anada and Singapore. And the lini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ulations are drawn as follows ; 1. The regulations focus on controlling the green spaces and plantings by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controlling the number of trees and the landscaped area, which are inadequate for estimating the crown coverage of mature trees, and which areinadequate for estimating the crown coverage of mature trees, and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polantings and the use of green spaces. 2. Minimums of tree densities are higher than those of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higher about 10 times to 100 times than thos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3.Excessive number of evergreen trees and fruit trees should be planted under the present planting regulations, that results in constricting the creativity in planting design. 4. An article for using specific tree size, 2.0ms over in height makes it difficult to use a wide variety of different sizes of trees. And there is no incentive measures when larger trees are plan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green spaces and plantings, it is needed that the function and locating of green spaces and plantings have to be emphasized, and the planting density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mature tree size. The incentive measure to use various sizes of trees is also needed, and the regulations to use excessive number of evergreen trees or fruit trees should be loosened.

  • PDF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여주 무름병 (Rhizopus Soft Rot on Momordica charantia Caused by. Rhizopus stolenifer in Korea)

  • 권진혁;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4-207
    • /
    • 2005
  •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경남 창원시 대산면 북부마을 여주재배 농가에서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여주 무름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처음 과실껍질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 내외로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며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한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회색을 나타내며 포자낭을 균사 끝에 형성하고 폭은 $15\~30{\mu}m$ 이었다. 포자낭은 처음에 흰색에서 나중에 검은색으로 되었고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90\~180{\mu}m$이었다. 주축의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80\~150{\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불규칙한 것이 많으며 크기는 $7\~18{\times}6\~12{\mu}m$이었다. 이상과 같은 병원균의 균학적 및 병원학적 특성조사 결과로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 (Ehrenberg ex. Fr.) Lind에 의한 여주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복분자딸기 클론별 과실특성과 항산화 활성 탐색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for the Fruit by Rubus coreanus Miq. Clones)

  • 김세현;정헌관;장용석;박영기;박형순;김선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1호통권158호
    • /
    • pp.11-15
    • /
    • 2005
  • 식 약용 자원으로 활용도가 매우 높고 약리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잘 알려진 우리나라 자생 복분자딸기 선발클론의 과실특성과 당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과실의 채취시기별 특성과 당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과실횡경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에서 클론간, 채취 시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클론별로 SG 3호가 5클론들 중 가장 높은 당도를 나타낸 반면에 CJ 18호와 SH 3호 등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조사된 당도요인과 동일 기간 수원기상대에서 측정된 최고기온, 강수량 등 일별 기상자료들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최고기온이 $29.5^{\circ}C$ 이상일 때에는 전일에 비하여 당도의 상승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121.5 mm의 강수량이 기록되었던 7월 22일과 그 다음날에는 당도의 하향 경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일강수량이 0.1 mm만을 기록한 7월 18일 오후까지의 당도는 평균 당도인 9.7 Brix보다도 높은 10.4- 11.5 Brix로 나타났다. 과실의 채취층위별 특성과 당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조사된 클론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채취층위에 있어서는 당도요인만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클론별로는 MJ 11호가 15클론들 중 가장 크고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당도에 있어서는 10.3 Brix로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고 HAE 5호와 MC 9호는 불량한 과실특성을 나타낸 반면에 당도는 10.6 Brix와 13.4 Brix로 평균 당도인 9.8 Brix보다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채취층위별 당도는 상층부에서 채취한 과실의 평균 당도가 10.2 Brix로 중 하층부에서 채취한 과실의 평균 당도 9.7 Brix와 9.5 Brix 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총 30클론의 과실에 대한 Free radical 소거능에 기인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된 클론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미숙과는 250~ 1,000 ppm의 농도에서 94.5~95.7%의 높은 소거능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경조건이 표고톱밥배지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 to the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Berkeley) Sing. during sawdust bag cultivation)

  • 김영호;전창성;박수철;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5-121
    • /
    • 2009
  • 표고 톱밥배지의 갈변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광을 조사한 결과 100Lux 이상의 광처리에서 원하는 수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암상태에서의 자실체의 발생은 기형버섯율이 높았으며 수량도 저조하였다. 그러나 갈변은 200 Lux이상의 광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장 빨리 갈변이 되기 시작하였다. 온도별 처리에서는 $25^{\circ}C$의 배양온도를 유지하여 배양한 것이 갈변시작일도 가장 빨랐고 갈변도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수량과 개체중량도 가장 높았으며 정상적인 수량을 나타낸 처리 중 기형버섯의 발생량도 가장 적었다. 배지내에 통기성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솜마개의 크기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마개의 크기가 클수록 균사의 생장량도 빨랐으며 갈변이 이루어지는 시기도 빨랐다. 그러나 자실체의 수량은 솜마개의 직경이 16mm일 때 가장 높았으며 마개가 클수록 배지내의 $CO_2$함량은 낮았으며 배양기간 중 갈변이 진행되는 8주에서 14주 사이에서 $CO_2$함량이 가장 높았다. 배양기간 중 $C_2H_4$함량은 8mm의 솜마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12, 16, 20, 0, 4mm의 솜마개으로 발생하였다. $C_2H_4$함량도 $CO_2$함량과 같이 8주에서 14주사이의 배양기간에서 가장 높았다. 침수시간에 따른 자실체의 발생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침수시간별로 자실체의 수량과 효소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침수를 하지 않은 배지는 수량이 침수를 한 배지에 비하여 약 40%가 감소하였다. 침수시간은 4시간과 15시간 침수한 것이 각각 165g/1000ml, 175g/1000ml 이었다. 침수시 cellulose분해효소는 침수에 따른 변화가 없으나 lignin 분해효소인 laccase는 침수시간에 따라 약 4 배정도까지 효소의 활력이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