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Quality

검색결과 1,375건 처리시간 0.032초

Improvement of Shelf-life and Quality in Fresh-Cut Tomato Slices:

  • Hong Ji Heu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4년도 총회및 심포지움
    • /
    • pp.67-72
    • /
    • 2004
  • Quality of fresh-cut tomato slices was compared during cold storage under variou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conditions. Chilling injury of slices in containers sealed with Film A was higher than with Film B; these films had oxygen transmission rates of 87.4 and 60.0 ml $h^{-1}\;m^{-2}\;atm^{-1}$ at $5^{\circ}C\;and\;99\%$ RH, respectively. While slices in containers with an initial atmospheric composition of air, $4\%\;CO_2+1\;or\;20\%\;O_2,\;8\%\;CO_2+1\;or\;20\%\;O_2,\;or\;12\%\;CO_2+20\%\;O_2$ showed fungal growth, slices in containers with $12\%\;CO_2+1\%\;O_2$ did not. Low ethylene in containers enhanced chilling injury.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provided good quality tomato slices with a shelf-life of 2 weeks or more at $5^{\circ}C$.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changes in quality of slices of red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Sunbeam') fruit from plants grown using black polyethylene or hairy vetch mulches under various foliar disease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no fungicide applications (NF), a disease forecasting model (Tom-Cast), and weekly fungicide applications (WF), during storage at $5^{\circ}C$ under a modified atmosphere. Slices were analyzed for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SSC), titratable acidity (TA), pH, electrolyte leakage, fungi, yeasts, and chilling injury. With both NF and Tom-Cast fungicide treatments, slices from tomato fruit grown with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mulch were firmer than those from tomato fruit grown with black polyethylene mulch after 12 days storage. Ethylene production of slices from fruit grown using hairy vetch mulch under Tom-Cast was about 1.5- and 5-fold higher than that of slices from WF and NF fungicide treatments after 12 days,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water-soaked areas (chilling injury) for slices from tomato fruit grown using black polyethylene mulch under NF was over 7-fold that of slices from tomato fruit grown using hairy vetch under Tom-Cast. When stored at $20^{\circ}C$, slices from light-red tomato fruit grown with black polyethylene or hairy vetch mulches both showed a rapid increase in electrolyte leakage beginning 6 hours after slicing. However, slices from tomato fruit grown using the hairy vetch mulch tended to have lower electrolyte leakage than those grown with black polyethylene mulc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mato fruit from plants grown using hairy vetch mulch may be more suitable for fresh-cut slices than those grown using black polyethylene mulch. Also, use of the disease forecasting model Tom-Cast, which can result in lower fungicide application than is currently used commercially, resulted in high quality fruit for fresh-cut process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if ethylene influences chilling injury, as measured by percentage of slices exhibiting water-soaked areas in fresh-cut tomato slices of 'Mountain Pride' and 'Sunbeam'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Ethylene concentration in containers without venti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torage at $5^{\circ}C$, whereas little or no accumulation of ethylene occurred in containers with one or six perforations. Chilling injury was greatest for slices in containers with six perforations, compared to slices in containers with one perforation, and was over 13-fold greater than that of slices in control containers with no perforations. An experiment was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including an ethylene absorbent pad in containers on subsequent ethylene accumulation and chilling injury. While ethylene in the no-pad controls increased continually during storage of both 'Mountain Pride' and 'Sunbeam' tomatoes at $5^{\circ}C$ under modified atmosphere conditions, no increase in accumulation of ethylene was observed in containers containing ethylene absorbent pads throughout storage. The ethylene absorbent pad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chilling injury compared with the no-pad control. In studies aimed at inhibiting ethylene production using AVG during storage of slices, the concentration of ethylene in control containers (no AVG) remained at elevated levels throughout storage, compared to containers with slices treated with AVG. Chilling injury in slices treated with AVG was 5-fold greater than that of controls. Further, we tested the effect of ethylene pretreatment of slices on subsequent slice shelf-life and quality. In slices treated with ethylene (0, 0.1, 1, or $10\;{mu}L\;L^{-1}$) immediately after slicing, ethylene production in non-treated controls was greater than that of all other ethylene pre-treatments. However, pretreatment of slices 3 days after slicing resulted in a different pattern of ethylene production during storage. Ihe rate of ethylene production by slices treated with 1 L $L^{-1}$ ethylene 3 days after slicing was greater during storage than any of the other ethylene treatments. With slices pre-treated with ethylene, both immediately and 3 days after slicing, the rate of ethylene production tended to show an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ling injury. Chemical name used: 1-aminoethoxyvinylglycine (AVG).

  • PDF

Diagnosis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Major Fungal Fruit Rots on Kiwifruit in Korea

  • Kim, Gyoung Hee;Koh, Young Jin
    • 식물병연구
    • /
    • 제24권2호
    • /
    • pp.113-122
    • /
    • 2018
  • Ripe rot, Botrytis storage rot and Sclerotinia rot are major fungal diseases that lead to deterioration of fruit quality in Korea. Ripe rot, which is caused by Botryosphaeria dothidea, affects harvested fruits during post-storage ripening, while Botrytis storage rot, caused by Botrytis cinerea, affects harvested fruits during cold storage, and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mainly affects immature fruits on the trees. Major fungal fruit rots tend to affect yellow- and red-fleshed cultivars of kiwifruit more severely because of the sharp increase in their cultivation acreage in recent years in Korea. In this review, we summarize symptoms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fungal fruit rots and propos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s of the diseases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at the farmers' orchards in order to prevent the diseases based on our research works and field experiences and the research works of others conducted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worldwide.

과실 비파괴평가용 초음파 변환기 개발 (Development of Ultrasonic Transducer for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Whole Fruit)

  • 김기복;이상대;김만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4호
    • /
    • pp.269-275
    • /
    • 2007
  • In this study, ultrasonic transducers for non-destructive contact measurement of whole fruits were developed. The design parameters for ultrasonic transducer such as acoustical impedance of fruits, kinds of piezoelectric materials, ultrasonic wave frequency, and transducer diameter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match the acoustical impedance between piezoelectric material and fruit, various materials were fabricated and evaluated. Also to control the sensitivity and bandwidth of the ultrasonic transducer, various backing materials were fabricated and evaluated. Especially, the wear plate of the ultrasonic transduce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considering the curvature of fruit. The central frequencies of two developed ultrasonic transducers were about 100 kHz and 200 kHz, respectively. With the developed ultrasonic transducers,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the fruit will be possible.

오디 첨가한 식혜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a$ with Mulberry Fruit)

  • 김정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6-215
    • /
    • 2012
  • 본 연구에서 오디를 첨가하여 당화와 식혜의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화기간 동안의 pH의 변화는 오디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였으며 당화 4시간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irc}Brix$는 4시간까지는 매시간 1 $^{\circ}Brix$이상 증가하고, 4시간 이후는 변화폭이 1 $^{\circ}Brix$이하로 감소하여 당화시간은 4-5시간이 적당한 것으로 보여진다. 오디 식혜의 색도는 L 값은 감소하고 a 값과 b 값은 증가하였고 오디 식혜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오디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오디의 anthocynin색소에 미생물 억제 효과가 있으며 오디 식혜의 기호도는 10% < 30% < 15% < 20% < 0% < 25% 이었고 오디의 첨가량은 10% 초과 25% 이하가 바람직한 것으로 보여 지며 오디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오디 식혜의 당도는 증가하여 오디의 첨가는 식혜의 설탕 사용량을 감소시킬 것으로 보여 지며 제품의 색깔과 산미를 부여하여 기호를 증진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래 과실의 생육시기별 과실품질과 후숙 특성에 따른 수확적기 (Optimal Harvest Time by the Seasonal Fruit Quality and Ripening Characteristics of Hardy Kiwifruit in Korea)

  • 김철우;오성일;김만조;박영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53-358
    • /
    • 2014
  • 다래의 수확적기를 판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래 신품종 '새한', '대성' 및 '칠보'의 생육시기별 과실품질과 후숙 특성을 조사하였다. 과실의 비대는 '새한', '대성' 및 '칠보'의 경우 각각 만개 후 66일, 85일 및 78일 까지 진행되었다. 생장곡선은 3품종 모두 이중 S자형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세 품종 모두 과실 무게가 증가할수록 과실 내 종자수가 많아지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 = 0.94~0.97, p<0.01). 과실의 크기,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함량에서 품종 간 및 과실의 생육시기 간에 통계적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산함량은 3품종 모두 수확적기까지 증가하였고, 수확적기의 산함량은 '새한' 1.77%, '대성' 1.22%, '칠보' 1.37%로 나타났다. 수확 후 후숙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확적기의 만개 후 생육일수는 '새한'이 108일(9월 23일), '대성'과 '칠보'가 92일(9월 9일)로 나타났다.

유과기 소봉지 괘대가 '화산배' 병해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all Paper Bag Coverage at Young Fruit Stage on the Reduction of Fruit Damage Incidence and Quality Deterioration during 'Hwasan' Pear Cultivar)

  • 박영식;정햇님;이제창;엄남용;홍세진;허재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31-841
    • /
    • 2017
  • 본 연구는 '화산배' 품종에서 유기재배 동안 유과기 소봉지 괘대가 과실의 병해충 발생과 과실품질 저하 방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5년 4월부터 9월까지 유기농 배 과원에서 과실의 생산성과 상품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병해충에 발생량을 검정하였다. 4가지의 주요 나방류 해충 중 복숭아순나방이 유기농 과원에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으며, 이들은 4월과 5월 사이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가지의 주요 병해 중에서는 붉은별무늬병과 검은별무늬병의 발생량이 많았으며, 특히 5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과기에 소봉지 괘대는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따른 간섭을 억제하는데 기여함으로서 봉지 괘대 시기에 상관없이 관행 봉지 괘대 처리법보다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상품성을 가진 과실의 생산 비율을 증진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월 중 가장 빠르게 소봉지 괘대가 이루어졌던 실험구간에서 병해충에 대한 소실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과실이 가장 많이 비대 되고 당도도 가장 많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산배'에 있어 빠른 소봉지 괘대가 유기재배를 위한 효과적인 관리기법 중 하나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유' 단감 MAP 저장에서 과실 크기에 따른 PE 필름 봉지의 적정 규격 (Optimal Dimension of PE Film Bag According to Fruit Size in MAP Storage of 'Fuyu' Persimmon Fruit)

  • 이용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33-739
    • /
    • 2004
  • 과실의 연화 및 변색이 가장 적게 발생되는 과실 크기별 봉지 규격을 구명하고 이와 더불어 연화 및 변색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봉지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최적 기체 농도가 이루어지도록 PE 필름 봉지의 적정 규격을 모델링하고자 하였다. 다섯 등급으로 선과된 과실(LL:261g, L:217g, M:188g, S:168g, SS:154g)을 작업성과 미관을 고려하여 과실과 봉지 사이의 간격을 1-1.5cm 되게 PE 필름 봉지를 적용시켰을 때, LL은 150mm, L은 140mm, M과 S는 130mm, SS는 120mm의 봉지 폭에 각각 376mm, 357mm, 344mm, 333mm, 318mm의 봉지 길이가 적절하였다. 연화 및 흑변과 갈변 발생을 최소화하는 봉지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각각 0.5-1.0%와 6.0-8.0%였으며, 이를 유지할 수 있는 과실 크기별 PE 필름 봉지의 최적두께는 LL은 $45{\mu}m$, L은 $50{\mu}m$, M은 $55{\mu}m$, S는 $60{\mu}m$, SS는 $65{\mu}m$로 조사되었다. 주어진 과실 크기에 맞는 봉지의 면적$(mm^2)$은 과실의 중량(g)에 대한 2차 단순회귀$(Y=-4055.707+627.993X_1-0.701{X_1}^2)$가 매우 적합하였고, 이 때 PE 필름 봉지 내에 원하는 수준의 산소나 이산화탄소 농도(Y, %)를 유지할 수 있는 PE 필름의 두께를 구하는 회귀식은 과실 중량$(X_1,\;g)$과 봉지 두께$(X_2,\; {\mu}m)$의 선형 중회귀$(O_2:Y=5.798-0.0109X_1-0.0491X_2,\;CO_2:Y=-2.427+0.01927X_l+0.09646X_2)$가 가장 적합하였다.

1-Methylcyclopropene이 'Formosa' 자두의 품질과 유통기간 연장 (Fruit Quality of 1-Methylcyclopropene Treated 'Formosa' Plum on the Shelf Life at Ambient Temperature)

  • 정재훈;김영칠;정석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29-433
    • /
    • 2010
  • 본 연구는 1-MCP가 'Formosa' 자두의 저장 중 품질 변화와 유통기간 연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수확한 'Formosa' 자두를 균일한 크기와 색깔로 선별한 후 수확 당일 그리고 수확 후 1일 후에 걸쳐서 각각 1-MCP를 $1{\mu}L{\cdot}L^{-1}$ 농도로 $20^{\circ}C$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하여 대조구(무처리)와 비교하였다. 1-MCP를 처리한 후 14일 동안 상온에서 자두의 연화도, 과중감소율, 가용성고형물 함량 변화, 산도, 그리고 과실의 색깔 변화를 측정하였다. 과중감소율과 과실연화도는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서 적은 변화폭을 보여주었다. 1-MCP 처리 시기(수확당일 그리고 수확 후 1일) 간에는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1-MCP처리구의 과실에서는 산도와 과실의 색깔 변화가 무처리구에 비해서 적게 나타났다. 또한 1-MCP는 저장 중에 발생하는 과실의 부패병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1-MCP 처리시기(${\geq}1$일) 연장은 상온저장시 과실의 경도, 산도, 과일 색깔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과실품질 유지에 실용성이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GA 도포제의 처리시기가 '감천배'와 '황금배'의 생육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Time of GA Paste on Tree and Frui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Kamcheonbae' and 'Whangkeumbae' Pears)

  • 윤철구;김선규;임상철;김학현;김영호;이철희;최관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83-386
    • /
    • 2000
  • $GA_{4+7}$ 도포제의 처리시기가 '감천배'와 '황금배'의 생육과 과실의 품질 및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만개 후 25일, 35일 및 45일에 과경에 25 mg을 도포하였다. '감천배'의 과중은 처리시기가 늦어질수록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두 품종 모두 산도는 만개 후 45일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경도는 '감천배'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황금배'는 처리로 증가하였다. 숙기는 두 품종 모두 4일 촉진되었다. '감천배'는 7월 상순경부터 모든 처리구에서 과중이 급격히 증가한 것에 비해, 대조구에서는 9월 상순 이후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황금배'에서도 같은 경향이었으나, 9월 상순 이후부터 처리에 관계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과중의 증가가 둔화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