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Harvesting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6초

폐광의 냉기 및 냉수를 활용한 야냉육묘가 딸기의 화아분화 촉진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Cool Air and Water from an Abandoned Coal Mine on the Induction of Flower Bud Differentiation of Strawberry Plants)

  • 김일섭;유근창;강화석;정천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1호
    • /
    • pp.15-17
    • /
    • 1998
  • 폐광에서 유출되는 냉기 및 냉수를 활용하여 시설내에서 딸기를 야냉단일처리하여 개화, 화방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개화율은 정식 70일후 대조구에서 65% 이하로 나타났지만, 야냉단일 처리구에서는 품종과 처리에 관계없이 100% 이었다. 화방 및 화뢰수는 전 품종에서 대조구에 비해 야냉단일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평균 개화일수도 야냉처리에서 7-15일 정도 단축되었다. 과실 및 총수량은 '수홍'이 5주 처리에서 개당 24.2g으로 가장 많았고, 대조구에 비해 야냉단일 처리구에서 수확기간내의 총수량이 6-7배 증가하였으며, 평균 수확일은 정식 후 80-97일로 나타났다.

  • PDF

과실(果實)의 점탄성(粘彈性) 특성(特性)(I) - 응력이완거동(應力弛緩擧動) - (Viscoelastic Properties of Fruit Flesh(I) - Stress Relaxation Behavior -)

  • 김만수;박종민;최동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7권3호
    • /
    • pp.260-271
    • /
    • 1992
  • Fruits are generally subjected to mechanical forces during harvesting, handling, and transportation that may cause damage in the form of bruises, punctures, and cracks. In order to prevent damage, and insure better quality fruits for consumers, it is very essential to study phys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The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torage period, storage condition, and other factors, such as loading rate and initial strain, on the stress relaxation behavior of the fruit flesh, and develop nonlinear viscoelastic models to represent its stress relaxation behavi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 1. Since the viscoelastic behavior of the fruits flesh was nonlinear, the behavior was satisfactorily modelled as follows ; $${\delta}({\varepsilon},\;t)={\varepsilon}^A[B\;{\exp}(-Ct)+D\;{\exp}(-Ft)+G(-Ht)]$$ But, for the every strain applied, the stress relaxation behavior of the fruit flesh, such as apple and pear, could be well described by the Generalized Maxwell model, respectively. 2. The effect of loading rate on the stress relaxation behavior was remarkable. The higher loading rate resulted in the higher initial stress, and the faster stress relaxation. 3. The higher initial strain resulted in the higher initial stress, and stress relaxed at the large initial strain was also much higher than at the small initial strain. 4. Stress relaxation rate and quantity stored in the fruits at the low temperature storage were much higher than those at the normal temperature storage in the same storage period. Also, in all fruits tested, the longer storage period was the more relaxation rate and quantity were shown. These trends in the normal temperature condition was the more significant than in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stharvest Spoilage Fungi from Mulberry Fruit in Korea

  • Kwon, O-Chul;Ju, Wan-Taek;Kim, Hyun-Bok;Sung, Gyoo-Byung;Kim, Yong-So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1-228
    • /
    • 2018
  • BACKGROUND: Spoilage fungi can reduce the shelf life of fresh fruits and cause economic losses by lowering quality. Especially, mulberry fruits have high sensitivity to fungal attack due to their high water content (> 70%) and soft texture.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se fruits is prone to damage during harvesting and postharvest handling. However, any study on postharvest spoilage fungi in mulberry fruit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poilage fungi occurring in mulberry fruits during storage after harvest.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isolated postharvest spoilage fungi from mulberry fruits stored in refrigerator (fresh fruits) and deep-freezer (frozen fruits) and identified them.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comparisons of the ITS rDNA sequences, the 18 spoilage fungi isolated from mulberry fruits and the 25 reference sequences were largely divided into seven groups that were subsequently verified by high bootstrap analysis of 73 to 100. Alternaria spp. including A. alternate and A. tenuissima, were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fungi among the spoilage isolates: its occurrence was the highest among the 18 isolates (38.9%).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increasing the shelf life of mulberry frui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control measures against infection by spoilage fungi during storage.

무등산수박과 달고나수박의 관비재배와 양액재배에 있어서 생육 및 과실품질의 비교 (Comparisons of Growth and Fruit Quality of Citrullus lanatus cv. Mudeungsan and Citrullus vulgaris cv. Dalgona Grown in Fertigation and Soilless Culture)

  • 이범선;정순주;박순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9
    • /
    • 1999
  • 무등산수박과 달고나수박을 관비재배 및 양액재배에 대하여 비교 실험한 결과, 엽수는 달고나수박이 많은 반면 엽면적은 무등산수박이 높게 나타났고, 생체중 및 건물중에 있어서도 무등산수박이 달고나수박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엽수, 엽면적, 줄기당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은 양액재배에서 더 양호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재배방식에 관계없이 당도는 달고나 수박이 무등산수박보다 훨씬 더 높은 반면 과실무게는 무등산수박이 더 높게 나타났다. 수박의 엽병내 질소함량은 정식후 15일에는 11.4∼13.4mg/gFW, 과실비대기에는 17.1∼20.6mg/gFW, 정도로 상승하였다. 인산은 생육초기 3.7∼5.7mg/gFW 정도에서 수확기에 이르면 0.6∼l.1mg/gFW 정도로 감소하였다. 칼리는 생육초기에 5.8∼6.6mg/gFW 정도였으나 수분기부터는 4.0∼4.8mg/gFW 범위로 흡수되었다. 칼슘의 흡수는 생육초기에는 양액재배 수박이 3.4∼4.1mg/gFW 범위로 관비재배 수박의 2.5∼3.5mg/gFW 범위보다 약간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관비재배 수박의 흡수량이 양액재배 수박의 흡수량보다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마그네슘의 흡수는 생육초기에 관비재배에서 훨씬 더 용이하게 흡수되는 경향이었으나 수분기 부터는 0.9∼l.3mg/gFW 범위로 일정하였다. 본 실험결과 무등산수박의 양액재배를 통한 품질향상 및 주년재배의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 PDF

단감 지대(地帶) 토양 및 과수(果樹)의 영양상태(營養狀態)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Diagnosis of the Soil and the Plant Leaves in Sweet Persimmon Cultivation Area of Jinyoung)

  • 하호성;박도병;허종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8-269
    • /
    • 1982
  • 김해(金海) 진영(進永)단감지대(地帶)의 과원토양(果園土壞) 및 과수(果樹)의 영양상태(營養狀態)를 진단하기 위하여 1981년(年) 5월(月), 7월(月) 및 10월(月) 의 3회(回)에 걸쳐 55개과원(個果園)(품종(品種) : 부유(富有))의 단감엽(葉)을 채취분석(採取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과원토양은 대부분(大部分)이 자갈을 20% 이상(以上)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2. 유목과원(幼木果園)의 토양은 강산성(强酸性)이었고 수령(樹令)이 높을수록 약산성(弱酸性)을 띄고 있었다. 3. 토양중 유효인산함량은 과원별(果園別) 변화가 컸으며 석회(石灰) 함량(含量)이 낮았다. 4. 시기별(時期別) 엽내(葉內)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은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는 5월(月)에 비(比)하여 7월(月) 및 10월(月)이 낮았고 칼슘, 마그네슘, 소디움의 함량(含量)은 그 반대경향이었다. 5. 엽내(葉內) 붕소함량(硼素含量)은 5월(月)과 7월(月)은 비슷하였으나 수확기(10월(月))는 현저(顯著)히 높았다. 6. 철과 망간의 엽내함량(葉內含量)이 타과수(他果樹)에 비(比)하여 높은 편이었다. 7. 과원(果園)에 따른 엽내(葉內)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 차이(差異)는 철동, 붕소(硼素)가 크게 나타났다. 8. 수령별(樹令別) 엽내(葉內) 무기성함량(無機成分含量) 차이(差異)는 성분(成分)에 따라 일정(一定)치 않았으나 질소(窒素)는 수령(樹令)이 높을수록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 PDF

현장 열수처리에 따른 온실재배 온주감귤 상품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Effect of On-site Postharvest Hot Water Treatment on Storage Quality of Commercial Greenhouse Satsuma Mandarin)

  • 이현희;홍석인;손석민;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77-582
    • /
    • 2011
  • 감귤의 유통 중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열수처리를 실제 생산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상용 선과장의 선과시설에 열수처리 장치를 장착하여 온실재배 온주감귤을 대상으로 현장처리 실험을 실시한 후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수확후 감귤을 65$^{\circ}C$의 열수로 10초간 분무한 열수처리구와 무처리 대조구를 5$^{\circ}C$에서 3주, 이후 18$^{\circ}C$에서 1주간 저장하면서 생리특성 및 품질특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 호흡률은 열수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pH,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중량감소, 경도, 표피 색과 같은 품질인자 항목에서도 열수처리에 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열수처리는 저장 중 꼭지 썩음, 곰팡이 썩음, 표피 흑변 등의 부패과 발생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동시에 표면 광택을 포함한 외관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장실험에서 적용한 열수처리는 상품감귤의 유통 중 신선도 유지용 수확 후 전처리 방법으로서 상당히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dot$서동 하우스내 이랑위치별 환경과 참외 생육 (Effect of Environment on Plant Growth of Oriental Melon in South-North Directed Ridges under East-West Oriented Vinyl house)

  • 신용습;박소득;김주환;서영진;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1
    • /
    • 2005
  • 참외 시설하우스는 거의 대부분 단동형이며 논의 형태에 따라 동$\cdot$서동, 남$\cdot$북동으로 설치되어 있다. 동$\cdot$서동의 경우 남쪽이랑과 북쪽이랑을 만들어 참외를 재배하는데 이랑위치에 따라서 초기생육 차이가 크다. 본 시험은 동$\cdot$서동 하우스내 이랑위치별 온도, 조도 및 초기생육을 구명하기 위하여 금싸라기은천참외에 신토좌 접목묘를 1월 18일 정식하여 12온스 보온부직포를 이용하여 무가온 재배하였다. 2월 15일 터널내 최저온도는 남쪽이랑은 $11.3^{\circ}C$, 북쪽이랑은 $12.5^{\circ}C$, 최고온도는 남쪽이랑은 $34.7^{\circ}C$, 북쪽이랑은 $36.7^{\circ}C$로 남쪽이랑에 비하여 북쪽이랑에서 최저온도는 $1.2^{\circ}C$높았고 최고온도도 $2.0^{\circ}C$높았다. 일사량은 9시부터 10시 30분까지는 남쪽이랑과 북쪽이랑이 비슷하였으나 10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는 남쪽이랑에서 일사량이 많았고 1띠 30분부터 17시 30분까지는 북쪽이랑에서 일사량이 많았다. 정식 55일 후까지의 생육은 남쪽이랑에 비하여 북쪽이랑에서 초장, 경경, 엽수 등 생육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암꽃 개화 및 첫 수확일수도 남쪽이랑에 비하여 북쪽이랑에서 빨랐으며 남쪽이랑에 비해 북쪽이랑에서 상품율은 $6.7\%$ 10a당 수량은 218kg 더 많았다.

큰느타리버섯 신품종 '새곤지'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variety Pleurotus eryngii, Saegonji)

  • 하태문;최종인;전대훈;지정현;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7-131
    • /
    • 2014
  • 큰느타리버섯의 품종다양화와 보급확대를 목적으로 발생개체수가 적고 생력재배에 적합한 "새곤지"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을 위한 적정온도범위는 $23{\sim}26^{\circ}C$로 대조품종 $26{\sim}29^{\circ}C$보다 낮았다. 자실체 발생 및 생육적온은 $15{\pm}1^{\circ}C$였으며, 재배기간은 51일로 대조품종과 동일하였다. 갓형태는 생육초기 반반구형에서 생육후기까지 평반구형의 갓형태를 유지하였다. 병당 발생개체수는 3.5개로, 대조품종 12.8개 대비 9.3개 적었다. 대길이는 135.8 mm로 대조품종 124.6 mm보다 길었고, 갓표면의 색도(Lightness)는 60.4로 대조품종 57.6보다 높아 연회색을 나타내었다.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등하였고, 깨짐성, 경도값은 각각 71,068 g, $5,662g/cm^2$으로 대조품종보다 낮았다. 병당수량은 900 cc/$65{\Phi}$ 병에서 106.4 g, 1100 cc/$75{\Phi}$ 병에서159 g으로 대조품종 과 대등하였다.

착색단고추 품종별 주간온도가 열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ytime Temperature on Fruit Cracking of Paprika Cultivars)

  • 최영하;권준국;이재한;강남준;조명환;손병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2-177
    • /
    • 2004
  • 착색단고추 비닐하우스 토경재배시 품종별 온도조건에 따른 열과 발생원인을 구명코자 하였다 열과발생률은 품종간에는 Fiesta가 Jubilee보다 높았고 온도처리간에는 $34^{\circ}C$ 고온구에서 높았다. 그리고 환경조건이 좋아지는 4월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과육특성 조사결과 Fiesta품종과 고온처리구에서 과육경도와 건물률이 낮았으나 과육두께는 경향이 일정치 않았다. 과육의 무기성분 함량은 품종간, 온도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확시 뿌리상태는 Fiesta품종이 Jubilee보다 좋았고, 온도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과육의 경도, 건물률, 치밀도 및 뿌리상태 등이 열과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과육두께나 과육의 무기성분 함량등은 열과발생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상박피처리에 의한 '거봉' 포도의 과실 품질 및 동해 피해 (Fruit Quality and Freezing Damage of 'Kyoho' Grapes by Girdling)

  • 권용희;이별하나;심성보;신경희;정규환;최인명;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81-86
    • /
    • 2011
  • '거봉' 포도에 환상박피를 처리한 후 과실 품질과 내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환상박피는 지상 10cm 상단의 주간에 너비 1cm로 처리하였으며 만개후 90일과 110일에 수확하여 과실 품질을 비교하였다. 환상박피를 처리한 경우 착색이 빠르게 진행되어 1차 수확율이 무처리보다 높았으며 또한 최종 수확시 착색도도 무처리구보다 높아 착색촉진 및 증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2차년도에는 착색증진 효과가 저하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품질면에서는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열과 발생은 환상박피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환상박피 처리시 수세가 떨어지고 겨울철 동해피해를 심하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년간 연속으로 처리한 후에는 대부분이 고사하였다. 착색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환상박피를 처리하는 경우 첫해에는 효과가 나타나지만 이듬해의 연속된 처리에는 착색증진 효과도 점점 낮아지며 특히 계속될 경우 생육부진 또는 고사 등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거봉'에서의 연속적인 환상박피는 피해야 할 재배방법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