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Water Discharg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2초

한반도 주변 연안 해저를 통한 담지하수의 유출: 미래 수자원으로서의 중요성 (Submarine Discharge of Fresh Groundwater Through the Coastal Area of Korea Peninsula: Importance as a Future Water Resource)

  • 황동운;김규범;이재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4호
    • /
    • pp.192-202
    • /
    • 2010
  • 해저지하수 유출은 최근 전 지구적인 혹은 지역적인 규모에서 육상의 담수, 영양염류 및 다른 용존 화학원소들을 해양으로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해저를 통한 육상 담지하수의 해양으로의 유출은 해양환경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미래 수자원 확보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해저를 통한 담지하수 유출은 전 세계 연안해역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그 양은 지역 또는 측정 방법에 따라 강물 유출량의 0.01-17% 범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 및 계산된 한반도 주변 해저 담지하수의 유출량은 제주도, 영일만, 마산만, 여자만 지역에서 주변 강물 유출량의 약 50%, 57%, 89%, 420%로 다른 나라의 연안 해역에 비해 상당히 양이 많고 지역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이용한 담지하수 유출량 계산 방법은 연안해역에서의 기초적인 물수지 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보다 정확한 담지하수 유출량 평가를 위해서는 앞으로 연안해역에서 물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요인들(강수량, 조석, 증발, 물의 체류시간 등)의 시공간적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여전히 해저 담지하수 유출량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방법적인 문제가 많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수리역학적인 방법 및 seepage meter를 이용한 실제측정 등을 통한 상호비교가 요구된다.

Search of submarine discharge locations with multi-temporal thermal infrared images and ground radar surveys

  • Onishi K.;Sairaiji M.;Rokugawa S.;Tokunaga T.;Sakuno Y.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685-688
    • /
    • 2004
  • Fresh water discharge from the sea floor strongly affects a coastal ecology and the diffusion of contaminants. Much fresh water discharge has been found in the edge of Kurobe alluvial fan, in which annual rainfall is over 4000mm and there is abundant groundwat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groundwater discharge, thus the search of possible areas with some remote sensing tools is required.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oi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 sea water surfaces, there is a possibility to detect the area as an irregular zone of thermal infrared images. Two anomalous temperature zones, which have no surface streams from rivers, are detected by ASTER thermal-infrared images. One of them was verified as the groundwater discharge point by div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water table under the land side of the two areas is also detected as irregular zones by a ground-penetrating radar

  • PDF

경기만내 담수 유입으로 인한 시·공간적인 염분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alinity by Freshwater Discharge in Gyeonggi Bay)

  • 정정호;김국진;양근호;장윤영;박선환;김영택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6호
    • /
    • pp.421-432
    • /
    • 2007
  • To investigat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hydrodynamic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yeonggi Bay, including Han River estuary, numer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3-dimensional fine grid numerical ocean model. The model successfully reproduced the physical phenomena already known in Gyeonggi Bay where tide and fresh water discharge are dominant forcings. The calculated harmonic constants of tide and tidal current agreed well with those of observations at nine tide stations and two tidal current stations. Tidal asymmetries along the Yeomha Waterway, mainly caused by non-linear effect, were well reproduced and agreed well with observations. Time series of salinity at four stations(A, B, C and D)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of monthly averaged salinity show that Gyodong and Seokmo Waterways play an important role in fresh water discharge into the Gyeonggi Bay rather than Yeomha Waterway.

광양만과 진주만 해역에서 담수 유입으로 인한 밀도성층 변화 (Variation of Density Stratification due to Fresh Water Discharge in the Kwangyang Bay and Jinju Bay)

  • 강영승;채영기;이형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26-13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EFDC 모델을 이용하여 광양만과 진주만 해역에 대한 조석과 수온, 염분을 고려한 3차원 해수순환 양상을 재현하였다. 수치모델 결과는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그 결과 모델은 관측결과를 잘 재현하였다. 실험 결과, 연구해역의 해수순환은 노량수도와 대방수도 중간 해역에서 해수가 수렴 및 발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잔차류는 전형적인 2층 순환구조를 보인다. 모델을 통해 광양만과 진주만 일대의 밀도성층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연구해역은 담수의 영향이 지배적인 해역으로 진주만의 경우 남강댐 방류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는 해역이지만 남강댐에서 방류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섬진강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강댐 방류시에는 광양만의 성층이 상대적으로 강화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Effect of Untreated Water Flow Rate at Certain Temperature on the Discharge of Treated Water

  • Ullah, Muhammad Arshad;Aslam, Muhammad;Babar, Raheel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5권6호
    • /
    • pp.5-9
    • /
    • 2019
  • Desalination requires large energy. This experiment deals to desalinate brackish water through solar panels. The discharge from desalination plants is almost entirely water, and .01 percent is salt. Desalination is a process that extracts minerals from saline water. Solar-powered desalination technologies can be used to treat non-traditional water sources to increase water supplies in rural, arid areas. Water scarceness is a rising dilemma for large regions of the world. Access to safe, fresh and pure clean drinking wat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prime troubles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mong many of water cleansing technologies solar desalination/distillation/purification is one of the most sustainable and striking method engaged to congregate the supply of clean and pure drinkable water in remote areas at a very sound cost. Six types of dripper having discharge 3 - 8 lh-1 were installed one by one and measured discharge and volume of clean water indicated that at 6 lh-1 untreated water discharge have maximum evaporation and volume of clean water was 19.2 lh-1 at same temperature and radiations. Now strategy was developed that when increased the temperature the intake discharge of untreated water must be increased and salt drained water two times more than treated water.

연안 대수층의 해저 담지하수 유출량 산정을 위한 유량 평균 유출량 방정식의 적용 (Application of Flux Average Discharge Equation to Assess the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in a Coastal Aquifer)

  • 김일환;김민규;정일문;정교철;장선우
    • 지질공학
    • /
    • 제33권1호
    • /
    • pp.105-119
    • /
    • 2023
  • 기후 변화에 따라 용수 공급량은 줄어들고 있으며, 해안 및 도서지역은 지하수의 의존도가 높아 활용 가능한 용수의 양이 줄어들고 있다. 지속 가능한 해안 도서 지역의 물 공급을 위해 현재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효율적인 용수의 배분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해안 도서 지역의 지하수 흐름의 정밀한 분석을 위해 제주 동부의 성산유역을 대상으로 해안 담지하수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중요 매개변수인 담수층의 두께의 산정은 다심도 관측공에서 측정되는 전기전도도를 이용하여 수직적인 보간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과 Ghyben-Herzberg의 이론적인 비율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Ghyben-Herzberg의 비율을 사용한 값은 변화하는 담-염수 경계면의 정밀한 추정이 불가능하며, 전기전도도로 분석한 값은 담-염수 경계면의 현재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매개변수는 가상의 격자에 분포시키고, 각각의 격자에 대한 해안 담지하수 유출 유량의 평균을 유역 대표 유량으로 결정하였다. 유역 규모의 연도별 해안 담지하수 유출량 산정과 유량 분포를 나타냈으며, 2018년에서 2020년까지의 해안 담지하수 유출량은 전기전도도로 추정한 담수층의 두께를 적용한 방법은 6.27 × 106 m3/year, Ghyben-Herzberg의 비율을 적용한 방법은 10.87 × 106 m3/year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낸 결과는 해안 도서지역의 정밀한 물수지 분석 등을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용수의 공급을 결정하는 정책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낙동강 하구 호석에 관한 조사연구(I)- 낙동강의 조위변동 - (A study on the tidal phenomena of Nagdong River-mouth - Tidal fluctuations of Nagdong River -)

  • 양윤모;김탁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82년도 제24회 수공학 연구발표회 논문초록집
    • /
    • pp.3-24
    • /
    • 1982
  • The relations between tidal fluctuation and freshwater discharge are stuied dy use of observed data in the estuarine region of the Nagdong Rivre. Damping modulus which represents the resistance to propagation of tidal wave is estimated, and it is verified that when the fresh water discharge is lower than 300 m/sec., the elevation of mean-water-level at Gupo is the same as mean sea-water-level.

  • PDF

영산강 하구둑 및 영암-금호방조제의 방류에 의한 목포항 주변수역의 유동변화 및 선박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Current in the Vicinity of Mokpo Harbor and Its Impact on Ship Operation due to the Discharge through Yongsan River Estuary Weir and Yongam-Kumho Sea Dike)

  • 정대득;이중우;국승기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3-146
    • /
    • 1999
  • Mokpo coastal area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a long river and two large basins. It is essential for port planning coastal zone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impact study to analyze the data related to the ship operation and variation of current and water qual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water area including dredging reclamation and estuary barrage. The Yongsan river estuary weir and Yongam-Kumho basins discharge much of water through water gates for the purpose of flood control and prohibit salt intrusion at the inland fresh water area. To meet this purpose discharge through the gates have been done at the period of maximum water level difference between inner river and sea level. This discharged water may cause the changes of current pattern and other environmental influences in the vicinity and inner area of semi-closed Mokpo harbor. In this study ADI method is applied to the governing equation for the analysis of the changes on current pattern due to discharged water.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known that the discharging operation causes many changes including the increase of current velocity at the front water area at piers approaching passage and anchorages. Discussion made on the point of problems such as restricted maneuverability and the safety of morred vessels at pier and anchorage. To minimize this influence the linked gate operation discharging warning system and laternative mooring system are recommended.

  • PDF

고도정수처리 과정에서 퍼클로레이트 이온의 농도 변화 (Perchlorate in Advanced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 김현구;김정화;이연희;이재호;김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4-168
    • /
    • 2008
  • Perchlorate, which is still unregulated, is found in tap water, posing a threat to public health. In and out of Korea, there is no clear standard for drinking water quality or discharge. To make matters worse, Perchlorate study is in its infancy in Korea. This research tracked fresh water and purified water of water purification facility A and B located at the city of D, where Nak-dong River is being utilized as the purified water. And it was found that purified water shows no particular pattern in Perchlorate concentrations but represented a higher level of concentration compared to fresh water. With utilizing the research results, the study sought the impact of activated-carbon treatment process on Perchlorate elimination and found out that Perchlorate concentrations increased 38% after the process. The result proves that conventional water purification process can't eliminate Perchlorat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Perchlorate discharge from sources should be minimized.

ESCORT 모형의 3차원 적용성 - 담수방류 모의 (3-D Applicability of the ESCORT Model - Simulation of Freshwater Discharge)

  • 강주환;김양선;박선중;소재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30-240
    • /
    • 2009
  •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ESCORT 모형을 사용하여 영산강하구언 배수갑문을 통한 담수방류의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낙조우세를 감안한 해수유동 모의를 통해 2차원 뿐 아니라 3차원 흐름해석에 있어서도 모형의 적용성과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방류가 흐름양상에 미치는 영향성을 분석하였으며, 담수방류 모의 결과 확산현상은 3차원 모형으로 해석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방류구 인근에서 염도의 연직분포 특성을 규명하였고 목포해역 담수확산 범위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외해수와의 해수교환이 원활치 않음에 기인하여, 목포해역에서는 담수농도의 희석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