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cy warping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초

스마트폰 환경의 인증 성능 최적화를 위한 다중 생체인식 융합 기법 연구 (Authentication Performance Optimization for Smart-phone based Multimodal Biometrics)

  • 문현준;이민형;정강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51-1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의 얼굴 검출, 인식 및 화자 인증 기반 다중생체인식 개인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Modified Census Transform과 gabor filter 및 k-means 클러스터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얼굴의 주요 특징을 추출하여 얼굴인식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Linear Discriminant Analysis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얼굴인식),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기반 실시간성 검증(화자인증)을 수행한다. 화자인증에 사용하는 음성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Dynamic Time Warping을 통해 이를 해결한다. 제안된 다중생체인식 시스템은 얼굴 및 음성 특징 정보를 융합 및 스마트폰 환경에 최적화하여 실시간 얼굴검출, 인식과 화자인증 과정을 수행하며 단일 생체인식에 비해 약간 낮은 95.1%의 인식률을 보이지만 1.8%의 False Acceptance Ratio를 통해 객관적인 실시간 생체인식 성능을 입증하여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성한다.

WFIR 구조를 이용한 바이노럴 필터 설계 (Binaural Filter Design using Warped FIR Structure)

  • 김동현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193-196
    • /
    • 1998
  • 지금까지 바이노럴 필터 설계 방법들의 대부분은 linear frequency scale을 이용한 것이지만, 사람의 귀는 non-linear frequency scale을 가지며 critical band에 의한 청각정보를 인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징을 이용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바이노럴 필터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frequency warping을 이용해 non-linear frequency resolution을 갖는 바이노럴 필터를 계산한다. 또한, 종래의 설계방법에 의한 필터와 warped FIR 구조를 갖는 바이노럴 필터와의 비교청취를 통해 성능의 비교 평가를 수행 한다.

  • PDF

Iroko재(材)의 고주파진공건조성 및 물리적 성질 개선 (Improvement of a radio-frequency/vacuum drying 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Iroko Lumber)

  • 이남호;진영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46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radio-frequency/vacuum (RF/V) drying 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green boards and the pre-kiln dried boards with 40 mm thickness, and the 70 mm-thick green board of Iroko (Milicia excelsa).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rying time from initial moisture content (MC) of 110% to approximate 6% MC for a 40mm-thick green board was 192 hours, and about 200 hours for the 70 mm-thick green board, respectively and so the RF/V drying times were dramatically shortened compared to conventional kiln drying time. The case hardenings at the RF/V drying completion stage test were very negligible, thus represented almost no existence of the residual stress. The checks were very slightly formed on all of the boards during the RF/V drying test, but crook appeared quite severely. During the accelerating test, the water-resistant treated specimens had not experienced any signs of checking occurred, whereas the control boards had encountered very frequent occurrences of end checking and slight surface checking. There were no observations of warping and discoloring regardless of the treatment.

  • PDF

Vlasov 보 모델을 이용한 컨테이너 선박의 스프링잉 응답해석 (Analysis of Linear Springing Responses of a Container Carrier by using Vlasov Beam Model)

  • 김유일;김용환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306-320
    • /
    • 2010
  • Modern ultra-large container carriers can be exposed to the unprecedented springing excitation from ocean waves due to their relatively low torsional rigidity. Large deck opening on the deck of container carriers tends to cause warping distortion of hull structure under wave-induced excitation, eventually leading to the higher chance of resonance vibration between its torsional response and incoming waves. To handle this problem, a higher-order B-spline Rankine panel method and Vlasov-beam FE model was directly coupled in the time domain, and the coupled equation was solved by using an implicit iterative method. In order to capture the complicated behavior of thin-walled open section girder, a sophisticated beam-based finite element model was developed, which takes into account warping distortion and shear-on-wall effect. Then, the developed beam model was directly coupled with the time-domain Rankine panel method for hydrodynamic problem by using the fixed-point iteration method. The developed computational scheme was validat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frequency-domain solution on the container carrier model in linear springing regime.

동적 시간 신축 알고리즘을 이용한 화자 식별 (Speaker Identification Using Dynamic Time Warping Algorithm)

  • 정승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402-2409
    • /
    • 2011
  • 음성에는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이외에 화자 고유의 음향적 특징을 담고 있다. 화자간의 음향적 차이를 이용하여 말하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판단하는 방법이 화자 인식이다. 화자 인식에는 화자 확인과 화자 식별로 구분되는데 화자 확인은 1명의 음성을 대상으로 본인인지 아닌지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반면, 화자 식별은 미리 등록된 다수의 종속 문장으로부터 가장 유사한 모델을 찾아 대상 의뢰인이 누군지 식별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MFCC(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계수를 추출하여 특징 벡터를 구성하였고, 특징 간 유사도 비교는 동적 시간 신축(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각 화자마다 두 개의 종속 문장을 훈련 데이터로 사용하여 음운성에 기반을 둔 공통적 특징을 기술하였고,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단어를 사용하더라도 동일 화자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파랑중 전진하는 선박의 유탄성 응답 (Hydroelastic Responses for a Ship Advancing in Waves)

  • 이호영;임춘규;정형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0권4호
    • /
    • pp.16-21
    • /
    • 2003
  • The very large container ships have been built recently and those ships have very small structural rigidity compared with the other conventional ships. As a result, the destruction of ship hull is occurred by the springing including to warping phenomena due to encounter waves. In this study, the solutions of hydrodynamic coefficients are obtained by solving the three dimensional source distribution method and the forward speed Green function representing a translating and pulsating source potential for infinite water depth is used to calculating the integral equation. The vessel is longitudinally divided into various sections and the added mass, wave damping and wave exciting forces of each section is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dynamic pressures over the mean wetted section surface. The equations for six degree freedom of motions is obtained for each section in the frequency domain and stiffness matrix is calculated by Euler beam theory. The computations are carried out for very large ship and effects of bending and torsional ridigity on the wave frequency and angle are investigated.

Fatigue life prediction of horizontally curved thin walled box girder steel bridges

  • Nallasivam, K.;Talukdar, Sudip;Dutta, Anja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8권4호
    • /
    • pp.387-410
    • /
    • 2008
  • The fatigue damage accumulation rates of horizontally curved thin walled box-girder bridge have been estimated from vehicle-induced dynamic stress history using rain flow cycle counting method in the time domain approach. The curved box-girder bridge has been numerically modeled using computationally efficient thin walled box-beam finite elements, which take into account the important structural actions like torsional warping, distortion and distortional warping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egrees of freedom. Vehicle model includes heave-pitch-roll degrees of freedom wi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input to the wheels. The bridge deck unevenness, which is taken as inputs to the vehicle wheels, has been assumed to be a realization of homogeneous random process specified by a power spectral density (PSD) function. The linear damage accumulation theory has been applied to calculate fatigue life. The fatigue life estimated by cycle counting method in time domain has been compared with those found by estimating the PSD of response in frequency domain. The frequency domain method uses an analytical expression involving spectral moment characteristics of stress process. The effects of some of the important parameters on fatigue life of the curved box bridge have been studied.

?과 회전관성을 고려한 수평 곡선보의 자유진동 해석 (Free Vibration Analysis of horizontally Curved Beams considering Warping and Rotatory Inertia)

  • 이병구;박광규;오상진;진태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2001
  • 본 연구는 변화곡률 수평 곡선보의 면외 자유진동에 관한 연구이다. 뒴과 회전관성을 고려한 변화곡률 수평 곡선보의 자유진동을 지배하는 상미분방정식이 유도되었고, 이 지배미분방정식을 수치해석하여 곡선보의 고유진동수를 산출하였다. 지배미분방정식을 수치적분하기 위하여 Runge-Kutta method를 이용하였고, 고유진동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Regula-Falsi method와 결합한 행렬값 탐사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타문헌의 고유진동수와 비교하였고, 실험실 규모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이론값과 실험값의 고유진동수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로 무차원 재변수들의 변화에 따른 무차원 고유진동수를 제 3모드까지 산출하였고, 그 결과들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곡선형 교량 등과 같이 곡선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설계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ormulation of New Hyperbolic Time-shift Covariant Time-frequency Symbols and Its Applications

  • Iem, Byeong-Gw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2권1E호
    • /
    • pp.26-32
    • /
    • 2003
  • We propose new time-frequency (TF) tools for analyzing linear time-varying (LTV) systems and nonstationary random processes showing hyperbolic TF structure. Obtained through hyperbolic warping the narrowband Weyl symbol (WS) and spreading function (SF) in frequency, the new TF tools are useful for analyzing LTV systems and random processes characterized by hyperbolic time shifts. This new TF symbol, called the hyperbolic WS, satisfies the hyperbolic time-shift covariance and scale covariance properties, and is useful in wideband signal analysis. Using the new, hyperbolic time-shift covariant WS and 2-D TF kernels, we provide a formulation for the hyperbolic time-shift covariant TF symbols, which are 2-D smoothed versions of the hyperbolic WS. We also propose a new interpretation of linear signal transformations as weighted superposition of hyperbolic time shifted and scale changed versions of the signal. Application examples in signal analysis and detection demonstrate the advantages of our new results.

헤드폰/이어폰을 위한 저전력 피드백 능동 소음 제어 필터 설계 방법 (A Method of Designing Low-power Feedback Active Noise Control Filter for Headphones/Earphones)

  • 서지호;윤대희;박영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57-65
    • /
    • 2017
  • 본 논문은 헤드폰/이어폰에 최적화된 저전력 피드백 능동 소음 제어 필터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약 최적화를 이용하여 높은 샘플링 주파수 환경에서 합리적인 소음 저감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높은 차수의 유한 임펄스 응답소음 제어 필터를 얻은 후 무한 임펄스 응답 근사 기법인 Balanced Model Truncation (BMT)를 이용하여 얻어낸 필터를 헤드폰/이어폰과 같은 저전력 디지털 신호처리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낮은 차수의 무한 임펄스 응답 소음 제어 필터로 변환하였다. 성능 확보를 위해 주파수 워핑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높은 차수의 유한 임펄스 응답 소음 제어 필터와 더욱 유사한 주파수 응답을 가지는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를 얻었으며, 이를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들의 종속연결 구조로 재구성하여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높였다. 백색 잡음을 통한 능동 소음 제어 시뮬레이션과 결과 및 안정성 실험 등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우수한 소음 저감 성능과 안정성을 가짐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