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fatty acid content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초

감자 lipoxygenase가 밀가루반죽의 지질분포, 지방산조성, 카로테노이드 및 색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tato Lipoxygenase on the Change of Lipid Distribution, Fatty Acid Composition, Carotenoids Content and Color Value in Wheat Flour Dough)

  • 문정원;서명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0-293
    • /
    • 1995
  • 감자 lipoxygenase가 밀가루반죽의 지질분포, 지방산조성, 카로테노이드 및 색도 등의 화학적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감자 lipoxygenase를 밀가루 g당 $6.5{\times}10\;unit$ 수준으로 첨가하여 실험하였다. 밀가루에 감자 lipoxygenase를 첨가하므로서 밀가루 반죽의 과산화물가가 증가하고 지방산조성 중 linoleic acid의 현저한 감소와 함께 유리지질함량이 증가하였다. 효소의 첨가에 의한 유리지질의 증가는 효소에 의한 불포화지방산의 산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lipoxygenase 첨가에 의해 밀가루 반죽내의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낮아져서 효소에 의한 탈색효과가 관찰되었다. 색차계에 의해 측정된 색도 역시 효소첨가로 밀가루 반죽의 적색도와 황색도가 낮아져서 색깔이 옅어졌다.

  • PDF

유자 첨가 사료로 사육한 뱀장어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Eels (Auguilla japonica) Fed a Die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 황재호;이시우;라성주;정동희;한경호;신태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73-580
    • /
    • 2010
  •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evels (0 and 2.5%)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on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eels (Auguilla japonica). Fish ($9.8{\pm}1.3g$) was fed to apparent satiation twice daily for 8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ximate composition among the treatment groups, except for th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P<0.05). The vitamin C content of eel muscle in the yuza-added group was two-times higher than in non-added groups (P<0.05). Among eight organic acids in eel muscle, lactic acid was predominant, followed by citric acid, oxalic acid, malic acid, and acetic acid. Eels fed a 2.5% yuza diet had the highest lactic acid content in all groups. Six sugars were found in all groups and glucose was the major sugar. Glucose and maltose were the dominant sugars in the yuza-added group. The abundant fatty acids in the yuza-added group were C18:1 n-9, C16:0, and C16:1 n-7, which comprised over 80% of the total fatty acids. The major amino acids in sample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and leucine.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mong the groups. However, histidine was the predominant amino acid and constituted over 53% of the total free amino acids.

Phycomyces sp. 포자낭병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in Sporangiophores of Phycomyces sp.)

  • 이해익;이상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5-111
    • /
    • 1979
  • 재래식 메주로 부터 분리(分離)한 Phycomyces속(屬)의 포자낭병의 지질조성(脂質組成)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체중(乾體中)의 지질(脂質)을 18.2%로서 그 조성(組成)은 중성지질(中性脂質)이 69.2%, 당지질(糖脂質)이 24.3% 그리고 인지질(燐脂質)이 6.5%였다. 2. 중성지질(中性脂質)의 구성성분(構成成分)은 carotene,탄화수소(炭化水素), estrified sterol, 지방산(脂肪酸) ester, triglyceride,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 유리(遊雌) sterol등이고 주성분(主成分)은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과 triglyceride로서 각각 45.6%와 30.9%를 차지하였다. 3. $AgNO_3-TLC$에 의한 방법(方法)으로 triglyceride에서 12개(個), diglyceride에서 8개(個)의 lipid molecular species를 분별(分別)하였다. 4. 총(總) 지질(脂質)의 주지방산(主脂肪酸)은 stearic, linoleic. arachidic, linolenic acid이고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의 주지방산(主脂肪酸)은 stearic, linoleic, arachidic acid 등이었다.

  • PDF

개량(改良)메주의 숙성과정(熟成過程) 중 지질(脂質)조성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hange of Lipids Improvement-Meju during the Fermentation)

  • 양수동;배만종;윤상홍;최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9-195
    • /
    • 1983
  • Aspergillus oryzae에 의한 개량메주의 숙성과정에 있어서 지질의 조성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저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당지질, 중성지질, 인지질의 분획정량 및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해서 중성지질의 성분 변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두 및 삶은 콩의 총 지질을 분획한 결과 중성지질 93~94%로 대부분이었고 인지질 4~5%, 당지질 2.0~2.1%였다. 개량메주 발효과정 중에 있어서 중성지질의 함량은 차차 감소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당지질 및 인지질은 증가하였다. 2. 대두 및 삶은 콩의 비극성 지질은 triglyceride가 88-89%로 주요 구성 성분이었고 sterol ester, 유리지방산, diglyceride 및 sterol은 삶은 콩보다 대두에서 함량이 높았다. 또한 메주의 숙성과정에 있어서는 triglyceride의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terol ester, 유리지방산 및 diglyceride는 차차 증가하였다. 3. 조지질, 중성지질, 당지질 및 안지질의 지방산조성에 있어서 삶은 콩 및 대두에 있어서 linoleic acid 54~70%, oleic acid 20.0~22.6%, palmitic acid 11.0~12.4% 순이었으며 myristic acid는 trace로 검출되었다. palmitic acid는 당지질과 인지질에서 조지질 및 중성지질 보다 그 함량이 조금 높았다. 4. 메주의발효과정에 있어서 조지질,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지방산의 변화는 대체로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가 차차 감소하였고 palmitic acid, stearic acid 및 oleic acid는 차차 증가하여 대체로 4 일째에 최대였다. 5. 당지질과 인지질의 지방산의 변화에 있어서 다같이 미확인 지방산 3 종류를 포함하여 9종류가 검출되었으며 2 종류의 미확인 지방산은 발효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앞으로 계속 검토할 흥미있는 과제라 하겠다.

  • PDF

Effects of Dietary Fat Sources on Occurrenc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trans Fatty Acids in Rumen Contents

  • An, B.K.;Kang, C.W.;Izumi, Y.;Kobayashi, Y.;Tanak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22-226
    • /
    • 2003
  • The effects of dietary sources of C18:2 n-6 or C18:3 n-3 fatty acids on the occurrenc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time-dependent changes of free fatty acid fractions in rumen contents were investigated. Sheep (n=4) fitted with rumen fistula were used in a 44 Latin square design wxith each 14 d period. Sheep were fed one of four diets consisting of grass hay and concentrates in a ratio of 70:30. Dietary treatments were 100% concentrates (served as the control), and concentrates were replaced by safflower seed at 30% (SFS), safflower meal at 18% - safflower oil at 12% (SFO), and safflower meal at 18%-linseed oil at 12% (LNO). At the end of each experimental period, rumen contents from each sheep were collected before feeding and at 1, 3, 6 and 12 h after feeding. The levels of cis-9, trans-11 CLA in free fatty acid fraction were considerably in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relative to the control, but not significantly. The increase in cis-9, trans-11 CLA was slightly higher in SFS and SFO groups than group fed diet containing linseed oil. The level of cis-9, trans-11 CLA in free fatty acid fraction was reached to the maximum value at 1hr after feeding and, thereafter gradually decreased to near the value before feeding. The generation of trans-11 C18: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reated groups than that of control. The level of trans-11 C18:1 was linearly increased after feeding of experimental diets, reaching the maximum value at 3 h. Feeding of diets containing polyunsaturated fats to sheep resulted in a marked increase in the levels of trans-11 C18:1 and a slight increase of CLA in free fatty acid fraction of rumen contents. Our results support that endogenous synthesis of CLA from trans-11 C18:1 may be involved the primary source of CLA in dairy product. (Asian-Aust.

생.건 참서대의 조리방법별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of Fatty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Raw and Salted-dried Red Tongue Sole During Cooking)

  • 신애숙;홍정훈;김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5-540
    • /
    • 1998
  • 참서대를 생으로 또는 염건하여 찜, 삶기, 구이의 3종류의 조리방법에 따라 일반성분 분석 및 유리지방 산과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시료의 일반성분은 수분 78.4%, 회분 1.2%, 조 지방 1.1%, 조 단백질 18.3%로 나타났다. 2. 생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24:0(43.1%)을 주로한 polyene산의 비율이 67.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6:0(22.3%)을 주로한 포화산이 25.7%, 18:1(6.8%) 을 주로한 monoene 산이 7.1%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구성 지방산은 16:0와 24:0이었다. 생시료의 가열 조리별 조성 변화를 보면 생시료에 비해 포화산은 찜의 경우 감소하였고 나머지는 별 변화가 없었다. Monoene 산은 찜, 삶기, 구이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며 polyene 산은 찜의 경우에만 증가하였고 나머지는 별 변화가 없었다. 염건 시료에서는 생시료와는 달리 16:1을 주로 한 monoene 산이 38.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6:0을 주로 한 포화산이 35.3%, 22:6을 주로 한 polyene산이 25.8%였다. 염건시료의 가열조리별 조성변화를 보면 염건생시료에 비해 포화산과 monoene산 모두 감소하였으나 polyene 산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열처리에 의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잔존율을 살펴보면 생시료 0.8, 삶기 0.22, 구이 0.26으로 고도불포화 지방산이 가열조리에 따라 점차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생시료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934.5 mg%이었고, glutamic acid(1029.8 mg%, 14.9%), aspartic acid(846.2 mg%, 12.2%), Iysine(696.1 mg%, 10%), leucine(582.5 mg%, 8.4%), arginine(474.1 mg%, 6.8%), serine(388.4 mg%, 5.6%), alanine(386.1 mg%, 5.6%)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이들이 전체의 63.5%를 차지하고 있다. histidine이 196.4 mg%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생시료의 가열 조리별 총 함량변화는 생시료가 6934.5 mg%, 찜이 7132.3 mg%, 삶기가 7229.8 mg% 그리고 구이가 6682.6 mg%로 찜과 삶기의 경우는 증가하였고 구이는 감소하였다. 생시료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6490.0 mg%이었으며 이는 생시료에 비해 440.5 mg% 정도가 감소한 것이다. 주요 아미노산의 구성은 생시료와 동일하였다. glycine 함량이 생시료에 비해 염건시료에서 60.8 mg% 정도 감소하였고 그 이외의 유리아미노산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건시료의 가열 조리별 총 함량변화는 생시료와 마찬가지로 찜과 삶기에서는 증가하고 구이에서는 감소하였다.

  • PDF

Chemical Ingredients of Cordyceps militaris

  • Hur, Hyun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233-235
    • /
    • 2008
  • Medicinal mushrooms, including Cordyceps militaris, have received attention in Korea because of their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fruiting body and in corpus of C. militaris,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69.32 mg/g and 14.03 mg/g, respectively. In the fruiting body,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were lysine, glutamic acid, proline and threonine. The fruiting body was rich in unsaturated fatty acids, which comprised about 70% of the total fatty acids. The most abundant unsaturated acid was linoleic acid. There were differences in adenosine and cordycepin contents between the fruiting body and the corpus. The adenosine concentration was 0.18% in the fruiting body and 0.06% in the corpus, and the cordycepin concentration was 0.97% in the fruiting body and 0.36% in the corpus.

야생(野生) 고들빼기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ments of Wild Korean Lettuce(Youngia sonchifolia Max.))

  • 신수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61-266
    • /
    • 1988
  • 전통적(傳統的)인 식품(食品)으로 이용(利用)되고 있는 고들빼기의 성분(成分)을 분석(分析)하였는데 뿌리에 함유(含有)된 유리당(遊離糖)으로 rhamnose,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melibiose, raffinose 7가지를 정량(定量)하였고, 잎에서는 raffinose를 제외한 6종(種)의 당(糖)을 정량(定量)하였으며 뿌리와 잎에 모두 fructose, glucose, sucrose가 유리당의 대부분으로 90% 이상이었다. 아미노산의 함량(含量)은 뿌리에 glutamic acid가 가장 많고 histidine, aspartic acid, leucine, proline의 순서로 많았으며 잎에는 역시 glutamic acid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leucine, histidine순서이었다. Methionine과 cystine의 함량(含量)은 뿌리와 잎 모두 매우 적었다. 고들빼기 지질(脂質)의 주요 지방산(脂肪酸)은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nolic acid이며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뿌리에 65.35%이고, 잎에 78.00%이었으며 유리지질(遊離脂質)보다 결합지질(結合脂質)에서 많았다. 무기질(無機質)의 함량(含量)은 일반 채소류보다 많게 나타났으며 칼륨, 인, 칼슘이 많은 양(量) 함유(含有)되었다.

  • PDF

쏘팔메토(Saw Palmetto) 열매 추출물의 이화학적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w Palmetto Extract)

  • 이정은;김정욱;이희영;엄지혜;김종길;이영열;배현지;김승우;윤호정;한수미;고종호;국무창;이영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2-208
    • /
    • 2023
  • FT-IR, GC/MS, and ATR-FT-IR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w palmetto fruit (SPF) extract. FT-IR analysis of the standard product showed that the band corresponding to the carbonyl bond of free fatty acid was stronger than the band of acyl-glyceride. Sample E was identified as having the same trend as the standard sample.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fatty acids in the standard sample were lauric acid and oleic acid. The content of lauric acid ranged from approximately 30% to 38% in samples B, C, D, and E, while the content of oleic acid ranged from approximately 29% to 34%. The GC/M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standard SPF extract consisted of fatty acids and fatty acid ethyl esters. Sample E demonstrated a similar pattern to the standard samples in terms of oleic acid, lauric acid, and fatty acid esters. ATR-FT-IR analysis indicated that only sample E was predicted to contain 100% saw palmetto extract. Therefore, these study findings can be considered fundamental data for analyz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of SPF extract.

피조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Ark-Shell, Anadara broughtonii)

  • 문숙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6-442
    • /
    • 1992
  • 피조개 월별 생산량이 8~9월에 가장 많고, 피조개 소비는 여름철에 집중되고 있어, 여름산 피조개의 식품학적 특성을 구명하기위하여 불검화물함량, 요오드가, 지질조성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지질함량은 0.83%, 불검화물함량은 20.19%였으며, 요오드가는 156.13이었다. 지질조성은 triglyceride가 59.46% 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diglyceride, hydrocarbon, sterol ester, free fatty acid, phospholipids, free sterol, monoglyceride의 순이었다. 총지질의 지방산조성의 경우, 함량이 특히 많은 것은 $C_{17 : 0}$, $C_{16 : 0}$, $C_{18 : 1}$ and $CT_{16 : 2}$, $C_{16:1}$로 이들 5종의 지방산이 전지방산의 66.55%를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의 경우, 함량이 특히 많은 것은 $C_{16 : 0}$, $C_{18 : 1}$, $C_{22 : 1}$로 이들 3종의 지방산이 전지방산의 52.93%를 차지하였으며, 극성지질의 경우는 $C_{16 : 0}$, $C_{18 : 2}$, $C_{20 : 5}$, $C_{22 : 6}$ 등의 4종의 지방산이 전지방산의 58.16%를 차지하였다. 구성지방산의 조성비를 비교하면, 총지질은 포화지방산> rnonoene 산>polyene산의 순으로 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았고, 중성지질은 monoene산>포화지방산> polyene산의 순으로 monoene산이 가장 높았고, 극성지질은 포화지방산>polyene산>monoene산의 순으로 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았다.e산의 순으로 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