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nz cell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8초

Transdermal Delivery of Ceramide Using Sodium Deoxycholate-based Deformable Liposomes

  • Kim, Dong-Chan;Noh, Sang-Myoung;Kim, Young-Bong;Baek, Kwang-Hyun;Oh, Yu-Kyoung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5호
    • /
    • pp.319-323
    • /
    • 2008
  • For transdermal delivery of ceramides, various liposomes formulations were studied and evaluated. Sodium deoxycholate (SDC), Tween 20 and Span 85 were used as edge activators. The skin permeation of ceramides was performed using a Franz cell apparatus with hairless mouse skin. Among edge activators, SDC showed the higher values of deformability index and skin permeation than did others. For optimization of formulations, we varied the ratios of lipids to edge activators and the compositions between phosphatidylcholine (PC) and ceramides. The optimal ratio of lipid to SDC was observed to be 6:1 (w:w) and that of PC and ceramide was 1:1.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kin permeation of ceramides could be enhanced by optimized deformable formulations of liposomes containing SDC as a major edge activator.

A General approach to the wrinkling instability of sandwich plates

  • Vonach, Walter K.;Rammerstorfer, Franz 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2권4호
    • /
    • pp.363-376
    • /
    • 2001
  • Sandwich plates are widely used in lightweight design due to their high strength and stiffness to weight ratio. Due to the heterogeneous structure of sandwich plates, they can exhibit local instabilities (wrinkling), which lead to a sudden loss of stiffness in the structure. This paper presents an analytical solution to the wrinkling problem of sandwich plates. The solution is based on the Rayleigh-Ritz method, by assuming an appropriate deformation field. In contrast to the other approaches up to now, this model takes arbitrary and different orthotropic face layers, finite core thickness and orthotropic core material into account. This approach is the first to cover the wrinkling of unsymmetric sandwiches and sandwiches composed of orthotropic FRP face layers, which are most common in advanced lightweight design. Despite the generality of the solution, the computational effort is kept within bounds. The results have been verified using other analytical solutions and unit cell 3D FE calculations.

EXTERNAL GEL FORMULATIONS OF PROSTAGLANDIN E1 ETHYL ESTER

  • Kim, Hee-Kyu;Kim, Jong-Seok;Lee, Sang-Kil;Yang, Sung-Woon;Lee, Ji-Eun;Choi, Han-Gon;Yong, Chulsoon;Choi, Young-Wo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96.1-296.1
    • /
    • 2003
  • Purpose. External gel formulations of prostaglandin E1 ethyl ester (PGE1-EE), a prod rug of PGE1 as a therapeutic agent for erectile dysfunction, were tried and evaluated by in vitro skin penetr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vo pharmacodynamic effects in cat. Method. The in vitro skin penetration was performed with Franz diffusion cell and examined in aspects of alcohol/polyol ratios and various enhancers. (omitted)

  • PDF

Skin Permeation and Crosslinking of a Biological Tissue with Hydrolyzed Product of Gardeniae Fructus

  • Yang, Jae-Heon;Kim, Mi-jeong;Lee, Nam-Hee;Lee, Jin-Woong;Min, Dong-Ho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36.2-236.2
    • /
    • 2003
  • For the purpose to treatment of skin disease genipoiside and hydrolyzed product of Gardeniae Fructus were studied on skin permeation and crosslinking of a biologied tissue. Geniposide was hydrolyzed to genipin by ${\beta}$-glucosidase and the rate of hydrolysis was rapid on the condition of high temperature of medium and high concentration of ${\beta}$-glucosidase. The permeation enhancing effects of geniposide and genipin under cream and gel preparations were tested using Franz type diffusion cell and the skin of hairless mouse. (omitted)

  • PDF

Hairless Mouse와 Pig Skin을 활용한 약물 투과성 비교 (Comparison of Drug Delivery using Hairless Mouse and Pig Skin)

  • 조완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0-415
    • /
    • 2007
  • Functional cosmetics are intensively investigated for the effectiveness of skin whitening, anti-aging and slimming.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active ingredients should be delivered into the cell in the dermis. The amounts of penetration of caffeine and $Arbutin^{(R)}$ were tested, in vitro, using Franz diffusion cell. Oil-in-water emulsions were used for the vehicles of the transport. For the measuring the amounts of active ingredients delivered into the dermal skin, tape stripping was done after finishing the penetration experiments. The amounts of delivered caffeine were $8.45{\pm}$ 1.26ug/ml before tape stripping and $3.45{\pm}$ 1.80ug/ml after tape stripping, however, the amounts of delivered $Arbutin^{(R)}$ was quite small to detect. From now on, proper vehicles are considered for enhancing the delivery of $Arbutin^{(R)}$ Hairless mouse skin was compared with pig skin as a transdermal delivery membrane. The aspects of delivery were similar, but the amount of delivered ingredients using pig skin was larger than that of using hairless mouse skin. Therefore, the pig skin would be considered as a membrane for drug delivery experiments.

Photoreflectance Spectroscopy of GaAs Single Junction Solar Cell

  • 한임식;손창원;이승현;하재두;이상조;;김종수;이상준;노삼규;박동우;김진수;최현광;임재영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429-42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분자선 박막 성장법(MBE)으로 성장된 GaAs single junction solar cell의 광학적 특성 변화를 photoreflectance (P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태양전지 구조는 n+-GaAs (100)기판 위에 n+-GaAs buffer를 200 nm 성장 후 그 위에 i-GaAs 250 nm와 p+-GaAs 200 nm 성장 하였다. 상온에서 PR 측정 결과, 변조빔 세기가 증가할수록 Franz-Keldysh oscillation (FKO)의 주파수가 증가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는 변조빔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광케리어수의 증가로 인한 스크리닝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Fast Fourier transform (FFT) 결과, 변조빔의 세기가 약할 때는 세 개의 주된 피크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GaAs에서 가전자대의 heavy hole (HH)과 light hole (LH)의 전이로 인해 나타나는 FKO 신호가 중첩되어 HH과 LH 피크가 HH과 HH-,LH과 LH-로 나뉘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여기광의 세기가 $1.40mW/cm^2$ 이상일 때는 주된 세 개 피크 이외에 부가적인 피크가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 영역에서 관측되었다. 이러한 고주파수 영역에서의 나타나는 FKO 주파수는 시료의 내부전기장이 여기광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 PDF

피부투과 기능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경피투과성 상피세포성장인자의 개발 (Development of Dermal Transduction Epidermal Growth Factor (EGF) Using A Skin Penetrating Functional Peptide)

  • 강진선;나하나;박선욱;엄효정;이병규;신희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5-184
    • /
    • 2019
  • 상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인간의 표피 및 진피에서 세포막 수용체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세포의 생장 및 증식을 유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같은 EGF의 기능은 의료 및 화장품 분야에서 상처치유 의약품 및 노화방지 화장품의 주요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 원료로서 EGF는 피부장벽으로 알려져 있는 피부 각질층의 투과가 잘 안되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본연의 효능을 구현하는 데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EGF의 경피투과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피부 투과능이 확인된 거대분자 전송 도메인(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 MTD) 151이 융합된 형태로 재조합 인간 상피세포성장인자 ($MTD_{151}-EGF$)를 개발하였다. $MTD_{151}-EGF$의 유전자가 coding된 vector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에서 $MTD_{151}-EGF$ 발현시킨 후 정제를 진행하였다. 정제된 MTD-EGF를 대상으로 세포증식시험, 세포독성시험, 생체외 피부흡수시험 그리고 인공피부를 이용한 경피투과능을 평가하였다. 99% 이상 고순도로 정제된 $MTD_{151}-EGF$의 세포증식 활성은 EGF 대비 동등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인공피부 투과모델에서 FITC로 표지된 EGF와 $MTD_{151}-EGF$의 진피층까지의 투과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MTD_{151}-EGF$는 EGF 대비 우수한 투과능을 보였으며, 경피흡수 시스템을 이용한 투과물질의 정량분석 결과, EGF 대비 약 16 배 이상 투과량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양한 활성물질들의 화장품용 원료로서의 경피투과에 MTD가 기존의 물리적인 경피투과 방법을 효율적으로 개선한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Quercetin과 Rutin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 제형 개발 (Development of Porous Cellulose-Hydrogel System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Quercetin and Rutin)

  • 이민혜;김수지;박수남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47-3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제인 quercetin과 그 배당체인 rutin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달체로 다공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고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Quercetin과 rutin을 위한 최적의 하이드로젤을 가교제인 12% epichlorohydrin(ECH)과 2% 셀룰로오스를 반응용액으로 하여 만들었다. 플라보노이드 함유 하이드로젤의 방출 실험에서, quercetin의 방출은 $10{\sim}500{\mu}M$ 농도에서 확산 속도에 영향을 받았으나, rutin의 경우는 비교적 낮은 농도($10{\sim}50{\mu}M$)에서 하이드로젤의 침식에 의한 방출이 지배적이었다.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하이드로젤의 포집효율과 방출량은 quercetin보다도 rutin에서 모두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피부 투과 실험에서 quercetin이 rutin보다 1.2배나 더 큰 피부 투과능을 나타냈다. 플라보노이드 함유 하이드로젤은 대조군인 20% 1,3-butylene glycol phosphate buffer에서보다도 더 큰 경피 투과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난용성 항산화제인 플라보노이드의 피부 흡수 증진 전달체로서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이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 및 이의 항균활성 연구 (Nano-emulsion Containing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tem Extracts for Enhanced Skin Permeation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s)

  • 조나래;박민아;전소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0-326
    • /
    • 2013
  • 이전 연구에서 저자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활성을 갖는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고자 이를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고 물리적 특성 및 피부흡수능을 평가하였다.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은 평균 입자 크기가 302 nm를 나타내었으며 포집 효율은 86% 이상으로 나타났다. 나노에멀젼은 단분산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었고 고압유화과정을 거치지 않은 일반 에멀젼보다 2주간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제조된 담쟁이덩굴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의 피부흡수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1,3-butylene glycol 용액이 32.59%의 피부흡수율을 나타내었고, 나노에멀젼은 42.47%의 피부 흡수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화장품에 있어 천연 항균제로써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측정하였다. 항균활성 측정결과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항균제인 methyl paraben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피부흡수능 증진을 통해 향후 화장품 제형으로서 이용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Gram (+)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바탕으로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항산화 활성 및 세포보호효과와 더불어 기능성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바이오틴 함유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bility of Biotin-containing Nano-liposome)

  • 양성준;김태양;이춘몽;이광식;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3-145
    • /
    • 2020
  • 본 연구는 용해도가 낮은 수용성 활성물질인 바이오틴(biotin)의 안정화 및 용해도 증가를 목적으로 나노리포좀을 활용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해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에 pH가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H 상승이 바이오틴 활성에 튼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타사이저(zetasizer)로 입자크기, 제타전위(zeta potential) 및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를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입자크기는 평균 100 ~ 250 nm, 제타전위 -80 ~ -30 mV로 나노리포좀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바이오틴 나노리포좀 내의 바이오틴 캡슐화율(capsulation efficiency)을 측정하기 위해 dialysis membrane method (DMM)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알지닌을 첨가시킨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이 일반 바이오틴 나노리포좀보다 캡슐화율이 5 배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의 경피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method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cryogenic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ryo - TEM)을 통해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이 잘 형성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모발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소개된 바이오틴을 약물전달체(drug delivery carrier)인 나노리포좀에 캡슐화시켜 기존의 낮은 용해도 및 석출되는 문제를 보완한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