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nz cell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8초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인진호 함유 경피제의 피부투과 특성 연구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Transdermal Preparations Containing Artemisiae Capillaris Herba in Franz Diffusion Cell)

  • 김은남;박교현;김배환;정길생
    • 생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5-171
    • /
    • 2018
  • Artemisiae Capillaris Herba is a dried aerial part of Asteraceae capillaris Thunb.(Compositae), which has been used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t has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has been evaluated for potential as an active ingredient in cosmeceutical products. In the cosmetics industry, animal experiments is besides the major concern of ethics, there are few more disadvantages of animal experimentation like demand of skilled manpower, time consuming protocols and high cost. Therefore, various alternatives to animal experiments have been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kin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chlorogenic acid and dimethyleculetin, which are constituent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 by using Franz diffusion cell. As a result, skin permeability was characterized by flux(penetration rates) and $K_p$(permeability coefficient) value, chlorogenic acid had lower flux and $K_p$ than dimethylesculetin. According to the definitions of Marzulli, chlorogenic acid and dimethylesculetin would be classified as 'Moderate' and 'Very fast' respectively. In conclusion, skin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chlorogenic acid and dimethylesculetin were confirmed through Franz diffusion cell,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method for skin permeation of natural compounds.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문신용 염료 내 유해물질의 피부 투과특성 연구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in Tattoo Dye using Franz Diffusion Cells)

  • 박교현;정세훈;신호상;김배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1-7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xposure risk to tattoo components by analyzing skin absorption using the in vitro method. Tattoos are commonly used for cosmetic purposes, and the skin of not only the operator but of the people who are undergoing the cosmetic procedure is continuously exposed to hazardous chemicals. Methods: Skin permeation risk determination was conducted by the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method according to the ingredient types of tattoo dyes,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non-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heavy metals, using hairless mouse full skin and human cadaver epidermis. Results: The major components with good skin penetration for each type of tattoo dye ingredient were clarified. Among the tatto dye ingredients, 1,2-Dichlorobenzene, Zn, Al, Pb and Ti showed good skin penetration. Most of the skin transmission rates were higher in hairless mouse full skin than in human cadaver epidermis. Conclusion: A possible exposure risk to hazardous substances in tattoo dyes was confirmed from this stud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regulations for tattoo dyes.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나노에멀젼 연구 (A Study on Nano-emuls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

  • 채교영;권순식;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260-2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01, 0.03, 0.05, 0.10%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고, 5주 동안 이들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입도분포 및 피부 투과능을 평가하였다. 나노에멀젼은 균질기(homogenizer) 처리 후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은 단분산 형태를 나타내었다. 5주 동안 실험에서,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가장 안정하였다.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함유 나노에멀젼의 in vitro 피부 투과 실험을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Oil-in-water (O/W) 에멀젼과 비교할 때 나노에멀젼이 피부 흡수가 더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O/W 에멀젼보다 안정성과 피부 투과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in vivo 피부 투과 측정 및 in vitro 비교 평가 연구 (The Study on the Skin Penetration of Cosmetic Ingredient with in vivo Raman Spectroscopy and in vitro Franz Cell)

  • 전세림;한민희;정대균;황재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0
    • /
    • 2014
  • 현재,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흡수에 대한 연구 보고가 부족하며, 인체에서의 in vivo 피부 흡수는 거의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in vivo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8종 성분의 인체 표피 투과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in vitro 결과와 비교하여 주요 성분의 피부 흡수 자료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사용한 성분의 피부 투과도 측정한 결과를 보면, in vitro 평가에서 ascorbyl-2-glucoside, retinol, retinyl palmitate, 그리고 kojic acid가 우수한 피부 투과율을 보였으며, in vivo 평가에서는 retinol, vitamin C, 그리고 arbutin 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In vitro 평가와 in vivo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투과율을 보인 성분은 각각 ascorbyl-2-glucoside와 retinol이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in vitro 평가의 경우 무모생쥐 모델의 피부를 모두 관통하는 물질을 평가하였고,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의 경우는 표피의 각질층을 평가하였으므로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표피 및 진피층의 영향에 민감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대부분 물질의 투과 장벽은 각질층이므로 각질층에서 물질 이동을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 흡수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따라서 이들 자료는 추후 많은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피부흡수 대체시험법의 조건설정을 통한 수용성, 지용성 물질의 투과 특성 연구 (A Permeation Characteristics Study of Water- or Oil-soluble Substances through Condition Setting for the In Vitro Skin Absorption Method)

  • 서지은;이진호;김배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7-86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meation characteristics in three skin types using oil-soluble benzoic acid and water-soluble caffeine after method condition optimization based on OECD guideline 428. Methods: A Franz diffusion cell, a reliable alternative method for skin permeation, was used. One-milliliter samples were taken and immediately replaced with fresh solution in the receptor chamber at regular time intervals (1, 2, 4, 7, 10 and 24 hr). The amount of test substances was measured by LC-MS/MS. Results: The permeation rate increased dose-dependently, and the permeation orders were $KeraSkin^{TM}$ > hairless mouse full skin > human cadaver epidermis for skin types, and benzoic acid solution > caffeine solution > benzoic acid cream > caffeine cream for type of test material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definitions of Marzulli, benzoic acid and caffeine would be classified as 'fast' and 'moderate' compared with the permeation of other chemical species. The setting conditions and permeation characteristics perform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permeation studies.

Effect of Layer-by-Layer (LbL) Encapsulation of Nano-Emulsified Fish Oil on Their Digestibility Ex Vivo and Skin Permeability In Vitro

  • Jung, Eun Young;Hong, Ki Bae;Son, Heung Soo;Suh, Hyung Joo;Park, Yooh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85-89
    • /
    • 2016
  • Omega-3 rich fish oils are extremely labile, thus requiring control of oxidation and off flavor development. A recently proposed emulsification method, layer-by-layer (LbL) deposition, was found to be a plausible method to enhance the characteristics of bioactive ingredients, especially lipids. The present work was design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the uptake and utilization of omega-3 fatty acids present in fish oil. The bioavailability of nano-emulsified fish oil was monitored in terms of intestinal absorption as well as skin permeability by using the everted intestinal sac model and Franz cell model. The skin permeability and intestinal absorption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LbL emulsification with lecithin/chitosan/low methoxypectin. Multilayer encapsulation along with nano-emulsification can be a useful method to deliver biologically active lipids and related components, such as fish oil. The protective effect of this tool from lipid oxidation still needs to be verified.

Kinetic Characterization of Swelling of Liquid Crystalline Phases of Glyceryl Monooleate

  • Lee, Jae-Hwi;Choi, Sung-Up;Yoon, Mi-Kyeong;Choi, Young-W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0호
    • /
    • pp.880-885
    • /
    • 2003
  • Research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kinetic evaluation of swelling of the liquid crystalline phases of glyceryl monooleate (GMO). Swelling of the lamellar and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s of GMO was studied using two in vitro methods, a total immersion method and a Franz cell method. The swelling of the lamellar phase and GMO having 0 %w/w initial water content was temperature dependent. The swelling ratio was greater at $20^{\circ}^C than 37^{\circ}^C$ . The water uptake increased dramatically with decreasing initial water content of the liquid crystalline phases. The swelling rates obtained using the Franz cell method with a moist nylon membrane to mimic buccal drug delivery situation were slower than the total immersion method. The swelling was studied by employing first-order and second-order swelling kinetics. The swelling of the liquid crystalline phases of GMO could be described by second-order swelling kinetics. The initial stage of the swelling (t < 4 h) followed the square root of time relationship, indicating that this model is also suitable for describing the water uptake by the liquid crystalline matrices. These results obtained from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 swelling strongly depends on temperature, the initial water content of the liquid crystalline phases and the methodology employed for measuring the swelling of GMO.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참당귀 추출물 함유한 로션제형의 피부 투과 연구 (A Study of the Transdermal Permeation of Lotion Formulations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in Franz Diffusion Cells)

  • 김강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04-1009
    • /
    • 2021
  • 참당귀는 여러가지 약리효과를 가지며 한약재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참당귀 추출물 중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참당귀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형의 국소 전달 가능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국소 전달 로션 제형은 유상으로 테포오즈 및 파라핀을 사용하였고 계면활성제 또는 용해보조제로써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에 높은 용해(0.82 mg/ml)를 가졌던 콜리포어를 사용하고 수상으로 카보머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로션을 프란츠셀에서 Strat-M®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피부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로션 제형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24시간 투과도는 (248.08±19.72 ug/cm2)로 대조군 (119.18±19.23 ug/cm2) 보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피부투과속도 Flux (ug/hr/cm2)와 침투 속도 Kp (cm/hr)값에서는 시험군은 17.20±1.23 ug/hr/cm2와 5.73±1.39 cm/hr*10-3로 대조군의 8.22±1.24 ug/hr/cm2과 2.74±0.51 cm/hr*10-3보다 약 2배 정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제조된 로션 제형은 국소 적용 의약품 또는 화장품 제품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디풀 추출물의 경피 전달을 위한 탄성 리포좀의 물리적 특성 및 In Vitro 피부 투과 연구 (Physical Characterizations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of Elastic Liposome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Polygonum aviculare L. Extract)

  • 한샛별;권순식;정유민;공봉주;유은령;박수남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694-7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마디풀 추출물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인지질(PC)과 계면활성제($Tego^{(R)}$ care 450)로 구성된 탄성 리포좀(ELPs)을 제조하였으며, 그것의 물리적 특성 및 in vitro 피부 투과능을 평가하였다. 마디풀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148.1~262.2 nm, 가변형성 지수는 11.5~25.4, 포집 효율은 53.1~66.3%로 나타났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in vitro 피부 투과 실험결과, 인지질 대 계면활성제 비율이 85:15인 ELP-4가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은 일반 리포좀인 ELP-1보다 더 높은 피부 투과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형광 이미지 복원 현미경을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최적 조건으로 선정된 ELP-4는 마디풀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유용한 피부 전달체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wollen Micelle을 이용한 Tocopheryl Acetate 의 피부흡수 연구 (Study on Skin Permeation of Tocopheryl Acetate Using Swollen Micelle)

  • 손수빈;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2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탈모방지 토너의 활성 성분인 tocopheryl acetate, salicylic acid 및 niacinamide 성분 중 유용성 성분인 tocopheryl acetate의 피부흡수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Salicylic acid와 niacinamide를 함유함과 동시에 tocopheryl acetate를 투명하게 가용화시키려는 방법으로, 계면활성제가 회합하여 형성되는 micelle의 크기를 증가시킨 swollen micelle 구조를 이용하였다. 제조한 swollen micelle 용액은 3종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며 투명한 성상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로 poloxamer 407과 octyldodeceth-16을 사용하였다. 또한 micelle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계면활성제로서 isostearic acid를 사용하였다. 제조한 swollen micelle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온(25 ℃)에서의 탁도를 측정하였다. Swollen micelle에 함유된 탈모방지 성분 중, tocopheryl acetate의 피부흡수율을 평가하기 위해 Franz diffusion cell method를 이용하였다. 24 h 후 tocopheryl acetate의 경우 대조군보다 6 배 향상된 피부흡수량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swollen micelle은 탈모방지 제품 또는 여러 기능성 화장품의 가용화 제형에 응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