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ming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SF영화를 통해 본 미래사회와의 조우 방식 -<설국열차>와 <승리호>를 중심으로- (The Cinematic Encounters with Future Society in South Korean SF Films -Focusing on and -)

  • 신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65-681
    • /
    • 2022
  • 본 논문은 미래 디스토피아 사회에 대한 재앙의 상상력을 구현한 한국 SF 영화 <설국열차>와 <승리호>를 비교·분석했다. 서사 전략을 살펴보면, 두 영화는 공통적으로 미래사회를 지구환경의 위기가 일상화되고 빈부격차가 극단적으로 심화된 자본주의 사회로 재현하고 있다. 인류를 구원함과 동시에 멸망시키는 천재 과학자가 출현하고 과학기술-자본을 독점한 지배권력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에 맞서는 평범한 주체들로 구성된 저항 세력을 내세운다. 하지만 두 영화는 이와 같은 표층서사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기저의 심층 서사에서 미래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특히 자연, 과학기술 그리고 인간-비인간 행위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드러낸다. 본 논문은 이를 작품속 사물(오브제)의 구성방식과 그 내러티브 기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명했다.

로버트 사우디, 식민주의, 그리고 동양 -『파괴자 탈라바』를 중심으로 (Robert Southey, Colonialism, and the East: The Case of Thalaba the Destroyer)

  • 조희정
    • 영어영문학
    • /
    • 제58권5호
    • /
    • pp.859-880
    • /
    • 2012
  •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Robert Southey's Thalaba the Destroyer in relation to cultural colonialism of the British Romantic period and investigating the ways in which this text portrays the Other through its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East. Especiall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e Oriental world constructed in Southey's text reveals the imperial subject's self-conscious awareness of its unstable relation with the unknown Othe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ttends to the formal aspects of Thalaba the Destroyer,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the reader's generic expectations about the "epic" undergo complex revisions and frustrations through reading this text. The epic elements contained in Thalaba the Detroyer include the battle between good and evil and the hero's moral epiphany arising from his struggle against malicious enemies. Yet, Thalaba the Destroyer constantly destabilizes the distinction between self and other by leading the reader to recognize the uncomfortable similarity between the poem's tyrannical figures and imperialistic monarchs in the Western civilization. Thus, when the hero enacts a revolution against despotism, the resistant power points not only to the imagined false kingdom within the text, but to the core of the real Empire that seeks to construct its own "garden" in the global scene. In addition, Southey's "panoramic" description of Oriental objects and stories in his footnotes lacks a framing perspective, erasing and de-stabilizing subject/object distinctions. In these footnotes, he exposes his profound attraction to the culture of "Other" and also conveys his aspiration to transforming Eastern myths and stories into profitable literary texts. Southey's attitude to the East in the footnotes appears to be partially grounded upon the interest of mercantile capitalists of the West, who need to discover potential commodities. Yet, simultaneously, he reveals a sense of moral hesitation about his own desire for the materiality of the East, along with deep anxiety arising from the fear of punishment.

A Study on the South Korean Media toward Science and Technology of North Korea in the Era of Kim Jong-Un: Based on the Analysis of Framing and Information Source

  • Jaeryoung Song;Ami Wo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2권2호
    • /
    • pp.177-199
    • /
    • 2023
  • In traditional studies on North Korea, conservative media in South Korea generally report and have an attitude toward anti-North Korea. It is a similar context as South Korea's conservatives view the U.S. and Japan more closely and positively than North Korea. This study is about how the reporting frames and information sources on North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s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differ and show tren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porting frame on North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by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progressive media showed similar trends or slightly positive responses to North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But the reanalyzed result after dividing it into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governments, the opposite result came out. In the conservative government, the progressive media dealt with very positive aspects of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 the progressive government, there was a clear tendency to report negative rather than positive. What can be inferred from this is that the progressive media of South Korea had at least quit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progressive government in dealing with North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but rather close to anti-North Korea. It is difficult to reach a hasty conclusion because this study has not dealt with all the press and only 10 years after the Kim Jong-Un regime. Nevertheless, this study may provide implication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how South Korea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frame North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 중년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식행동, 영양섭취 상태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2015-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Dietary Behavior, Nutrient Intake, and Mental Health of Middle-aged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2019)

  • 조미숙;이승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83-292
    • /
    • 2023
  •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this study investigates dietary behaviors, nutrient intake,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household type. Data were procured from the 2015-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otally, 5,466 participants aged 50-64 year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a household with one member was defined as a single-person household, and households with two or more members were described as multi-person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comprised 10.63% of the total, with a higher average age, and lower income and economic levels than multi-person households.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higher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eating alone, and dining out, the moderately and severely food insecure group was more than 5 times, and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were poorer. In the fully adjusted model, the odds ratios (ORs) of depressive symptoms were 2.35 times (95% CI: 1.39-3.96), and suicide ideation was 1.95 times (95% CI: 1.35-2.82) in single-person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Our results lead us to conclude that poor dietary intake in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affects the mental health, and the abov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framing the dietary policy.

개격현저대소비자감지화구매의도적영향(价格显著对消费者感知和购买意图的影响) (The Effects of Price Salience on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s)

  • Martin-Consuegea, David;Millan, Angel;Diaz, Estrella;Ko, Eun-Ju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49-163
    • /
    • 2010
  • 以前的研究已经表明零售价格促销改变消费者的购买行为以及零售商频繁的使用价格促销. 为了持续的从消费者身上获得利益, 零售商会采用几种价格促销方式. 例如, 零售商采用绝 对的降低价格($,€), 百分比价格, 或两种方法的结合(Della Bitta et al. 1981). 采用不同的价格促销类似于购买决定的形成(Monroe 1990). 框架效应是指一个问题两种在逻辑意义上相似的说法却导致了不同的决策判断(Frisch 1993). 因此, 如何陈述促销会影响消费者的交易评价并提高销售量. 事实上, 大量的营销研究已经证实了价格陈述对交易感知的影响(Lichtenstein and Bearden 1989; Urbany et al. 1988; Yadav and Monroe 1993). 从这个意义上说, 很多的营销研究已经论证了交易感知同样由消费者准确的计算折扣和最终价格的水平决定的(Estelami 2003a; Morwitz et al. 1998). 所以营销者能够通过提高计算的准确性来提高消费者对折扣的反应. 最后, 由于整体的计算误差导致低估了折扣(Kim and Kramer 2006), 消费者更容易在深度分析价格信息之后领会打折的报价,使他们能更准确地评估价格折扣. 本研究的目的是测试不同的折扣价格对消费者价格感知的影响. 更准确的来说, 本研究的目的是探索如何不同的执行相同的价格促销(语义和视觉凸显), 从而影响消费者对促销的感知和他们的购买决定. 我们的分析聚焦于价格陈述对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的影响. 为了验证提出的假设, 本文用实验性分析来分析几个折扣陈述. 从这个意义上来说, 我们采用一个2(数值显著陈述: 绝对和相对)x 2(语言显著陈述: 新颖的和传统的)x 2(视觉显著: 红色和蓝色)的设计来探索折扣陈述对三个因变量的影响: 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 我们向受访者提供一个假设的广告, 受访者被告知报价的情况并需要对此评估. 一旦样本完成对广告的评估, 他们需要回答一份与价格显著和依赖纬度的问卷. 然后, 进行操作来确保受访者记得他们被对待的情况. 接着, 我们用一个2x2x2的多变量方差分析和随访单变量的测试来证实研究假设并检测单因子(价格显著)对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的影响. 结果表明, 语义和视觉显著的陈述对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有显著的主要影响和相互作用. 数值显著的作用显著影响评估和购买意图. 另外, 语言显著主要影响储蓄并作用与评估和购买意图. 最后, 视觉显著的相互作用对评估有显著影响. 本研究的结果的实践启示包括公司在计划基于用折扣来吸引消费者主义的促销时需要考虑. 因为价格陈述对消费者感知有重要的影响, 所以零售商应该考虑那种影响是想要的从而设计有效的折扣陈述. 特别是, 零售商应该用一种使得最终价格计算容易的传统方式来陈述折扣. 这是如此重要的调查方式使得营销者可以提高消费者心算的准确性来提高消费者对价格折扣的反应. 这个有关价格陈述对消费者反之和购买意图的影响的初步研究为未来的研究开启了方向.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의 연성계수 및 강도계수 평가 (Evaluation of Ductility and Strength Factors for Special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 강철규;최병정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6호통권73호
    • /
    • pp.793-80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에 대하여 반응수정계수(R)의 핵심 구성요소인 연성계수 및 강도계수를 평가하였다.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에 대한 연성계수($R_{{\mu},MDOF}$) 는 단자유도 구조물에 대한 연성계수($R_{{\mu},SDOF}$)에 다자유도 보정계수($R_M$)를 곱하여 산정하였다. 단자유도 구조물에 대한 연성계수($R_{{\mu},SDOF}$)는 지진하중을 받는 탄소성 단자유도(SDOF) 구조물의 목표 변위 연성비와 주기에 따른 비선형 동적해석으로부터 산정하였다. 통계적 연구와 회귀분석으로부터 연성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평가식이 제시되었다. 다자유도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보정계수($R_M$)는 기존의 연구결과로보터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에 대한 강도계수는 비선형 정적해석으로부터 산정하였다.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의 연성 계수 및 강도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층수(4, 8 및 16층), 지진구역계수(Z=0.075, 0.2 및 0.4), 골조 시스템(외곽골조 및 분배골조) 및 붕괴 메카니즘(강기둥-약보 및 약기둥-강보)을 설계 매개변수로 하여 총 36개의 예제구조물을 설계하였다.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의 연성계수 및 강도계수에 이러한 설계 매개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 사행산업 관련 뉴스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식 연구 (Study on Perceptions through Big data Analysis on Gambling related News in Korea)

  • 문혜정;김성경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38-447
    • /
    • 2017
  • 이 연구는 사행산업의 분야인 복권, 체육진흥투표권, 경마, 카지노에 대해 언론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1990년부터 2015년까지의 뉴스데이터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기사의 빈도와 연결성을 프레이밍과 시민관심 정도로 재조명 하여 기사에 대한 언론보도자의 의도와 시민의 인식차이를 밝히고, 이를 통해 정책적 특성과 개혁과제를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복권의 경우 당첨번호, 당첨금, 조작의혹 등 당첨에 대한 부분이 주제인 '사회문제' 형태였으며, 체육진흥투표권의 경우에는 사업입찰, 불법사이트, 발매대상 등 주로 사업추진과 불법사이트에 대한 '의무정보' 종류였고, 경마의 경우 사업장, 홍보, 기사 등으로 사업홍보나 광고 관련 뉴스이었고, 마지막으로 카지노의 경우에는 불법, 도박장, 외국인 등 '주요정보'에 해당하는 논문이었다. 시대에 따라 1990년대에는 카지노, 2000년대에는 복권, 2010년대에는 경마에 대한 기사보도가 많아졌으며, 이에 대한 시민의 반응도 사업비리, 당첨, 시민운동 등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사의 빈도와 연결성이 나타내는 프레이밍 정도와 시민의 관심은 '1. 홍보광고(경마), 2. 의무정보(스포츠베팅), 3. 사회이슈(복권), 4. 주요정보(카지노)' 네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이 중 사고, 비리 등 주요기사로 구분되는 사회문제가 주요 공공의제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베 내각의 일본 과거사 인식 문제에 대한 한국 언론의 시각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에 나타난 보도 프레임의 역동적 과정 (Korean Media's News Coverage of Japan's position on Her Past History Problems Under Abe Shinzo's Cabinet Dynamic Process of News Framing)

  • 이완수;배재영;박경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9권
    • /
    • pp.104-139
    • /
    • 2016
  • 이 연구는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내각이 출범한 후 일본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 입장에 대해 한국 언론이 어떤 반응으로 대응했으며, 내각 시기별 보도과정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엔트만(Enatman)의 프레임 분석틀과 치이(Chi)와 맥콤스(McCombs)가 제안한 '프레임 변화(framechanging)' 개념을 적용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언론은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 문제에 대해 반성적 회고를 하거나 미래 지향적 해법을 제시하기보다는 양국의 현안적 논쟁이나 쟁점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또한 국가적 단위 차원에서, 그리고 정치적 협상방식을 중심으로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했다. 더 나아가 양국 간의 갈등원인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꼽았으며, 일본 내각을 갈등유발 주체로 지목했다. 이론적으로 한국 언론에서 자주 지적되어 온 정파적 이데올로기적 요인이 적어도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 문제에 관한 한 두드러지게 작동하지 않았다. 한국 언론은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 문제를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관찰자 입장에 서기보다는 정부가 지향하는 대(對)일본 정책을 지지, 옹호하거나 일본에 대한 국민의 감정을 전달하는 자국중심의 애국주의적 보도관행에 머물러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토론했다.

  • PDF

지각대상자에 따른 제3자 효과 지각 변화의 원인: 수용자와 지각대상자의 관계와 관여도를 중심으로 (The Magnitude of the Third-person Effect by Comparison Target: A Study on the Effects of Relation of Perceivers to the Comparison Targets and Their Involvement in the Issue)

  • 정일권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5권
    • /
    • pp.362-393
    • /
    • 2006
  • 이 논문의 목적은 제3자 효과 지각에 초점을 맞춰 효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의 쟁점에 대한 관여도와 수용자와 지각대상자의 관계를 조사하여 이를 통해 제3자 효과 지각의 근본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미국 중서부의 오하오주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03년에 실시된 전화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졌다(n=524). 대부분의 제3자 효과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연구의 결과는 제3자 효과 가설을 지지했다. 응답자들은 미디어의 흡연자에 대한 부정적 묘사와 천주교 신부의 성추문 뉴스보도의 두 경우 모두에 있어 미디어의 효과가 자신들보다는 타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제시된 5개의 연구 가설 모두가 지지되지는 않았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정한 지각대상자와 메시지의 관계가 분명할 경우 수용자의 미디어 효과 예상은 동기적 요소보다는 인지적 요소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사회적 거리는 무시되고 쟁점에 대한 관여도와 같은 지각대상자 고유의 특성이 중요시 되며 수용자의 관여도는 인지적 요소에 의한 제3자 효과 지각의 강화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 결과는, 수용자나 지각대상자가 메시지와 잠재적인 연관성을 지닐 경우, 제3자 효과 지각은 그러한 연관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현저화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제3자 효과 지각이 프라이밍 효과 또는 틀 짓기 효과와 관련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한반도 대운하 건설에 대한 방송뉴스 보도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V News Frame based on the Public Enterprise: The Korean Grand Canal Project)

  • 임양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2권
    • /
    • pp.5-26
    • /
    • 2010
  • 이 연구는 대표적인 사회갈등 사안인 한반도 대운하 건설 논란에 대하여 국내 방송이 찬성과 반대 입장에서 어떠한 시각으로 해석하고 이슈를 규명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대운하 건설에 대한 보도방향으로는 방송 3사 모두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찬성이나 반대가 아닌 중립적 보도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송보도 프레임의 특성으로는 MBC와 KBS 뉴스는 정부의 정책집행 프레임 비율이 높았으며, SBS는 정치논리 프레임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운하 건설 주체이자 적극 찬성집단인 정부.여당의 경우, 정치논리와 정책집행 프레임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대운하 반대집단인 민주당 등 야당과 사회.시민단체의 경우, 정치논리와 생태환경 프레임의 비율이 두드러졌다. 방송사별 틀 짓기 행위 프레임의 특징으로 MBC 뉴스의 경우 실체프레임의 비율이 높았으며, KBS와 SBS 뉴스는 정부.여당의 열망프레임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결과적으로 특히 KBS와 SBS 뉴스는 경제성, 환경성, 안전성 등에 대한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국민 여론을 무시한 체, 정부.여당의 권위적 대운하 정책집행과 열망논리로 일관했다고 풀이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