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Media's News Coverage of Japan's position on Her Past History Problems Under Abe Shinzo's Cabinet Dynamic Process of News Framing

아베 내각의 일본 과거사 인식 문제에 대한 한국 언론의 시각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에 나타난 보도 프레임의 역동적 과정

  • Lee, Wan Soo (Division of Media Communication, Dongseo University) ;
  • Bae, Jae Young (Department of Communi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ung Woo (Department of Media & Communication, Dong-A University)
  • 이완수 (동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 배재영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박경우 (동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6.07.31
  • Accepted : 2016.09.22
  • Published : 2016.10.15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media covered Japan's position on her past history issues proposed by Abe' Shinzo's cabinet. The researchers adopted Entman's analytical tools for frame analysis and the concept of "frame changing" proposed by Chi and McCombs. The analysis rendered several propositions. First of all, the Korean media's coverage on Japan's past history issues focused heavily on the current conflict among two nations rather than constructing a futuristic viewpoint based on a thorough discussion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opic. In addition, it emphasized that the conflict should be resolved by political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governments. Secondly, the news coverages depicted "comfort women" issues as the prime element of the conflict, describing Abe's cabinet as the major inducer of the conflict. Ideological and political divisions among Korean media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how they frame Japan's past history issues. In general, Korean media took the stance of ethnocentric "patriotic journalism," advocating Korean government's position and covering the emotional reactions from Korean public instead of providing through and through objective news coverage on Japan's past history issues.

이 연구는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내각이 출범한 후 일본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 입장에 대해 한국 언론이 어떤 반응으로 대응했으며, 내각 시기별 보도과정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엔트만(Enatman)의 프레임 분석틀과 치이(Chi)와 맥콤스(McCombs)가 제안한 '프레임 변화(framechanging)' 개념을 적용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언론은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 문제에 대해 반성적 회고를 하거나 미래 지향적 해법을 제시하기보다는 양국의 현안적 논쟁이나 쟁점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또한 국가적 단위 차원에서, 그리고 정치적 협상방식을 중심으로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했다. 더 나아가 양국 간의 갈등원인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꼽았으며, 일본 내각을 갈등유발 주체로 지목했다. 이론적으로 한국 언론에서 자주 지적되어 온 정파적 이데올로기적 요인이 적어도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 문제에 관한 한 두드러지게 작동하지 않았다. 한국 언론은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 문제를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관찰자 입장에 서기보다는 정부가 지향하는 대(對)일본 정책을 지지, 옹호하거나 일본에 대한 국민의 감정을 전달하는 자국중심의 애국주의적 보도관행에 머물러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토론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정래.이준웅 (2009). 김대중.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구: <조선 일보>.<한겨레> 등 5대 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3권 6호, 196-217.
  2. 김동윤.이현주.정연주 (2016). 한.일 언론의 상대국 국가정상에 대한 보도양상과 이미지 프레임 연 구: 언론 미디어의 국적과 이념적 지향성을 중심으로. <일본근대학연구>, 51집, 239-268.
  3. 김성해 (2008). 국가이익과 언론: 미국 엘리트 언론의 국제통화체제 위기 보도를 중심으로. <언론정보학보>, 42호, 205-248.
  4. 김수정 (2008). 아시아 국가에 대한 한국 신문의 보도특성. <사회과학연구>, 19권, 1-20.
  5. 김영욱 (2009). 독자가 본 한국 언론의 정파성. <미디어인사이트>, 통권 12호.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6. 김영욱.김성해.이토 요이치.장궈량 (2006). <미디어에 나타난 이웃: 한.중.일 언론의 상호국가보도>. 서울: 한국언론재단.
  7. 김용복 (2013). 일본 우경화, 한일관계 그리고 동아시아: 과거사 갈등과 영토분쟁. <경제와사회>, 99호, 36-62.
  8. 남상구 (2013).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한일관계사연구>, 46집, 227-267.
  9. 심훈 (2004). 1995년 북한 기아에 대한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 분석: 허만과 촘스카의 프로파간다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8권 1호, 57-84.
  10. 오대영 (2013). 한국신문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 연구: 뉴스주제, 보도량, 보도태도, 미디어 정보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1호, 74-97.
  11. 오대영 (2014). 한.일관계 보도 좀 더 냉정하게. <관훈저널>, 132호(가을호), 209-215.
  12. 오명원 (2015). <미디어담론과 집단정체성: 국내 언론의 한일 역사 교과서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유세경.정지인.이석 (2010). 미국과 중국 일간지의 '천안함 침몰 사건' 뉴스 보도 비교 분석. <미디어, 젠더, 문화>, 16호. 105-141.
  14. 유승관.강경수 (2013). 한국과 일본 신문에 나타난 상대국 관련보도 특성에 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31호, 275-307.
  15. 이신철 (2012). 국가 간 역사갈등 해결을 위한 역사정책 모색: 한일 간 역사분쟁의 포괄적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100호, 222-244.
  16. 이완수.심재웅.심재철 (2008). 미디어 현저성과 프레임 변화의 역동적 과정: 버지니아 공대 총기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권 1호, 386-412.
  17. 이지원 (2014). 일본의 '우경화': '수정주의적 역사인식'과 아베식 '전후체제 탈각'의 한계. <경제와 사회>, 101호, 53-86.
  18. 이창호 (2004). 뉴욕타임스, 아랍뉴스, 중동타임스의 이라크전쟁 보도 비교. <한국언론학보>, 48권 6호, 4-109.
  19. 최종환.곽대섭.김성욱 (2014). 북핵 위기의 미디어 담론 분석: 국내 신문의 사설과 칼럼을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18권 2호, 245-281.
  20. 홍하은.오명원.김성해 (2014). 집단적 기억의 정치적 관리: 한.일 갈등 이슈를 둘러싼 미디어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47집, 235-276.
  21. Chyi, H. I., & McCombs, M. (2004). Media salience and the process of framing: Coverage of the Columbine school shooting.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1(1), 22-35. https://doi.org/10.1177/107769900408100103
  22. Dimitrova, D. V. (2006). Episodic frames dominate early coverage of Iraq war in the NYT.com. Newspaper Research Journal, 27(4). 79-83. https://doi.org/10.1177/073953290602700406
  23. Entman, R. M. (1991). Framing U.S. coverage of international news: Contrasts in narratives of the KAL and Iran Air incidents. Journal of Communication, 41(4), 6-27.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1.tb02328.x
  24.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s clarif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3.tb01304.x
  25. Herman, E. S., & Chomsky, N. (2002). Manufacturing con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mass media, New York: Pantheon Books.
  26. Iyengar, S. (1991).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McCombs, M. E., & Ghanem, S. I. (2001). The convergence of agenda-setting and framing. In S. D. Reese, O. H. Gandy, & A. E. Grant (Eds.). Framing public life: Perspectives on media and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world (pp. 67-81). Mahwah, NJ: Lawrence Erlbaum.
  28. Muschert, G. W., & Carr, D. (2006). Media salience and frame changing across events: Coverage of nine school shooting, 1997-2001.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3(4), 747-766. https://doi.org/10.1177/107769900608300402
  29. Shoemaker, P. J., & Reese, S. D. (1996).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New York: Longman.
  30. Tankard, J., Hendrickson, L., Silberman, J., Bliss, K., & Ghanem, S. (1991). Media frames: Approaches to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Paper presented to Annual Convention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Boston, M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