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2.665

The Cinematic Encounters with Future Society in South Korean SF Films -Focusing on and -  

Shin, Jin-Sook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article compared and analyzed the SF films Snowpiercer and Space Sweepers, which embody the imagination of disaster for the future dystopian society. In common, the two films represent the future society as a society with a serious climate crisis and an extremely widening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oth films use similar narrative strategies: representing a isolated, twisted-willed scientist figure, building a main stage as catastrophic hierarchical capitalist society, and focusing on the conflicts between a dominant group possessing the science-capital-power and a resistant but ordinary subjects. However, there is the different framing on the future society in terms of representing nature, science technology, and human-nonhuman agency. This distinction is shaped by the narrative function of the objects represented by two films.
Keywords
Science Technology; SF; Imagination of Disaster; Dystopia; Objec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정봉석, "현실과 환상을 가로지르는 오브제의 작용: <지구를 지켜라>(장준환 감독, 2005)," 드라마연구, 제31호, pp.279-303, 2009.   DOI
2 유수연, "소품 오브제의 활용으로 본 캐릭터라이제이션: 영화 피아노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57-73, 2018.
3 임정식, "『설국열차』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대중서사연구, 제21권, 제3호, pp.205-234, 2015.   DOI
4 서정남, "영화 <설국열차>와 봉준호의 서사전략 : 알레고리적 성향을 가진 인물 캐릭터의 수사학,"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 제19권, 제3호, pp.33-66, 2015.
5 S. Sontag, Imagination of Disaster, Against Interpretation : And Other Essays, 이만아 역, 도서출판 이후, pp.312-336, 2002.
6 박현정, "영화 『설국열차』와 생태적 상상력: 미래에 관한 마르크스적 보고서," 문학과 환경, 제14권, 제1호, pp.69-93, 2015.
7 신성환, "SF 영화에 나타난 '쓰레기 문명'과 공존의 윤리에 대한 상상력:<월-E>와 <승리호>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제43권, pp.9-35, 2021.
8 H. Trischler, "The Anthropocene: A Challenge for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N.T.M. Vol.24, pp.309-335, 2016.   DOI
9 S. Vint, and M. Bould, The Routledge Concise History of Science Fiction, 송경아 역, 허블, 2021.
10 김성훈, "봉준호 영화에 나타난 알레고리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701-710, 2016.
11 박세준, 진은경, "<승리호>와 미래 그리고 에코 페미니즘," 문학과 환경, 제20권, 제2호, pp.201-227, 2021.
12 심효원, "인류세와 21세기 간학제적 접근론," 비교문학, 제80집, pp.237-266, 2016.
13 김은주, "영상 내러티브에 있어서 인물과 프로덕션 디자인의 관계에 대한 의미생성 연구," Design Convergence Study, Vol.12, no.4, pp.23-3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