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undation Subjects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38초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적정성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dequacy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Regional Industries)

  • 박상옥;원유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260-5267
    • /
    • 2013
  • 성공적인 지역발전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공간적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전략산업 육성이 필요 하다. 지역산업 발전의 선택과 집중사이에서 선정된 전략산업이 지역경제를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파급효과를 줄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단순히 정책적 과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지자체의 많은 관심과 역할이 중요하며 장기적으로 지역산업과 관련된 주체의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지를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적 사업의 적정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다양한 평가지표가 고려되어야 할 것임에 착안하여 국내외 지역발전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지표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여 지표의 가중치를 도출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산업이 갖춰야 할 합리적 평가체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발전' 부문에서 '지역경제', '인력양성', '지역마케팅' 부문의 속성으로 구분하여 총 9개의 지표를 도출하였고, '산업발전'부문의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기업지원'의 9개 지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향후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평가 시 다양하고, 구체적인 평가체제를 기본으로 부족 부분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지자체는 전략적으로 산업간 융복합이 가능하고, 광역지역 간 연계가 용이한 전략 산업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산업을 위한 인재와 기업에 대한 원활한 기반마련 및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

EEG 대역별 스펙트럼 활성 비를 활용한 BCI-TAT 기반 심리 분석 시스템 (Psychology analyzing system using spectrum component density ratio of EEG based on BCI-TAT)

  • 신정훈;진상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12-124
    • /
    • 2010
  • 정신장애 관련 검사 및 진단 방안에 관한 연구는 국내 외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해결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연구인 심리검사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내포한다. 기존 심리 검사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심리상담가의 전문적 훈련정도에 따른 검사 결과의 해석 차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객관화된 심리 분석기법의 부재로부터 야기되어 지며 그 결과 동일한 피험자 응답에 대해서도 심리 검사자에 따른 서로 다른 주관적인 분석으로 귀결되어 진다. 심리검사 시 또 다른 문제점은 심리검사의 방법으로 부터 야기되어 진다. 기존의 심리검사는 다양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문제는 중증장애우, 외국인, 영유아 피험자들의 심리 검사 및 분석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관적인 심리검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Ballken지수법을 활용하여 주관적 심리검사 및 분석 기법중 하나인 TAT(Thematic Apperception Test)를 분석하여 정량화를 시도하며 객관화 하고자 한다. 정량화되어진 분석결과를 BCI(Brain Computer Interface)기반의 TAT환경 하에 수집되어진 사용자의 뇌파 신호와 비교분석하여 정신장애에 따른 뇌파특징벡터 DB의 구축 및 분류를 수행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심리검사 및 진단 시스템은 기 구축된 뇌파특징벡터 DB를 활용하여 기존의 주관적인 심리검사 기법을 정량화 및 객관화하며, 피험자의 간단한 뇌파검사만으로도 심리검사가 가능하여 기존 심리검사의 대표적인 문제점을 해결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의학용어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촉진 수업방식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in Medical Team Education)

  • 채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27-237
    • /
    • 2020
  •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 촉진 수업방법이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지,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C 지역 4년제 보건행정학과 1학년 '의학용어' 수강생 63명을 대상으로 팀활동 중심의 자기주도학습 촉진 수업방법 적용 후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조사하여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조사는 2016년 9월 6일 1차, 12월 6일 2차로 이틀에 걸쳐 진행되었다. 일반적인 특성과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일반선형모형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18세 이하군은 수업전 177.3점에서 180.8점, 19세 이상군은 192.9점에서 196.5점으로 향상되었다(p<0.05). 수업 후 전반적인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을 보였으며 학업 성취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을 보였다(p<0.05). 회귀분석 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관련 변수들의 모델 설명력은 41.1%로 높았으며 연령과 수시시험이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학습자를 둘러싼 환경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와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질 때 자기주도학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기과목에서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이끌어내고 싶은 교수자나 수업설계자들에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EG기반 언어 인식 시스템을 위한 국제음성기호를 이용한 모음 특징 추출 연구 (EEG based Vowel 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 이태주;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0-95
    • /
    • 2014
  • 인간과 기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인 Brain-computer interface (BCI)를 이용해 휠체어를 제어하거나 단어를 입력하는 등,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장치를 개발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뇌파를 이용한 음성인식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무음통신 등에 적용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electroencephalogram (EEG) 기반의 언어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국제음성기호에 기반을 둔 모음들의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건장한 세 명의 남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한 개의 모음을 제시하는 첫 번째 실험 과정과 두 개의 연속된 모음을 제시하는 두 번째 실험 과정으로 두 단계에 나누어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습득된 64개의 채널중 선택적으로 32개의 채널만을 사용해 특징을 추출하였으며, 사고 활동과 관련된 전두엽과 언어활동에 관련된 측두엽을 기준으로 영역을 선택하였다. 알고리즘 적용을 위해서 특징으로는 신호의 고유 값을 사용하였고, 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이용하여 분류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첫 번째 단계의 실험을 통해서, 언어의 뇌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10차원 이상의 특징 벡터를 사용해야 됨을 알게 되었고, 11차원의 특징 벡터를 사용할 경우, 평균분류율은 최고 95.63 %로 /a/와 /o/를 분류할 때 나타났고, 가장 낮은 분류율을 보이는 모음은 /a/와 /u/로 86.85 %였다. 두 번째 단계의 실험에서는 두 개 이상의 모음을 발음하는 것이 단일 모음 발음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IoT서비스제공자가 준수해야 할 개인정보보호 프레임워크의 개발 방안 (Develop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ramework to be Followed by IoT Service Providers)

  • 신영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0-32
    • /
    • 2020
  • 본 연구는 IoT서비스제공자가 IoT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반적인 과정에서, IoT서비스주체의 개인 정보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문헌조사를 통해 개인정보프레임워크에 관한 구성요소틀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심층면접조사를 통해 개인정보보호 프레임워크를 IoT서비스제공과정과 IoT개인정보처리과정으로 각 3개 단계 3개 분야 2개 지표로 선정했다. 이렇게 선정한 개인정보보호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간 중요도를 AHP기법을 이용한 관련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자메일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IoT서비스제공과정에서는 IoT제품 및 서비스의 설계·개발단계(0.5413)가 가장 중요하며, IoT개인정보처리과정에서는 개인정보의 수집·보유단계(0.5098)에서의 개인정보보호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IoT서비스가 확산되는 가운데, 보안위협 및 개인정보 침해사고를 예방하여 안전한 개인정보보호 프레임워크가 구현되리라 본다.

활인심방 연구주제 동향에 따른 건강무용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Health and Dance Program according to the Trend of Live-In-depth Research)

  • 정유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395-404
    • /
    • 2020
  • 이 연구는 퇴계 이황의 활인심방에 관해 국내에 발표된 연구를 분석하여 건강무용프로그램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정보과학회, DBpia에서 '활인심방'을 키워드로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검색하고, 1974년부터 2018년 12월까지 출간된 논문 총 24편을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 분야 분류기준에 따라 중분류로 분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도별 학문분야 연구동향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인심방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철학, 유학분야 순서로 활인심방 규명 연구에 관심이 많았고, 방안 연구는 인문학, 복합학, 체육학 순으로 활인심방의 관심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주제 동향을 보면 연구주제로 활인심방을 규명하고자 한 연구가 방안 제시 연구보다 많았다. 셋째, 연구 주제별 동향은 활인심방에 대한 학문적 정의를 하고자 한 연구, 활인심방과 타 학문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한 연구,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활인심방을 하나의 무용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건강증진을 위한 무용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하여 다양한 분야와 통합된 건강무용프로그램으로의 가능성을 마련하는 기초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건강무용프로그램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경남 일부지역 폐경 전·후 여성들의 골밀도와 생화학지수들과의 관련성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f Relationship between Biochemical Indice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Pre- and Post- Menopausal Women in Gyeongnam Area)

  • 박미영;김성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8-419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biochemical indice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50 pre-menopausal and 50 post-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risk groups according to their bone status, as determined by T-scores of the lumbar spine and femur. The average T-score of the lumbar spine was higher (p<0.05) in pre-menopausal women ($0.42{\pm}0.18$) than post-menopausal women ($-0.08{\pm}0.21$). Serum levels of HDL-cholesterol, P, and F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isk group than the normal group in pre-menopausal women (p<0.05). Serum levels of total protein, globulin,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osteocalcin were lower in the risk group than the normal group, whereas the level of estrogen was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the risk group in post-menopausal women (p<0.05). In pre-menopausal women, 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 (p<0.01), and AL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steocalcin (p<0.01) and parathyroid hormone (PTH) (p<0.05). Further,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vitamin $25(OH)D_3$ and vitamin K (p<0.05). In post- menopausal women, the C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itamin $25(OH)D_3$ (p<0.05) and vitamin K (p<0.01), and 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itamin K (p<0.01), Ca (p<0.01), and IGF-I (p<0.05)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TH (p<0.05). IGF-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TH (p<0.01) and estrogen (p<0.05), and AL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steocalcin (p<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vitamin K and estrogen (p<0.05). In pre-menopausal women, the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itamin K level (p<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 level (p<0.05). In post-menopausal women, the femur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strogen level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TH leve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tamin K and P levels are associated with bone health in pre-menopausal women, and estrogen and PTH levels are associated with bone health in post-menopausal women.

가치-태도-행동모델(VAB)을 활용한 친환경 소비자의 환경교육의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ro-Environmental Consumers on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ing Value-Attitude-Behavior Model)

  • 황윤성;서용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273-282
    • /
    • 2017
  • 본 연구는 친환경소비자에 대한 환경교육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친환경 행동의 대표적연 연구모형중 하나인 가치-태도-행동모델(VAB, Value-Attitude-Behavior Model)을 활용하였다. 또한, 환경교육방법으로는 학습효과가 뛰어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흥미 및 교육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총 7편의 환경영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116명의 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환경교육을 실시한 후 환경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에 기초하여 실험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경교육은 환경에 대한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태도와 친환경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비록, 청소년기에 친환경에 대한 가치관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지속적인 환경교육을 실시할 경우 친환경적인 행동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과 기존의 환경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반면,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간호의 질 평가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 분석 (The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in Korea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 김남영;장금성;류세앙;김윤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37-352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thereby obtaining basic data relating to the identification of current situation of instrument development of quality of nursing, and of future research orientation and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ex of nursing organizatio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December, 2002 through the review of total of 32 research papers which had evaluated quality of nursing among published papers in Korea from 1976 to August 2002. The analysis was done in terms of research period, the periodicals in which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domains and the approaches of evaluation of nursing quality. The content analysis of lowest-level items amounting was performed using NIC developed by McCloskey & Bulecheck(1998) and consequential indices of quality of nursing developed by Chi(1995). Results: Twenty-three of 32 papers(71.8%) turned out to be published after 1995, indicating surging interest in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from the mid 1990s. Also, ten of 12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subjects' diseases were published after 1995. In content analysis of lowest-level items of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the highest nursing intervention was patient education about procedure and treatment;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patient education about disease process, strengthening of communication, managing environment, infection control, admission care, defecation and urination care. In content analysis of lowest-level items of the outcome-oriented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item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patient and family satisfaction, of knowledge and home care, of change of patients' state, of addressing nursing issues, and of patient recovery were the outcome indicators in more than 60 percent research papers.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ir effective use in nursing practice with comparing and presenting various core evaluation items representing process and outcome domains.

  • PDF

국내 경제활동 인구의 직업유형별 적정수면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job types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sleep appropriateness among South Koreans)

  • 김선정;김동준;김은나;유태규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7-77
    • /
    • 2020
  • Background: As of 2016, average Koreans sleep 7 hours and 42 minutes, the lowest figure among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countries, and the number of people with sleep disorders reached 561,000. Accordingly, the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rovision of 'Multiple Sleep Test' to strengthen the diagnosis service for patients with 'sleep disorder' in july 2018. As a result, healthcare costs for patients with sleep disorder is on the rise every year. In this study, we utilized 'Appropriate Sleep' criteria of United States's National Sleep Foundation(NSF) then investigated Korean's sleep pertinence using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2016-2018」 by different occupational typ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s. Methods: We performed descriptive analysis to examine differences of sleep appropriateness by various sample characteristic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xamine sleep appropriateness by occupational type and other variables. We also analyzed subgroup models to investigate.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1,948 (18.37%) study subjects experienced in-appropriate sleep. Results of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lue color group had a higher odds ratio (OR) for experiencing in-appropriate sleep (OR=1.179).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experienced in-appropriate sleep among the elderly aged 70 and over was 2.698, and the odds ratio of the overstressed group was 1.299. Furthermore,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blue color job of female(Or=1.334), high school or below(OR=1.404), divorce/death/separation(OR=2.039), 25%ile-50%lie income group(OR=1.411) more likely experienced in-appropriate sleep. Conclusion: Growing sleep disorder patients and related health care costs are expected. Government should apply detailed 'total periodic sleep disorder management policy' including pre-consultation, examination, diagnosis, treatment, post-consultation, self-management especially to vulnerable population that this study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