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th Industrial Revolu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3초

일부 보건계열학과 대학생의 4차 산업혁명 인식 및 준비도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reparation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of Some 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 조혜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91-29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사를 준비하는 보건계열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도와 준비도를 조사하여 보건계열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자기기입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4차 산업에 대한 전반적 인식도는 2.74로, 관련 용어 인식은 3D프린팅(3.59)이 높았고 신경망기계학습(2.33) 인식이 가장 낮았다. 전공별로 물리치료학(3.00) 전공 학생의 인식이 높았고 치기공학(2.37) 전공 학생의 인식이 가장 낮았으며 사물인터넷에 대한 전공별 인식도에 차이가 있었다(p=0.024). 4차 산업혁명 관련 준비를 '한다' 54.5%이었고 준비가 어려운 이유로는 '흥미부족'(42.9%)이 높았으며, 교육경험은 50.6%, VR&AR 게임경험은 60.9%에서 '있다'고 응답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나타날 변화로 '일자리 감소'(38.7%), 요구되는 역량은 '창의역량'(50.6%)이었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인식도와 준비도를 높일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법 적용 등의 변화가 필요하겠다.

제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 일본의 사례와 시사점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rategy: Japan's Case and Implications)

  • 김방룡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14-322
    • /
    • 2018
  • 일본은 다가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략적이면서도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일본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은 강점 활용 전략과 약점 보완 전략의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전자에 속하는 것이 '현실 데이터 활용' 및 '신 로봇 개발'이며, 후자에 속하는 것이 '글로벌 이슈 해결'이다. 특히 일본 정부는 제4차 산업혁명의 지향점이라 할 수 있는 Society 5.0 실현을 위한 사회 실증 제도로 일본판 '규제 샌드 박스' 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다른 어떤 국가들보다 적극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문건들에서 제시하는 주요 전략을 고찰하고, 이 고찰을 토대로 한국이 제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을 수립할 때 참고할 만한 시사점들을 제시한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일부 보건계열전공 학생들의 인식과 교육요구도 조사 (The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f Some Health Major Students o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 이미림;이효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93-202
    • /
    • 2021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보건계열 학생들의 인식과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고, 보건의료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방향설정과 교육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에 G도시에 소재한 H대학에 재학중인 보건계열 전공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에 따른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여학생들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전공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높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4차 산업혁명에 의한 영향에 대해서는 남학생의 경우 세대차이 심화(p<0.05), 빈부의 격차 심화(p<0.01), 개인정보침해 심화(p<0.05), 기존 일자리의 감소(p<0.05), 인공지능의 남용(p<0.05)과 같은 부정적인 요인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계열 학생들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바이오와 의료기기에 관한 교육(22.2%)을 가장 많이 희망하고 있었다. 4차 산업혁명의 영향에 대해 보건계열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p<0.001). 따라서 보건계열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로운 일자리의 창출과 삶의 질 향상과 같은 긍정적 요인이 향상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 - 사서와의 비교를 통해 -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about the Future of Librar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ing with Librarians)

  • 강주연;박태연;김건;이정민;오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5-1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선진화된 도서관의 미래상을 정립하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용자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4차 산업혁명 기기 및 기술의 활용 현황,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이용자는 4차 산업혁명을 개략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도서관 분야에서의 4차 산업혁명 전개 수준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이용자가 평소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IT 장비 및 스마트 디바이스는 모바일폰, QR코드, 비콘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모바일폰은 도서관 환경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IT 장비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대체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기기 및 기술에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자들은 4차 산업혁명이 불러올 도서관의 미래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기회와 일자리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이용자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을 위해서 신기술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신기술의 적용이 필요한 도서관 서비스 영역으로는 온라인 서비스 영역을 선택하였다. 궁극적으로 상기 연구 결과와 사서의 인식조사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사점과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자이너의 역량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ompetencies of designer in forth industrial revolution)

  • 조규은;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67-173
    • /
    • 2019
  • 본 연구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변화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미래 디자이너의 전문 역량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자이너는 단계별 산업혁명을 거치며 기술과 인간을 연결하게 해주는 중간자적 역할을 수행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역시 디자이너로서 중간자적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이 변화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해 단계별 변화한 디자인의 패러다임을 연구하였다. 또한, 디자이너 전문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과거와 미래 디자이너 전문 역량을 비교함으로써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디자이너의 고유 영역이라 여겨졌던 시각적 표현 능력 이외에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적인 프로젝트 기획 역량과 이를 실현할 디자인 경영 역량이 대두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디자이너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의 방향을 인지하고 후속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대응체계 구축 (Established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Response System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강희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61-56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전 과정에 적용하여 사고나 재난으로부터 인간 사회 경제 환경 피해 등을 최소화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험예측 및 위험징후 모니터링 기술에 의한 예측평가와 재난정보수집분석 및 현장상황 실시간 감지 분석에 의한 5세대 통신시스템의 예방,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몸으로 기억하는 교육과 훈련에 의한 대비, 재난안전관리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인공지능에 의한 대응, 정찰 탐색 및 방재 구호에 위한지능형로봇에 의한 복구와 피해규모 분석 현장상황 공유하기 위한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조사 분석의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대응체계 구축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개인정보보호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Using Digital Twin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김용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279-285
    • /
    • 2020
  • 4차 산업혁명시대는 주변에 수많은 센서가 존재하고 이들 센서에 사람과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수많은 커넥티드 센서는 초단위로 최신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이 데이터들은 상상할 수 없는 크기의 빅데이터로 쌓이게 된다. 생산되는 데이터 어느 곳에나 개인정보가 담겨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장치적, 시스템적 보호가 필요하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의 물리적 자산의 상태정보를 정확히 반영하는 가상의 모델과 그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디지털트윈이 가지는 특징은 디지털트윈 자체가 현실의 대상을 대변할 수 있을 정도로 시간적, 구조적 동일성을 지니는 것과 복제된 현실을 가상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현실과 동일한 시점이나 미래의 가상적 복제체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을 이용하여 불특정한 해킹 공격에 대해 실시간으로 이를 추적, 차단, 마킹이 가능한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차세대 생산혁신 기술 탐색: 키워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Key Technologies on Next Production Innovation)

  • 이수철;고미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99-207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생산 패러다임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생산혁신 기술을 증거기반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차세대 생산혁신 기술과 관련한 총 441건의 논문데이터를 추출하였고, 이 논문들의 저자 키워드 동시 등장 관계를 기반으로 차세대 생산혁신 기술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기술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중심성 및 키워드 그룹 분석을 통해 주요 기술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digital twin', 'modeling and simulation' 등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실시간으로 완벽하게 연결하여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이를 설계 및 공정에 반영하는 기술들이 주요 기술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련 산업 내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를 대비하는 기업들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Adopt Autonomous Ships Using the TOE Framework and DOI Theory

  • Park, You-Jin;Jeong, Yu-Jin;An, Young-Su;Ahn, Jong-Kap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4-144
    • /
    • 2022
  •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utonomous ships are spotlighted as a next-generation technology that will provide newbenefits for the maritime business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expand the adoption of autonomous ships, the much more interest of the nation and the industries will have to be changed to actual adoption in shipping companies. For this, it is judged that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impacting the adoption intention of autonomous ships should be preceded. However, most studies on autonomous ships have focused on developing the technology, revising the law, establishing policies, and managing human resources, with few studies on influencing factors in the adoption of autonomous ships. A model,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mpact the intention to the adoption of autonomous ships, based on the theory of diffusion of innovation and the TOE framework was developed. The suggested model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the shipping companies and the marine industries in Kore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op management support, financial slack, and competitive intensity significantly impacted the intention to adopt autonomous ships. Additio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overall awareness of autonomous ships among Korean shipping companies is poor.

4차 산업혁명과 ICBMS를 활용한 재난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Policy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CBMS)

  • 강희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13-1216
    • /
    • 2017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로 융복합화, 입체화되면서 재난으로 인한 영향도 대형화되고 재난유형의 다양화와 2차적 피해로 다양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정보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ICBMS을 재난안전관리 전 과정에 적용하여 사고나 재난으로부터 인간 사회 경제 환경 피해 등을 최소화하고 미래 예측기술에 의한 예측평가와 재난정보수집분석 및 통제기술 확보에 의한 예방, 몸으로 기억하는 교육과 훈련 확대에 의한 대비, 재난대응 무인화 기술 고도화에 의한 대응, 지역공동체 환경생태계 조성에 의한 복구와 지능정보 기술에 의한 조사와 분석의 6단계의 재난안전관리 4.0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4차 산업혁명과 빅테이터 적용에 있어서의 기술적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극복할 대안과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