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work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22초

임도 노선측량 작업의 작업분석 (Work analysis of route survey work on forest-road)

  • 권형근;이준우;최성민;염인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3호
    • /
    • pp.209-214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work time, work posture, and work intensity for the actual measurement step in forest road the design work that was being carried out. The measurement of the forest road was being carried by a team of three workers and a team of four workers. The examination of work time found that the measurement of 1km took about 8 hours for the four-worker team and 12 hours for the three-worker team. The examination of work intensity found that the energy metabolic rates of the three-worker team were lower than four-worker team. Because their energy consumption per minute decreased as their work time and rest time increased. Furthermore, when appropriate rest time was applied according to work time, the energy metabolic rate decreased and the work intensity became lower. The four-worker team was more advantageous from the time and cost aspects of the forest road measurement work. Furthermore, as the rest time was very low compared to the work time, more efficient forest road measurement work would be possible if the work intensity was lowered by considering the rest time when calculating the standard work time.

산림작업(山林作業) 영림단(營林團) 운영개선(運營改善) 방안(方案)에 관한 연구(硏究) (Strategies for Improving Forest Work Team Management)

  • 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53-160
    • /
    • 2005
  • 본 논문은 우리나라 기능인 영림단에 대하여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 동안의 영림단 운영실적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영림단의 운영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기능인 영림단의 연간 사업일수가 너무 적어 수입이 낮고, 영림단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숲 가꾸기 공공근로 사업을 줄이고 통합육림 사업을 확대하여, 연중 안정적으로 작업 할 수 있도록 사업량을 확대하여 기능인 영림단의 생계유지 및 소득을 증대시켜야 할 것이다. 모든 영림단원을 임업기능인 훈련교육을 받은 자격을 갖춘 영림단으로 유도하며, 국유림 영림단원이 숲 가꾸기 공공근로 사업에 참여할 경우 일반근로자와 구별하여 별도 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또한 미래의 기계화를 위해서도 기술자를 양성해야 하며, 교육훈련을 통해 기능화하고 자격증 보유비율을 높이도록 하며, 기능인 영림단의 산림작업 능력 향상과 전문 직업의식 고취를 위하여 기계화 교육을 실시하여 기계화률 정착시키며, 교육기간에는 일정한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숲가꾸기사업 유형별 산림작업부하지수 추정을 위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stimation of Forest Work Load Index in the Type of Forest Tending Operation)

  • 박성민;권형근;최성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3호
    • /
    • pp.303-32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산림작업자의 작업강도를 비교하기 위한 산림작업부하지수(Forest Work Load Index, FWLI) 개발을 위해 숲가꾸기사업을 대상으로 산림작업부하지수 추정 연구를 실시하였다. FWLI는 근골격계 부담 분석방법 중 하나인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와 작업강도 분석방법 중 하나인 WLI (Work Load Index)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OWAS는 작업자의 근골격계 부담 분석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론이며, WLI는 작업자의 작업강도 분석에 사용되는 주요 방법이다. OWAS 기법을 통해 산출되는 사업종별 PRI값은 185.3(큰나무가꾸기), 150.6(가지치기), 181.1(산불예방숲가꾸기), 197.0(어린나무가꾸기)으로 분석되었으며, 측정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WLI값은 사업종별로 59.5%(큰나무가꾸기), 53.5%(가지치기), 56.2%(산불예방숲가꾸기), 62.3%(어린나무가꾸기)로 분석되었다. FWLI는 분석된 PRI와 WLI의 값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숲가꾸기 사업이 수행된 사업종별 FWLI값은 110.2(큰나무가 꾸기), 80.7(가지치기), 102.1(산불예방숲가꾸기), 123.0(어린나무가꾸기)으로 분석되었다. FWLI를 활용할 경우 세부공종부터 사업의 종류까지 다양하게 산림작업자의 작업부하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목적에 따라 FWLI 분석의 범위(특정 작업, 작업자들의 역할, 특정 공정, 사업의 종류 등)를 정하여 작업자들에게 가해지는 부하를 측정해 작업자세의 개선 우선순위, 공종별 작업부하 비교, 사업종간 작업부하 비교를 통해 노임의 계상 및 품셈 등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pplication Solution for Forest Fire based on Drone Photography and Amazon Web Service (AWS)

  • Choi, Si-eun;Bang, Jong-ho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1-37
    • /
    • 2020
  • Last year's Goseong-Sokcho forest fires have highlighted the limitations of extinguishing work for night-time forest fire and the importance of quick identification for information on the spread of forest fire.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servic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as most existing disaster-related mobile applications and research assume various disaster situations rather than just forest fire situations. Therefore, a system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quickly is needed,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and the limitations of extinguishing 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evacuation route guidance services that bypass areas where fire has already spread, supplement existing methods of extinguishing work, and provide general information on forest fire situations in real time, by putting drones into forest fire situations. It has been implemented to automate image analysis using the Rekognition service of Amazon Web Service (AWS), and the results of fire detection and the T Map API guide the evacuation path.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allow efficient and rapid rescue and extinguishing work to be carried out, and further reduce the damage of human life caused by forest fires.

숲길 조성공사 작업자의 작업자세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working posture of forest trail construction)

  • 이명교;박범진;이준우;최성민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2호
    • /
    • pp.117-124
    • /
    • 2015
  • In forest work, working conditions are very hard to improve. The good posture is believed to bring about direct improvements such as accident prevention. Therefore, this research carried on analysis of working posture in forest work (construct in stepping-stone) using OWAS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provided by OWAS, the ratio of category III (Work posture has a distinctly harmful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has shawn that worker 2 was 32.2%, worker 1 was 25.2% and worker 3 was 15.5%. Furthermore, the ratio of category IV (Work posture with an extremely harmful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has shown that worker 2 was 9.8%, worker 3 was 1.4% and worker 1 was 1.2%. According to the OWAS method, percentage of OWAS action categories III and IV in the worker 2 was higher than another workers.

돌수로공의 작업시간 및 작업자세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work times and postures occurring relating to stone channel work in forest engineering)

  • 염인환;최윤호;김명준;권형근;이준우;김재수;박범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101-108
    • /
    • 2011
  • In forest work, working conditions are very hard to improve. The proper distribution of work time and good posture is believed to bring about direct improvements such as accident prevention. On this, this study has analyzed forest workers' posture and their working hours in order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in stone channel work. Authors has chosen several core elements of stone channel work to focus on, which include stone masonry, excavation of bed, moving stone, directing work, choosing stone, and breaking stone. The ratio of real working time over total working time was shown as 84.6%. As for the time ratio of each elemental work over the real working time, the stone masonry was 60.4%, the directing work was 15.1%, moving stone was 12.1%, choosing stone was 7.1%, breaking stone was 3.3%, and excavation of bed was 2.0%.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provided by OWAS, the ratio of category III (Work posture has a distinctly harmful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has shown that moving stone turned out 65.2%, choosing stone was 61.5%, stone masonry was 46.1%, breaking stone was 14.3%, excavation of bed was 12.5% and directing work was 6.8%. Furthermore, the ratio of category IV (Work posture with an extremely harmful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has shown that excavation of bed turned out 37.5%, breaking stone was 28.6%, stone masonry was 27.3%, choosing stone was 7.7%, moving stone was 6.1% and directing working was 4.5%.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for the improvement with respect to both working methods in the stone channel work and the workers' working posture.

수변구역 산림의 수질정화기능 증진 (II) -­문제점과 대책을 중심으로­- (Enhancement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s of Watershed Basin (II)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Point at Issue and Counterplans­-)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58-65
    • /
    • 2002
  • This study synthesizes previous research accomplishments with analysis of problems and counterplan for the riparian forest zone management and ongoing research strategy is suggested. If a part of budgets for water use allotments is supported for forest watershed owner, this policy for the forest owner could encourage the forest management of watershed. Integrated riparian forest management guideline in city and county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guidelines. Base on the guideline, working plans of city and county could be evaluated. Public Forest Tending Work for stream water quality and quantity conservation should be enlarged for forest watershed and forest area management in five big river watersheds. Forest watershed should be managed with a connected system for a pollutant reduction strategy in urban and industrial areas.

충청남도 민유임도에 적용된 공종의 변화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Work and Improvement in the Private Forest Road of Chungcheongnam Province)

  • 이준우;김주백;최윤호;김명준;박범진;박종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21-28
    • /
    • 2007
  •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 녹색임도 구현을 위해 1990년부터 2003년까지 시공된 충청남도 민유임도의 임도설계서를 검토하여 적용공종의 변화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임도사업비의 변화추이는 사업연도에 따라 꾸준히 증가되었고 특히 환경친화적 녹색임도 구현을 위한 임도정책이 수립된 1999년과 2000년도에 사업비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견실한 임도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토공사업의 비욜은 1999년 약 25.4%에서 2000년부터 2003년까지 토공사업비 평균비율이 18.5%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토공의 비율이 줄어든 것과는 달리 비탈면보호공이나 구조물공의 총액은 상승하였으나 비율은 거의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용 구조물의 규격확대와 적용 물량의 증가에 따른 자재대의 비율과 제경비의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구조물공과 비탈면보호공에 소요되는 재료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향후 공사비의 증가가 적용 구조물의 규격확대와 투입량 증가만으로 이어질 경우 임도시공 노하우와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공법의 적용과 개발노력이 요구된다.

  • PDF

산악지(山岳地) 임도시설(林道施設)을 위한 암석천공(岩石穿孔) 작업량(作業量)의 예측(豫測) (Estimation of Rock Drilling Work Size for Mountain Forest Road Construction)

  • 마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3호
    • /
    • pp.193-199
    • /
    • 1987
  • 임도시공예정지(林道施工豫定地)의 천공폭파에 따른 작업량(作業量)과 사업비(事業費)의 간이예측방법을 탐구하여 임도설계(林道設計)의 일반지침(一般指針)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양양군 현남면 일대의 화강편마암지대에서 임도 5 km를 11개(個) 싸이클로 구분하여 20 m 측점단위별 산지경사를 조사하고 각 싸이클별 작업시간(作業時間) 재료량(材料量) 및 인력(人力)을 조사(調査)하였다. 분석결과(分析結果)에 의하면 산지경사(山地傾斜) 70% 이상(以上)인 사면(斜面)의 출현비율(出現比率)과 천공작업길이와의 상관성이 높아 이를 지표(指標)로 하여 작업량(作業量)을 추정(推定)하였다. 천공길이 총량을 추정할 수 있으면 공기압축기 가동시간(稼動時間) 착암인부수(人夫數) 및 소요(所要)화약량은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예측할 수 있다. 분석된 조사결과(調査結果)를 기초자료로 하여 산지경사(山地傾斜)에 따른 착암량과 이에 소요되는 기계 인력 및 재료량 추정치를 표(表) 5 와 같이 제시를 한다.

  • PDF

임업기능인 임금조사를 통한 직종별 기준임금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Standard Wage System for Forestry Workers in Korea)

  • 한상균;한한섭;우희성;최병구;조민재;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32-639
    • /
    • 2015
  • 산림작업은 험준한 산악지에서 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임업노동자에게 높은 위험수준을 부담하는 노동형태를 띠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노동에도 불구하고 건설공사 품셈을 바탕으로 하는 비현실적인 임금체계의 적용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작업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임업기능인의 노동생산성도 점차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 사유림 임업기능인 영림단을 대상으로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과 합리적인 임금체계 수립을 위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내용을 바탕으로 임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새로운 직종별 적정 임금체계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19문항으로, 총 659명에게 우편을 통하여 실시하였고, 이 중 28.5%의 회신율을 보였다. 조사된 영림단의 평균 적정임금은 지역별로 다소차이를 보였으나, 보통인부가 97,680원/일, 특별인부 127,559원/일, 벌목부는 152,403원/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협회의 노임단가와 비교했을 때, 적정한 수준이라 판단된다. 또한 현재 분류되고 있는 3개 직종(보통인부, 특별인부, 벌목부)구분 보다는 좀 더 산림작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5개 직종(산림환경작업부, 초급산림작업인, 중급산림작업인, 고급산림작업인, 산림장비운전사)으로 구분한다면 임업기능인을 위한 현실적이고 안정된 임금체계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