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weller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Distribution of Social Wasps in Two Metropolitan Cities (Busan and Daegu) of South Korea

  • Kim, Chang-Jun;Choi, Moon Bo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2호
    • /
    • pp.101-107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cial wasps' urban distribution tendency based on 10 species found in two metropolitan cities (Busan and Daegu) of South Korea. There 10 species included six species (Vespa mandarinia, V. ducalis, V. crabro flavofasciata, Vespula koreensis koreensis, Parapolybia indica, and Polistes snelleni) of forest dwellers that inhabited urban main forests and satellite forests, two species (V. simillima simillima and V. analis parallela) of facultative dwellers that nested at diverse sites of urban areas with greater preference for urban forest, and two species (V. velutina nigrithorax and P. rothneyi koreanus) of urban dwellers that nested at almost all sites, including urban and forest areas. These urban dwellers were found to adapt well to an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ir far higher rate of urban nesting compared to facultative dwellers. When distribution tendencies of facultative dwellers and urban dwellers in Busan and Daegu were compared, a regular distribution was mostly observed in Busan with a dense forest network. For Daegu that lacked forest connectivity, the greatest distribution of species was found in the nearby urban forest. For Daegu, a city further away from forests, urban dwellers occurred far beyond forest sites compared to Busan with a dense forest network.

도시민 대상 귀산촌 교육 요구도 분석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Migration to Mountains Area by City Dwellers)

  • 장주연;김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466-475
    • /
    • 2015
  • 본 연구는 귀산촌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산촌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귀산촌 교육 요구도를 조사 분석 하였다. 2014년 산촌미리살아보기캠프에 참여한 80명의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중규모(20-40명)의 인원을 대상으로 한 합숙 및 현장 체험형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제 산촌의 특성을 잘 알고, 이주 경험이 있는 교육 강사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공식과 IPA 분석법을 활용하여 교육 내용에 대해 분석한 결과, 임야 토지확보, 임산물 재배관리, 성공사례방문실습, 산촌관광 등 이주 후 삶을 지속하기 위해 주거지를 확보하고 경제 활동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보다 효율적인 귀산촌 교육을 위해서는 실제 지역에서 적응하고 있는 귀산촌인들을 대상으로 추가 조사를 진행하여 지역 정착에 필요한 다각적인 교육내용과 지원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Forest Garden

  • Hong, Kwang-pyo;Jin, Hye-young;LEE, Hyu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113-119
    • /
    • 2020
  • Development of forest garden for city dwellers utilizing green space within urban area is nowadays highly regarded as a means to invigorate city and to raise living standard for city dwellers. Thus, development of forest garden has become pressing and important agenda for city governments. Promoting forest garden to solve many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city governments face today requires evaluation criteria to determine whether target green space is suitable to serve as forest garden. In this respect, we believe that evaluation of values of forest garden from previous studies can serve as foundation for developing evaluation index for forest garden. Thus, we aimed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values of forest garden. First, various evaluation criteria collected from previous studies were assessed by expert groups. Then, the result was studied through AHP technique and we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for forest garden based on such result. Especially, evaluation criteria were divided into main and sub-levels for more detailed and precise evaluation system.

The Causes of Deforestation and Loss of Genetic Resources in Bangladesh

  • Islam, Mohammad Saiful;Islam, Mohammad Jahidul;Ahmed, Sheikh Ali;Chun, Su-Kyoung;Chong, Song-Ho;Kim, Jong-In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7-323
    • /
    • 2007
  • Almost all the people, particularly the rural people are directly dependent on the continued productivity of natural resources, like water, soils, forests and fisheries. But the overuse by the extremely high population pressures has degraded the natural resources into severe widespread deforestation. The degradation of natural resources, particularly the plant resources has been a great concern for socio-economic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e Forests in Bangladesh have been depleted and degraded in volume, area, and quantity, thus requiring urgent forest protection by identifying the causes of forest loss. There are so many causes of deforestation and loss of genetic resources such as; the timber industry, which, legal or not, are cutting too many trees; indigenous forest dwellers, having their own types of problems; migrants, who, because of problems in their places of origin, have decided to move to the forests and the government through its Forest Department which is not able or willing to implement suitable policies to regulate the cutting trees and to prevent illegal cutting. Because it is a time consuming task to mitigate the first and second sets of factors, we recommend involving forest dwellers in forestry practices as much as possible and taking necessary steps to alleviate the third and fourth sets and thereby reduce the rate of forest depletion. Accordingly, a number of strategies that should be adopted to halt the loss of remaining forest cover are discussed.

  • PDF

새마을운동 기간에 조림·육종·사방 기술 연구개발이 우리나라 산림녹화 성공에 미친 기여도 고찰 (Contribution of Tree Plantation, Tree Breeding and Soil Erosion Control Techniques Developed During Saemaul Undong Periods to the Successful Forest Rehabilit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이돈구;권기철;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371-379
    • /
    • 2017
  •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 기간에 개발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개발이 우리나라 국토녹화 과정에 미친 공헌을 규명하기 위해 산림분야 학술지의 문헌을 고찰하고 산림녹화 사업에 참여한 임업인을 인터뷰하였다. 우리나라 국토녹화 사업은 1970년대에 새마을운동과 함께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당시 연구 개발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의 현장 보급을 통해 산사태 방지와 조기 녹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 새마을운동 당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연구는 대부분 황폐된 산지의 조기 복구에 집중되었다: 조림 기술 연구는 번식 양묘와 특수조림; 육종 기술 연구는 도입 선발 교잡 및 배수체육종, 내병 내충성 육종; 사방 기술 연구는 산지 야계 해안 사방에 집중되었다.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연구는 새마을운동과 연계되어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 소득 증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조림, 육종 및 사방 연구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토녹화 성공사례는 산림이 심하게 훼손된 북한 및 개발도상 국가들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원잔디공간의 녹지구조적 의의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Lawn Areas in Urban Parks)

  • 엄붕훈;염두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7-36
    • /
    • 1985
  • ^x In Korea, we are entering on a new phase that the use concept of urban park is extending to dynamic activities such as games and sports.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lawn areas, as a receptive space of such a wide range of recreation activities. As a study process, Green Styles (type of parks) such as Garden Type, Park Type and Forest Type were studied and historical review of lawn areas in park development was performed. In conclusion, the lawn areas ( greensward) are an essential part of park and open space organization. The significance as a conclusion is presented as follows : 1 ) Balance in type of parks The structures of our parks and open spaces are inclined toward the artificial Garden Type and natural Forest Type. Therefore, the intermediate Park Type and sparse wood areas should be a core part of our park and open space development. 2) Psychological effect Park Type areas, thorned by greensward(lawn area), can refresh urban dwellers with natural picturesque landscaps, and Park Type landscape is the most preferred natural landscape. It shows the essence of natural amenity as 3) Accomodation of wide range of recreation activities Lawn areas in urban park are the best place in accomodating the wide range of active and massive recreation activities. Thus, lawn areas can increase the freedom of recreation use in urban park. 4) Enlargement of physical carrying capacity. With expansion of lawn areas of euro- american concept, the structural open space can be transformed into service open space. Thus, the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of urban parks can be enlarged.

  • PDF

Assessment of the Effect of Substrates from Different Wood Species on the Cultivation of Edible Mushroom

  • Samuel Oluyinka Olaniran;Temitope Iyelomo Oluronbi;Ebenezer Adeyemi Iyiola;Olusola Olubola Olasup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64-71
    • /
    • 2024
  • Mushroom is very important to rural dwellers due to the various economic, health and nutritional benefits that can be derived from its consumption, sales and utilization. Henc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a view to evaluating the influence of locally available substrate i.e., sawdust of different wood species on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was grown on sawdust (indigenous and exotic species) using two pretreatment methods, which included hot water treatment to remove (a water-soluble extract) and non-extracted sawdusts (substrat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different wood species selected. Parkia biglobosa produced a better yield (71.06 g), followed by Anogeissus leiocarpus (53.17 g) and Gmelina arborea (51.39 g) in a non-treated unextracted states. In the treated samples, Parkia biglobosa has the highest yield (50.61 g) followed by Anogeissus leiocarpus (49.28 g) and Gmelina arborea (45.00 g). Thus, Parkia biglobosa and Anogeissus leiocarpus produced a higher yield of mushroom either in a treated or non-treated state and they could be recommended for grow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마을숲의 분포 위치와 지형적 공간특성 유형화 방안 - 경북 의성, 전북 진안 및 전남 함평지역을 대상으로 (Locations and Topographical Character of the MAEULSOOP in the Southwestern and the Eastern Region)

  • 권진오;오정학;이정연;박찬열;최명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85-93
    • /
    • 2008
  • 전통적으로 마을에 인접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되거나 관리 및 이용되어온 한국의 전통마을숲은 그 역사가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마을숲 조성의 배경은 흔히 주변의 언덕, 물길과 바람통로 등 마을주변 자연환경과 관련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착한 마을과 조성된 마을숲간의 위치관계를 지형적 유형으로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숲"이 "주체인 마을"의 생활환경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약 500개 이상의 문헌조사와 현장 확인을 통해 전남 북지역과 경북지역 40개 마을숲에 대해 항공사진, GIS에 의한 3차원분석 등을 통해 마을숲과 마을 주변의 지형적 관계를 유형화 하고 조성 의미를 고찰하였다. 지형적 특징에 따른 유형별 마을숲은 다양한 생태계 및 생활환경개선 효과를 마을에 제공할 것으로 추정되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위치적 특성이 마을 주민의 생활상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마을숲 조성의 효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강원도내(江原道內) 화전취낙(火田聚落)의 민속자료발굴보전(民俗資料發掘保全)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urvey on Folklore and Folkcrafts Preserved in "Hwajeon" Villages of Gangweon-Do)

  • 호을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8-90
    • /
    • 1977
  • 산간벽지(山間奧地)에 산재(散在)해 있는 화전취낙(火田聚落)의 민속자료발굴조사(民俗資料發掘調査)에 있어서 화전민(火田民)들의 생업(生業)에 대(對)한 불안정(不安定)으로 거주(居住)의 유동성(流動性)이 빈다(頻多)하여 조상(祖上)때부터 세습적(世襲的)으로 전승(傳承)하여 활용(活用) 또는 보존(保存)하고 있는 것이 희소(稀少)하다. 더욱이 근간(近間) 새마을운동(運動)의 물결과 근대문물(近代文物)의 침투(浸透)는 재래식생활양식(在來式生活樣式)의 개혁(改革)을 불가피(不可避)하게 하고 있어 조상전래(祖上傳來)의 재래식(在來式) 생활용구(生活用具)는 거의 그 자취를 감추고 있다. 근간(近間) 농산부(農山付)의 전화사업(電化事業)의 촉진(促進)은 과거에 한촌(寒村)이었던 火田聚落(화전취낙)을 근대화(近代化)로 지향(指向)시키는데 안간힘을 기우리고 있어 구각(舊殼)에서 탈피(脫皮)되고 있다. 그러나 교통(交通)이 불변(不便)하고 인적(人跡)이 소원(疎遠)한 산간오지(山間奧地)에서는 상금(尙今) 생활생업(生活生業)을 에워싸고 있는 민속자료(民俗資料)가 잔존(殘存)하고 있어 이를 통(通)하여 조상(祖上)의 생활풍습(生活風習)과 심산유욕(深山幽谷)을 배경(背景)으로한 환경(環境)의 적응성(適應性)이 강(强)하였음을 감지(感知)할 수 있다.

  • PDF

근대 대구시의 조망경관 특성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View Landscape in Modern Daegu)

  • 박진욱;황국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4-67
    • /
    • 2013
  • 본 연구는 근대 대구시를 대상으로 가시권분석과 토지이용현황을 분석하고 GIS를 활용하여 이를 중첩시킴과 동시에 3D 시뮬레이션으로 투시도를 작성하여 근대 대구시의 조망경관 특성을 분석하였다. 근대 대구시의 경관특성은, 가시권역에 포함된 토지이용에서 산림의 비율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특히, 서쪽의 와룡산, 북쪽의 함지산 및 학봉, 남쪽의 앞산 등 높은 산지와 더불어 서부침식저지와 동부구릉지 및 침식저지에 형성된 산림이 낮은 구릉지 형태로 존재하고 있어서 어디에서나 산림이 조망 가능하며, 시점 주변에 농지가 분포하고 있어서 시점에서 주위 산을 조망할 때,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농지-산림으로 이어지는 자연환경 요소에 의해 연속적인 조망경관이 형성되었다. 또한, 주요 조망대상은 조사구역의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산지이며, 성내에서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산지까지의 내부공간에는 주변지역보다 표고가 높고 산림으로 구성된 조망대상이 위치하고 있어서 성내를 중심으로 서쪽, 남쪽, 북쪽 방향으로 이중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중첩경관(重疊景觀)이 형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