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egradation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의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 방지를 통한 탄소배출감축 프로그램 이행의 기저선 접근법 연구 (A Study of Baseline Approach for Implementing Program of Reduced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n South Korea)

  • 박홍철;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84-497
    • /
    • 2012
  • 최근 산림분야를 통해 탄소배출량을 줄이고자하는 노력으로 신규 및 재조림이 주를 이루던 산림정책 패러다임이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방지를 통한 탄소배출감축(REDD) 활동에 대한 관심으로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REDD 이행 성과 가시화를 위한 단계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16개 시도단위별 산림환경여건을 분류하고, 국제적으로 주요하게 사용되는 6가지 기저선 접근법을 적용하여 국가단위 REDD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최적 기저선 접근법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으로 HFLD에 대한 탄소배출권 획득량이 낮았으며, 이에 반해 LFMD, LFHD에 대한 획득량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HFLD 지역은 산지전용을 통한 개발이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REDD 이행 기제에 대한 참여 유인이 부족하게 된다. 모든 유형의 산림여건에서 REDD에 대한 참여를 높이기 위한 유인성과 적은 노력으로 많은 양의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실제성이 모두 적절하게 만족스러운 기저선 접근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실제성과 유인성 평가시 Corridor Approach 접근법 선택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적용시 발생하는 이익분배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형 Corridor Approach 접근법을 개발하였다.

바이오복합재료 제조 공정시 제조온도 및 시간에 의한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Impact on Manufacturing Temperature and Time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Bio-composites)

  • 박상용;한규성;김희수;양한승;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29-37
    • /
    • 2005
  • 본 연구는 바이오복합재(bio-composites) 제조시 제조온도와 시간이 기질인 열가소성 고분자와 충전제인 왕겨분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제조온도가 왕겨분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왕겨분말을 $220^{\circ}C$에서 10분부터 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열가소성 고분자인 polypropylene (PP)과 low-density polyethylene (LDPE)에 충전제로 첨가하여 바이오복합재를 제조한 후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220^{\circ}C$에서 왕겨분말의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왕겨분말의 주요 구성성분이 열분해로 인하여 인장강도와 충격강도값이 감소하였다. 실제적인 제조온도에 의한 중량감소를 측정하기 위하여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를 이용하여 $220^{\circ}C$의 등온상태에서 2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열가소성고분자에서는 중량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충전제인 왕겨분말과 바이오복합재의 경우 시간이 증가할수록 열분해에 의한 중량감소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바이오복합재 제조시 높은 제조온도로 인한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와 제조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인도네시아의 REDD+ 전략 평가를 위한 기준 개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Evaluating Indonesia's REDD+ Strategy)

  • 배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06-612
    • /
    • 2012
  • 기후변화협약 제16차 당사국총회에서 결정된 칸쿤 합의문의 REDD+ 결정문과 노르웨이의 인도네시아 REDD+ 국가 전략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 요소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의 REDD+ 전략을 사전에 평가하기 위한 4가지 정성적인 기준을 개발하였다.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의 원인 규명'(평가기준 1)과 '국가 MRV 체계 수립'(평가기준 2)은 REDD+가 성공할 수 있는 토대이다.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평가기준 3)은 REDD+의 궁극적인 목적이고 지역주민 및 원주민의 권리를 보장하고 생물다양성을 보장하는 '안전장치의 보장'(평가기준 4)은 REDD+의 보완적인 목적이자 REDD+ 성공의 토대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REDD+ 평가를 위한 기준 및 지표는 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개도국의 REDD+ 국가 전략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틀을 제공한다.

Effect of Biological and Liquid Hot Water Pretreatments on Ethanol Yield from Mengkuang (Pandanus artocarpus Griff)

  • Yanti, Hikma;Syafii, Wasrin;Wistara, Nyoman J;Febrianto, Fauzi;Kim, Nam 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145-162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the sugar and ethanol yield from the mengkuang plant biomass through biological and liquid hot water (LHW) pretreatment and their combin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iological pretreatments with 5% inoculum of the fungus Trametes versicolor resulted in the highest alpha cellulose content incubated for 30 days, and 10% inoculum resulted in the lowest lignin content. LHW pretreatment decreased the hemicellulose content of pulps from 10.17% to 9.99%. T. versicolor altered the structure of the mengkuang pulp by degrading the lignin and lignocellulose matrix. The resulting delignification and cellulose degradation facilitate the hydrolysis of cellulose into sugars. The alpha cellulose content after biological-LHW pretreatment was higher (78.99%) compared to LHW-biological pretreatment (76.85%).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showed that biological-LHW combinated treatment degrades the cell wall structures. The ethanol yield for biological-LHW pretreated sample was observed 43.86% (13.11 g/L ethanol by weight of the substrate, which is much higher than that of LHW-biological pretreatment (34.02%; 9.097 g/L). The highest reducing sugar content about 45.10% was observed with a resulting ethanol content of 15.5 g/L at LHW pretreatment temperature of $180^{\circ}C$ for 30 min.

Natural Regeneration Potential of the Soil Seed Bank of Land Use Types in Ecosystems of Ogun River Watershed

  • Asinwa, Israel Olatunji;Olajuyigbe, Samuel Olaleka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141-151
    • /
    • 2022
  • Soil seed banks as natural storage of plant seed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intenance and regeneration of watershed. Natural regeneration potential of the soil seed bank of Land use types (LUTs) in Ogun River watershed (ORW) was investigated. ORW was stratified using proportionate sampling technique into Guinea Savannah (GS), Rainforest (RF) and Swamp Forest (SF) Ecological Zones (EZs). Three LUTs: Natural Forest (NF), Disturbed Forest (DF) and Farmland (FL) were purposively selected in GS: GSNF, GSDF, GSFL; RF: RFNF, RFDF, RFFL and SF: SFNF, SFDF, SFFL, respectively. Systematic line transects was used in the laying of the sample plots. Sample plots of 25 m×25 m were established in alternate positions. Ten 1 m×1 m quadrats were randomly laid for soil core sampling from previously randomly selected ten plots. The core samples (10) were pooled per plot in each LUT and placed in individual trays. Ten trays with sterilized soil were used as control. The trays were watered regularly and checked for seedlings emergence fortnightly for 18 months.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was 3×3 factorial experiments. ANOVA, Diversity index (H') and Similarity index (SI)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edling emergence among ecological zones and land use types (p<0.05). A total of 4,400 seedlings emerged from the soil samples. All species were distributed among 32 families. FL in the RF had the highest number of germinated seeds (705±37.33 seedlings) followed by DF in the RF (701±49.6 seedlings). The lowest emergence was in NF of the SF (199±28.41 seedlings). DF in the RF had highest number of species (34) distributed among 22 families. Emergence from soil seed bank of NF in ORW was generally with more of tree species than herbs that were predominant in FL and DF.

새마을운동 기간에 조림·육종·사방 기술 연구개발이 우리나라 산림녹화 성공에 미친 기여도 고찰 (Contribution of Tree Plantation, Tree Breeding and Soil Erosion Control Techniques Developed During Saemaul Undong Periods to the Successful Forest Rehabilit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이돈구;권기철;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371-379
    • /
    • 2017
  •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 기간에 개발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개발이 우리나라 국토녹화 과정에 미친 공헌을 규명하기 위해 산림분야 학술지의 문헌을 고찰하고 산림녹화 사업에 참여한 임업인을 인터뷰하였다. 우리나라 국토녹화 사업은 1970년대에 새마을운동과 함께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당시 연구 개발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의 현장 보급을 통해 산사태 방지와 조기 녹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 새마을운동 당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연구는 대부분 황폐된 산지의 조기 복구에 집중되었다: 조림 기술 연구는 번식 양묘와 특수조림; 육종 기술 연구는 도입 선발 교잡 및 배수체육종, 내병 내충성 육종; 사방 기술 연구는 산지 야계 해안 사방에 집중되었다.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연구는 새마을운동과 연계되어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 소득 증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조림, 육종 및 사방 연구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토녹화 성공사례는 산림이 심하게 훼손된 북한 및 개발도상 국가들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Superoxide Dismutase and Low Molecular Mediators on Lignin Degradation

  • Leonowicz, Andrzej;Matuszewska, Anna;Luterek, Jolanta;Ziegenhagen, Dirk;Wojtas-Wasilewska, Maria;Hofrichter, Martin;Rogalski, Jerzy;Cho, Nam-Se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4호
    • /
    • pp.1-14
    • /
    • 1999
  • As the biodegradation of wood constituents has been understood as a multi-basidiomycetes and enzymatic processes, this review will focus on the roles of low molecular compounds and radicals working in harmony with fungal enzymes. Wood rotting basidiomycete fungi penetrate wood, and lead to more easily metabolize carbohydrates of the wood complex. The white-rot fungi, having versatile enzymes, are able to attack directly the "lignin barrier". They also use a multi-enzyme system including so-called "feedback" type enzymes allowing for simultaneous degradation of lignin and carbohydrates. The multi-enzymes including laccase support the proposed route by explaining how the high molecular weight enzymes can function in the wood complex. These enzymes may function separately or cooperate each other. In addition, veratryl alcohol oxidase, cellobiose dehydrogenase, arylalcohol dehydrogenase, and particularly low molecular mediators and radicals have an important role in wood biodegradation. However, the possibility of other mechanism as well as other enzymes, as operating as feedback systems in the process of wood degradation, could not be excluded.

  • PDF

Micro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ngal (Neobalanocarpus heimii) Heartwood Decayed by Soft Rot Fungi

  • Kim, Yoon Soo;Singh, Adya P.;Wong, Andrew H.H.;Eom, Tae-Jin;Lee, Kwang H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68-77
    • /
    • 2006
  • The heartwood of cengal (Neobalanocarpus heimii) is known to have a high degree of decay resistance by virtue of its high extractive content. After 30 years in ground contact an utility pole of this tropical hardwood was found to be degraded only in the surface layers by cavity-forming soft rot fungi.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1) to characterize the degradation of cengal heartwood from the aspect of ultrastructure and chemistry and 2)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ft rot decay and its extractive microdistribution in wood tissues. The chemical analysis of cengal heartwood revealed the presence of a high amount of extractives as well as lignin. The wood contained a relatively high amount of condensed lignin and the guaiacyl units. Microscopic observations revealed that vessels, fibers and parenchyma cells (both ray and axial parenchyma) all contained extractives in their lumina, but in variable amounts. The lumina of fibers and most axial parenchyma were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filled with the extractives. TEM micrographs showed that cell walls were also impregnated with extractives and that pit membranes connecting parenchyma cells were well coated and impregnated with extractives. However, fungal hyphae were present in the extractive masses localized in cell lumina, and indications were that the extractives did not completely inhibit fungal growth. The extent of cell wall degradation varied with tissue types. The fibers appeared to be more susceptible to decay than vessels and parenchyma. Middle lamella was the only cell wall region which remained intact in all cell types which were severely degraded. The microscopic observations suggested a close correlation between extractive microdistribution and the pattern and extent of cell wall degradation. In addition to the toxicity to fungi, the physical constraint of the extractive material present in cengal heartwood cells is likely to have a profound effect on the growth and path of invasion of colonizing fungi, thus conferring protection to wood by restricting fungal entry into cell walls. The presence of relatively high amount of condensed lignin is also likely to be a factor in the resistance of cengal heartwood to soft rot decay.

겨울우산버섯에 의한 목재칩의 리그닌 분해 효소 활성 및 리그닌 함량 변화 (Changes in Activities of Lignin Degrading Enzymes and Lignin Content During Degradation of Wood Chips by Polyporus brumalis)

  • 조명길;유선화;김명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6호
    • /
    • pp.424-43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자생하는 백색부후균인 겨울우산버섯(Polyporus brumalis)을 소나무 시편에 배양하여 목재 처리에 의한 리그닌 분해효소의 활성변화를 조사하고 목재의 분해가 일어나는 동안 중량감소율 및 리그닌 감소율을 통해 분해능을 확인하고 여기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SSC (Shallow Stationary Culture) 액체배지에 목재 시편을 넣고 겨울우산버섯을 배양하였을 때 무처리구에서는 laccase의 활성이 20일 이후 감소하는 반면, 시편 처리구에서는 활성이 계속 증가되었다. 특히, 60일 전후의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10배 이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겨울우산버섯에 의한 소나무칩의 중량 감소율과 리그닌 감소율은 80일 후 각각 23.4%와 6.3%로 나타났다. 40일 배양한 목질칩에서 분리한 겨울우산버섯의 pblac1의 유전자 발현은 무처리구에 비해 소나무 칩 처리구에서 약 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백색부후균에 의한 목재칩 처리에 의해 리그닌 분해효소의 활성이 증가되며 pblac1이 리그닌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백색부후균의 리그닌분해효소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리그닌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 개발이 가능하고 목질에탄올 생산 전처리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위성영상과 산림생장모형을 활용한 한반도 산림자원 변화 정량화 (Quantifying forest resourc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satellite imagery and forest growth models)

  • 김문일;박태진
    • 환경생물
    • /
    • 제42권2호
    • /
    • pp.193-206
    • /
    • 2024
  • 본 연구는 한반도 전체 산림면적과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2000~2019년 기간 산림면적의 변화를 연도별로 분석하였으며, 한국형 산림탄소모형을 기반으로 2000~2020년의 산림탄소 변화를 추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업통계연보, European Space Agency (ESA)에서 구축한 산림 바이오매스 지도를 활용하였다. Landsat 위성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반도 산림손실 면적은 478,334 ha로 추정되었으며, 북한과 남한은 각각 48.6% (232,610 ha)와 51.3% (245,725 ha)의 총 손실 면적을 차지하여 지난 20년간 북한과 남한이 비슷한 면적의 산림이 손실된 것이 확인되었다. 모델 분석 결과 2000년의 우리나라와 북한 산림의 지상부 탄소저장량은 211.5, 277.1 Tg C으로 추정되었으며, 2020년에는 각각 357.9, 417.4 Tg C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우리 나라와 북한 산림의 단위면적당 평균 탄소저장량은 각각 34.8, 29.4 Mg C ha-1에서 58.9, 44.2 Mg C ha-1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산림이 북한의 산림보다 전반적인 생산성과 탄소흡수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ESA의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의 산림 바이오매스가 다소 낮게 추정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앞으로 보다 활발한 연구와 정보공유 등을 통해 국제사회 및 학문의 영역에서 우리나라 산림의 평가가 제고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한반도 전체 산림 탄소 및 자원의 추정에 행정구역 및 국가 단위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북한 산림환경복구 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