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Village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1초

경기도 마을숲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Village Forest in Gyeonggi-do)

  • 황동규;김동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99-111
    • /
    • 2015
  • 본 연구는 경기지역 마을숲의 위치, 형태, 환경, 식물상 등을 조사하고 변화과정을 바탕으로 경기도 마을숲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존하는 경기도 마을숲은 23개소이다. 경기도의 마을숲은 풍수적 배경을 가진 경우가 10개소로 가장 많았다. 특히 용인 및 이천의 남동지역에 다수의 마을숲이 남아있었다. 마을숲의 소유주체는 마을 9개소, 개인 8개소였다. 개인이 관리하고 있는 마을숲은 2개소였고 나머지는 마을에서 공동관리하고 있었다. 마을숲의 형태는 전체의 52.1%가 띠형이었으며, 풍수 및 재해방지를 위해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마을숲의 면적은 평균 $3,046m^2$로 비교적 작았다. 마을숲을 구성하고 있는 수종은 느티나무와 소나무가 가장 많았으며, 단순교목림과 교목-아교목림의 수직구조를 보이는 마을숲이 56.5%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수목 피해가 30%이상인 마을숲은 총 7개소였다. 피해 원인은 숲에 인접한 도로 건설, 토양 답압, 복토로 인한 고사 등이었으며 피해목의 활력도는 정상수목에 비해 활력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마을숲은 동제 존속 여부, 제도적 보호,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도로 건설, 토지이용 변화, 풍수해 및 산림 개발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숲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하여 숲의 과다한 이용을 제한하고 수목을 보호하며 토양 환경을 개선하여 숲의 생육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숲 주변지역의 개발을 제한하고 마을공동체 활동을 중심으로 숲의 원형을 유지 또는 복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마을숲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제도를 체계화하여 마을숲의 소실을 최소화해야 한다.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 연계를 위한 이용객의 선택속성 인식 연구 (A Study on Users' Recognition of Selection Attributes for Connection between Recreational Forest and Rural Tourism Village)

  • 이용학;조영은;강은지;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6-28
    • /
    • 2016
  •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 이용객의 여가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로 이용객의 이용행태를 파악하여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 당위성을 확인하고 여가목적지 선택을 위한 물리적 선택소성, 프로그램 선택속성, 서비스 선택속성의 인식차이와 중요도-만족도분석(IPA 분석)을 통해 연계방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휴양림은 가족단위의 이용객이 휴식 및 정서함양을 위해 방문하고 단순 산림공익적 기능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경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체험마을은 가족, 친구 및 동료, 단체 및 동호회 등이 연중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하고 지역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방문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다변화한 국민의 여가수요 충족을 위한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순 휴식이 주 방문목적이었던 자연휴양림 이용객에게 체험마을과 연계 시 긍정적인 방문의향이 나타났으며 체험프로그램 참여, 자녀교육, 안전한 숙박시설 확보 등 다양한 이용이 예측되었다. 즉,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는 실질적 수요와 이용객의 수준 높은 산림휴양활동을 야기하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경우 모든 선택속성에 대하여 중요도보다 사후 만족도가 낮았으므로 전반적인 개선 필요했다. 특히, 프로그램의 다양성, 유익성, 홍보, 지역성(테마성)의 개선과 숙박 및 편의시설의 공급, 예약시스템 및 지역특산물 구입 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 운영관리인의 전문성 확보가 필요했다. 반면, 체험마을의 프로그램 선택속성의 만족도는 높았으므로 체험마을 프로그램 속성이 자연휴양림 이용활성화를 위한 주요 연계대상임을 알았다. 넷째, IPA 분석에서 이용객의 높은 기대와 만족을 주는 숙박 및 편의시설과 인근 관광지와의 적절한 연계는 유지해야 할 속성이었고 소득창출이 주요 목적인 체험마을의 목적을 달성하고 방문객의 예약시스템 및 특산품 판매기회 만족 증진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요구됐다. 이 외에 자연휴양림 이용요금 체계의 유지, 체험마을 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지역성의 유지가 이용객의 여가목적지 선택유도를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고찰되었다.

마을숲 복원에 관한 연구 - 전북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능길 마을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Neunggil Village Forests in Jinan)

  • 박재철;김병섭;윤성호;박선미
    • 농촌계획
    • /
    • 제10권3호
    • /
    • pp.27-3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the restoration guidelines of supplementary village grove and villageside forest in case of Neunggil village in Jinan county of Korea. These forests were managed very well before industrialization by village residents in order to obtain fuels and organic fertilizers traditionally. But recently, these forests were abandoned by using natural gas, oil and chemical fertilizer. Therefore, species diversity of these forests was downward and traditional rural landscape was lost.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restoration guidelines of these forests through rest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For this, vegetation map was made by quadrat method. And management guidelines of these forests were suggested by the analysis of vegetation map. Also, for the restoration of supplementary village grove, Miyawiki professor's method of Yokohama university through introducing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was suggested.

한국과 중국의 마을비보숲 비교 - 한국(韓國) 진안(鎭安)과 중국(中國) 청주(靑州)를 사례로- (Comparison of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ced on Jinan in Korea and Qingzhou in China -)

  • 박재철;관단단;정경숙
    • 농촌계획
    • /
    • 제18권2호
    • /
    • pp.27-3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comparing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is, Jinan of Korea and Qingzhou of China were selected through the pre-survey about the representative region of both country. The main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study, field study and interview with local residents.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regions was performed by frequency analysis of surveyed data. Which shows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in two regions has so much in common and also has many differences which is related with the local practical life.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area and remained number, concentration degree of Jinan were greater than those of Cheongju. But it was identified that the linear form and location were similar in both regions. Through these identification, it is helpful to establish policy direction of both countries about the complementary forest.

Using Pattern, Depletion and Conservation Strategy of the Triphala Trees in the Village Groves of Chittagong Region of Bangladesh

  • Miah, Danesh Md.;Rashed, Md. Monjur;Muhammed, Nur;Koike, Masao;Sin, Man Y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32-538
    • /
    • 2006
  • Triphala is an important combination of three important forest fruits, i.e., Emblica officinalis, Terminalia chebula and Terminalia bellirica. Chittagong region in Bangladesh was once rich in triphala trees presently subject to the depletion. Thus, these forest resources are being threatened day by day. The study was conducted to learn the present using pattern of the triphala, causes of its depletion and the conservation strategies agreed by the villagers. Eight major uses of triphala trees were recognized. It was revealed that 100% respondents used the triphala as fruit tree followed by 71-78% as fuelwod. The present status of growing stock of triphala was found in depleted condition particularly in the Muslim dominated area. It was found that unawareness was the major cause for depleting the triphala trees agreed by the 87% respondents followed by depleting the village groves by 84%. Awareness creation (100%) and induction of social forestry program (92%) were found major recomendations by the vilagers to retard depleting the triphala tree species in the Chittagong region of Bangladesh.

강원도(江原道)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 프로그램의 방향(方向) 모색(摸索) (New Perspective of Forest Recreation Program in Gangwon-do)

  • 이용규;최정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28-39
    • /
    • 2004
  • 본 연구는 강원도 내 자연휴양림의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자연휴양림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2003년 현재 강원도는 19개소의 자연휴양림(국유림 11 개소, 공유림 4개소, 사유림 4개소)을 조성 운영하고 있으며, 현행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숲해설, 산악자전거, 산악 마라톤, 산악스키, 숲속 음악회, 숲교실 등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자연휴양림 프로그램의 새로운 방향을 위해서 문화 복지 교육 프로그램을 축으로 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문화 프로그램으로는 "전통가옥체험 프로그램", "오지체험 프로그램", "산촌 특산물 프로그램"을 구상하였으며, 복지 프로그램은 "노인복지프로그램"과 "장애인 복지 프로그램"을, 교육프로그램으로는 "숲속의 지구촌 교류" 프로그램 조성과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주 5일 근무제 도입으로 휴양수요가 대폭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관광 강원도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자연휴양림의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더욱 증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cological Functions and Losses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 Groves

  • Lee, D.-W.;Park, C.-R.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65-66
    • /
    • 2004
  • There have been groves, in many cases, along with hedgerows and remnant forests around a traditional Korean village. A village grove is very closely connected to the life of residents. Sometimes it was a holy place where important village festivals were held, and became a resting place for farmers, especially in sunny summer. As a matter of fact, it is noted that traditional Korean village groves had been fostered for many purpose as religion, Confucianism, scenery, sanitation, traffic guard, public security, agriculture, hunting, and military and public uses were included in Chosun Govemor General(1938). Village groves were usually located at the outlet of watershed inside which a village was built. In addition, village groves used to be established along part of mountain ranges, streams and streets. A unique type of village grove, called bibosoop was fostered especially where the outlet of watershed was largely opened. In other cases, it was placed where a part of mountain range was relatively low, or where village residents were likely to see ugly objects such as a huge cliff, stony upland with an unvegetated area and the like(Kim and Jang 1994). In a sense, a sheltebelt is a sort of bibosoop as it is a landscape element to complement places that are exposed to strong winds. However, it is comparable to other typical bibosoop that is situated at a topographically very specific zone of watershed. In this paper, we will address potential functions of Korean village groves from a perspective of modern landscape ecology and show current status of some remnants, based on preliminary surveys. A village grove functions as barrier or filter of objects such as water, nutrients, and other elements and habitat of wildlife (park et al. 2003, Lee 2004). The village grove slows down the flow of water and air, maintains soil moisture an hinders soil erosion, enabling cultivation of crops and bringing up creatures nearby. It contributes to enhancing biodiversity. Birds rest on shrubby and woody trees of the element. Presumably, other organisms may also inhabit the village groves and take advantage of it when those move from a forest patch to others. Emerging insects acclimate themselves in the shade of the green space before they fly to sunny air. Besides the village grove acts as a component of agroforestry system as leaf litter is shed from a grove to an asjacent agricultural area, and transformed into green manure(Lee 2004). By the way, many of the landscape elements were destroyed or declined in Koea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losses have been parallel or linked to environmental degradation. Unfortunately, we have a little reliable data as for how many groves have disappeared in Korea until now. There has been no complete census on the village groves in Korea, and the viewpoints of survey were to a degree different depending on surveyors. So,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village groves. Currently, national inventory data of Korean village groves are available in three reports. We reviewed the locations of village groves and arranged t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administrative units, DONG. With the limited data, we found that at least 484 of village groves were recorded in South Korea. Among all provinces, village groves were most in Gyeongsanbuk-Do Province and least in Chungcheongbuk-Do Province(Table 1). This is a preliminary report prepared while some quantitative data regarding functions and lossers of the village groves are being collected. More detailed data will be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 PDF

마을숲의 분포 위치와 지형적 공간특성 유형화 방안 - 경북 의성, 전북 진안 및 전남 함평지역을 대상으로 (Locations and Topographical Character of the MAEULSOOP in the Southwestern and the Eastern Region)

  • 권진오;오정학;이정연;박찬열;최명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85-93
    • /
    • 2008
  • 전통적으로 마을에 인접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되거나 관리 및 이용되어온 한국의 전통마을숲은 그 역사가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마을숲 조성의 배경은 흔히 주변의 언덕, 물길과 바람통로 등 마을주변 자연환경과 관련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착한 마을과 조성된 마을숲간의 위치관계를 지형적 유형으로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숲"이 "주체인 마을"의 생활환경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약 500개 이상의 문헌조사와 현장 확인을 통해 전남 북지역과 경북지역 40개 마을숲에 대해 항공사진, GIS에 의한 3차원분석 등을 통해 마을숲과 마을 주변의 지형적 관계를 유형화 하고 조성 의미를 고찰하였다. 지형적 특징에 따른 유형별 마을숲은 다양한 생태계 및 생활환경개선 효과를 마을에 제공할 것으로 추정되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위치적 특성이 마을 주민의 생활상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마을숲 조성의 효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A Comparative Evaluation of Integrated Farm Models with the Village Situation in the Forest-Garden Area of Kandy, Sri Lanka

  • Ibrahim, M.N.M.;Zemmeli,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53-59
    • /
    • 2000
  • Data from a village household dairy survey was compared with technical parameters of three model farms (0.2, 0.4 and 0.8 ha in extent) established by the Mid-country Livestock Development Centre (MLDC). In terms of land size, about 67% of the 250 dairy farmers interviewed corresponded with the MLDC models, but only 33% of the farmers were keeping dairy cattle under conditions comparable to the MLDC models (no regular off-farm income). In the 0.2 ha category, village farmers kept more cows, and in the other two categories the village farmers kept less cows than their MLDC model counterparts. In all three categories, the milk production per cow was higher in the model farms (1540 to 2137 vs. 1464 to 1508 litres/cow/year), and this could be attributed to higher feeding levels of concentrates in the model farms as compared to the village farmers (430 to 761 vs. 233 to 383 kg/cow/year). The amount of milk produced from fodder was higher in the village situation in comparison to the models. In the mid country, dairy production seems to depend on access to fodder resources rather than on the extent of land owned. Except in the 0.8 ha village category,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total income was made by the dairy component (44 to 60%). With 0.8 ha village farmers, the income contribution from dairy and crops was similar (41%). Income from other livestock was important for the 0.2 ha MLDC model, but for all other categories their contribution to total income ranged from 0 to 10%. Access to fodder resources outside own-farm land is vital for economic dairy production. As such, an in-depth analysis of feed resources available and their accessibility needs to be further investigated.

입지적(立地的) 특성(特性)을 고려(考慮)한 산촌지역(山村地域)의 유형분류(類型分類)에 관한 연구(硏究) (Classification of Mountain-Village Areas by the Site Characteristics)

  • 손철호;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1호
    • /
    • pp.46-55
    • /
    • 1997
  • 이 연구는 산촌지역이 갖는 다양한 특성 중에서 인문환경적인 측면과 자연환경적인 측면의 변수를 이용하여 산촌지역이 갖는 입지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그러한 특성에 기초해서 산촌지역의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산촌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1990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전국의 읍면지역중 900개 읍면지역을 대상으로 입지적 특성과 관련한 11개 변수를 선정하고 그 특성을 구분지역간에 비교 분석하여 산촌지역의 입지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들 11개 입지적인 변수를 이용하여 입지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전국 읍면지역의 입지유형구분 및 산촌지역의 입지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산촌지역은 인문환경적인 측면 즉, 사업체수, 일반가구수, 인구밀도 등이 다른 구분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낮은 반면에 자연환경적인 측면 즉, 임야율, 경지중 밭비율, 중심도시까지의 거리, 농가율, 자연부락평균해발고 등에서는 다른 구분지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자분석에 의하여 입지적 특성 변수에서 산업경제발달성, 산간성, 접근성의 대표인자를 추출하였고, 추출한 인자를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촌지역의 입지유형은 크게 5개 유형으로 대별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