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Mountain-Village Areas by the Site Characteristics

입지적(立地的) 특성(特性)을 고려(考慮)한 산촌지역(山村地域)의 유형분류(類型分類)에 관한 연구(硏究)

  • Shon, Cheol Ho (University of Washington, College of Forest Resources) ;
  • Youn, Yeo-Cha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1996.11.20
  • Published : 1997.03.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categorize the types of mountain-village areas in terms of some key variables representing the socio-economic and natur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olicy formation of mountain areas. Cross-sectional data of the year 1990 for 900 sub-counties were collecte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mountain-village areas. Eleven variables were selected to classify the types of sub-county leve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mountain-village areas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corporations, number of non-farming households, and population density of mountain-village areas were found to be inferior to other parts of the nation while the proportion of forest land, share of non-paddy crop fields, distance from cities, percentage of farming households, and elevation from the sea-level were higher to the other areas. By the principal factor analysis, the key variables representing industrial development, mountain-ousness, and accessibility from near cities were selected. By a cluster analysis employing the selected variables, 5 different types of mountain-village areas were categorized.

이 연구는 산촌지역이 갖는 다양한 특성 중에서 인문환경적인 측면과 자연환경적인 측면의 변수를 이용하여 산촌지역이 갖는 입지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그러한 특성에 기초해서 산촌지역의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산촌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1990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전국의 읍면지역중 900개 읍면지역을 대상으로 입지적 특성과 관련한 11개 변수를 선정하고 그 특성을 구분지역간에 비교 분석하여 산촌지역의 입지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들 11개 입지적인 변수를 이용하여 입지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전국 읍면지역의 입지유형구분 및 산촌지역의 입지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산촌지역은 인문환경적인 측면 즉, 사업체수, 일반가구수, 인구밀도 등이 다른 구분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낮은 반면에 자연환경적인 측면 즉, 임야율, 경지중 밭비율, 중심도시까지의 거리, 농가율, 자연부락평균해발고 등에서는 다른 구분지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자분석에 의하여 입지적 특성 변수에서 산업경제발달성, 산간성, 접근성의 대표인자를 추출하였고, 추출한 인자를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촌지역의 입지유형은 크게 5개 유형으로 대별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