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Land Management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31초

GIS 기반 산지이용구분도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IS-based Method of Building Digital Forest Land-Use Map)

  • 박영규;권순덕;송철철;권대순;이종학;김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6-57
    • /
    • 2006
  • 연구에서는 2007년 고시예정인 산지이용구분도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하여 GIS에 기반한 산지이용구분도 작성방법을 수립하였다. 산지이용구분도 작성절차는 임지추출 및 보완, 법정용도지역 구분, 기타 보전 및 준보전산지 구분, 지적기반 수치산지이용구분도 작성, 산지이용구분도(안) 편집 및 출력, 검수 및 보완 등 6단계로 구성하였다. 수립된 작성절차를 적용하여 경기도 화성시 지역을 대상으로 축척 1:25,000 14도엽 및 1:5,000 173도엽의 산지이용구분도와 산지이용구분대장을 작성하였다.

  • PDF

Comparing Organic Carbon Storage of Upper 15-cm Soils between Different Land Use Types in Korean Inland

  • Han, Kyung-Hwa;Cho, Hee-Rae;Lee, Jeong-Tae;Lee, Gye-Jun;Hong, Suk-Young;Zhang, Yong-S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314-1319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rface soil organic carbon fractions affecting by different land use types, including needle-leaf forest (FN), broad-leaf forest (FB), pasture, annual upland cropping land (upland), and paddy rice land (paddy). We chose seven regions across Korean inland, considering sea level altitude, and measured soil organic carbon conte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bulk density at a depth of 0~15 cm using core samples in April for the each land use type. In addition, labile organic carbon fractions in soil including light fraction and hot water extractable carbon were investigated. From this study, organic carbon storage (Mg C per ha) in the upper 15-cm soils was highest in FB (37.8), and decreased in the order of pasture (29.1), FN (28.8), paddy (21.9), and upland crop (19.9). In forest, more than 20% of soil organic carbon existed as light fraction, the free organic matter. Hot-water extractable carbon contents of soils in five land use types were lower than 7% of their soil organic carbon content.

다목적(多目的) 산지이용(山地利用)을 위한 수리계획법(數理計劃法)의 비교(比較) (Mathematical Programming Approach for the Multiple Forest Land Use -Comparison between STEM and Constraint Method-)

  • 유병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4호
    • /
    • pp.361-369
    • /
    • 1987
  • 다목적(多目的) 산지이용(山地利用)은 산지이용(山地利用)의 효율성(效率性)을 제고(提高)하기 위한 경제학(經濟學)의 한 응용분야로서, 외국(外國)에서 임업경영(林業經營)에 널리 사용(使用)하는 기법(技法)이다. 본고(本稿)에서는 다목적(多目的) 경영(經營)을 위해 사용(使用)되는 수리계획법(數理計劃法)의 일종인 STEM과 제약조건법(制約條件法)을 임업분야(林業分野)에 도입 적용하여 가상자료에 의거 이들 방법간(方法間)의 장(長) 단점(短點)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 PDF

우리나라 37개 땅밀림지의 지질 및 토양 특성 (Topography and Soil Characteristics Related to Land Creep in 37 Areas in South Korea)

  • 박재현;서정일;마호섭;김동엽;강민정;김기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540-551
    • /
    • 2019
  •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전국 37개소의 땅밀림지의 지질 및 토양특성을 분석하여 땅밀림지에 대한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땅밀림지의 지질 시대는 백악기가 가장 많았으며, 경상누층군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주된 구성암석은 퇴적암이 가장 많았다. 또한 땅밀림지 중 활락애가 명확하게 구분된 지역은 20개소(약 54.0%), 활락애가 모호하고 인장균열(균열)이 발생한 지역은 17개소(약 46.0%)이었다. 땅밀림지의 발생 형태(붕괴면의 형상)는 주저형 붕괴면이 20개소(약 54.0%)로 가장 많았다. 땅밀림 발생유형은 붕적토 땅밀림지가 25개소(약 68.0%)로 가장 많았다. 땅밀림의 직접적인 원인은 지질적인 원인에 더해 산각절취, 토석 및 토사채취, 산지개간 및 절취, 광산개발, 묘지조성 등 인위적인 개발사업에 근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37개소의 땅밀림지 중 인위적인 원인에 의한 땅밀림지는 27개소(약 73.0%)이었으며, 지진, 집중호우, 하천포락 등 자연적인 원인은 10개소(약 27.0%)이었다.

기본지표와 대안지표를 활용한 토지적성등급 비교분석 - 충청북도 증평군을 대상으로 (Comparative Analyses of Land Appropriateness Degrees Based on the Basic and Alternative Indicators : Focused on Forest Areas Surrounding Management Zones in Chungcheongbuk-Do Jeungpyeong Counties)

  • 이진항;김광주;이명범;이만형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3-93
    • /
    • 2013
  •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라 토지적성평가시 토지의 적성을 비교적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기존지침의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본지표가 지역의 다양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역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이 필요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토지적성평가의 한계를 타개하기 토지적성평가시 새로운 지표로평가지표를 대체하였을 때 변화되는 적성등급까지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이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하고,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른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의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확인하였다. 토지적성평가에 지역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대체지표를 추가 하거나, 좀 더 효과적인 대체지표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하기 보다는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라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였을 때,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의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Assessment of REDD+ Suitable Area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in Paraguay

  • Park, Jeongmook;Lee, Yongkyu;Lim, Byeongmin;Lee, Jungs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187-198
    • /
    • 2020
  • This study extracted deforestation area and degraded forestland area, which are potential REDD+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project candidate areas in Paraguay using Land Cover Map (LCM) and Tree Cover Map (TCM). The REDD+ project objectives scenarios were set three stages: 'afforestation and economic efficiency scenario', 'local capacity reinforcement scenario', and 'Infrastructure-oriented scenario'. And then, we evaluated the project unit suitable area of the REDD+ project. All scenarios selected the evaluation factors for each scenario in addition to the area ratio factors for deforestation area and degraded forestland area and weighted values were extracted by assigning category scores. As a result of the three scenarios comparison analysis, Concepcion state score was the highest. Within Concepcion state, the Belon district had the highest score, making it appropriate as a project unit REDD+ project candidate area in Paraguay, while the San Carlos district had the lowest sc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electing REDD+ project candidate area in Paraguay,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sufficiently to REDD+ project if additional data or information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sectors are secured.

개발가능지의 분포면적(分布面積) (Area of Potential Arable Land Distributed on Hill side)

  • 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5-245
    • /
    • 1979
  • The land utilization of Korea composed about 22.7% of arable land, 66.9% of forest land and 10.4% for the rest like a house site, road, and lake etc. The ratio of arable land is too small as compared with forest land which is occuping two-thirds of Korea. The expansion of arable land by the reclamation will solve the food problems for increasing populations. First, we have to know the exact extents and distribution of reclaimable land but the reported total extent of reclaimable land in Korea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uthority which carried out the soil survey. The different reported data of reclaimable land is owing to the method and criteria of soil survey. 840,522ha in Land Capability Survey of the Farm Land Improvement Association and 321,203ha in the Forest Land Survey by the Office of Forest was reported but the Office of Rural Development said that total reclaimable land was 1,400,540ha including grazing and fruit land. To assume the extent of reclaimable land, the soil survey method and criteria of soil survey should be considere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main reasons of less in extent of reclaimable land in the other authorities than the Office of Rural Development is due to the following. The grazing land and the fruits land are not included by the Farm Land Improvement Association and only relative forest is considered by the Office of Forest. The main purpose of soil survey carried out by the Office of Rural Development is to utilize land of Korea at most.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productivity are considered in soil survey and the reported data was based on reconnaissance soil survey. The more accurate data will be find out by the end of 1979 when the detailed soil survey will be done. In selection of cropping system and management, the soil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the soil characteristics of reslaimed land is less fertile than the arable lands.

  • PDF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 (Study on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using GIS - Chunyang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

  • 권순덕;박영규;김은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0-21
    • /
    • 2008
  •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된 GIS 기반 산림기능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국유림 산림경영계획을 위한 임 소반단위 산림기능구분도 작성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림기능구분방법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rid 단위 기능별 잠재력을 평가한 후 소반단위 기능 잠재력의 최대값을 찾아 기능평가도를 작성하고 기능우선순위에 따라 산림기능구분도를 작성하였다. 산림경영계획 수립에 필요한 최종 산림기능구분도는 우선적으로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의 법정림을 구분하고 다음으로 지방 산림청 자체기준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나머지 산림은 산림경영계획 담당자가 우선순위 산림기능구분도를 참고하여 구분한 결과들을 중첩하여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산림기능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한 Grid 단위의 기능별 잠재력평가를 통해 임 소반단위로 산림기능을 평가함으로서 국유림 산림경영계획 수립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산림경영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과 지방산림청 자체기준에 따라 기능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국유림 산림경영계획작성에 필요한 산림기능구분도를 보다 손쉽게 작성할 수 있었다.

  • PDF

산림생태계 관리: 개념, 원칙 및 적용방법을 중심으로 (Forest Ecosystem Management: Concept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 손요환;김진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3호
    • /
    • pp.201-216
    • /
    • 1997
  • Forest managers are increasingly being challenged to produce goods and services to society while managing for ecosystem sustainability. Forest ecosystem management is an emerging philosophy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e synthesized some basic concepts of forest ecosystem, sustainability in forests and forest ecosystem management, and described the importances of long-term ecological studies. Also we presented few relatively simple principles of forest ecosystem management, strategies, and case studies for integrating forest ecosystem management principles into the forest management planning process. It was emphasizd that in forest ecosystem management process, society, land managers, forest managers, and scientists be entered into a partnership to reshape management goals, redefine objectives, and redirect management actions in response to changing socioeconomic information and evolving bioogical, physical, chem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greement or disagreement with our synthesis and opinions on forest ecosystem management is out of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which is to stimulate new and creative approaches to forest ecosystem management as an emerging issue in forestry.

  • PDF

무인기를 활용한 산지 땅밀림 피해지점 탐지 및 모니터링 방안 연구 (A Study on Detection and Monitoring in land creeping area by Using the UAV)

  • 서준표;우충식;이창우;김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81-487
    • /
    • 2018
  • 땅밀림 피해지에서 피해지점 및 균열 탐지, 피해규모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무인기를 활용한 피해지 탐지 및 모니터링 방안에 대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땅밀림 피해지에서 무인기를 촬영하고 분석한 결과, 정사영상을 구축하면 피해지의 균열 탐지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조사 전에 조사자 안전을 확보하고, 조사계획 수립에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정사영상에서 지형정보를 추출하면 땅밀림 피해지 균열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범적으로 적용한 대상지에서는 전체 균열 면적 1.01ha, 길이 1.07km, 평균 폭 10m, 단차범위 1~10m로 땅밀림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땅밀림 피해지에서는 정기적인 무인기 촬영을 통하여 지형변위를 탐지하고 피해 확산 방향, 규모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구계획 수립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무인기를 이용하여 땅밀림 피해지에 시험 적용한 결과, 지형이 험준하고 위험한 산지에서 빠르고 쉽게 정성적 정량적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산사태, 토석류, 땅밀림과 같은 산지토사재해 현장에서 무인기 활용가치가 높기 때문에 관련 산업분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