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rest Functions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초

사유림의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기능유형 및 우선순위 분석 (Analyzing the Type and Priority Order of Forest Functions for Private Forests)

  • 박영규;노혜정;전준헌;김형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51-59
    • /
    • 2010
  • 이 연구는 사유림 기능평가에 적합한 산림기능 유형 및 기능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가그룹과 시군산림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안한 산림기능유형의 적정성과 산림기능의 우선순위를 평가하였다. 현행 산림기능유형에 대한 기능명칭 변경, 통합의 필요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4개의 산림기능(자원순환, 수자원함양, 생활환경보전, 산림보전) 구분체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림기능 우선순위는 집단간, 권역별 우선순위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전국 사유림 기능평가시 국 공유림처럼 획일적으로 기능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보다는 권역단위로 기능 우선순위를 상이하게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녹지기능도의 도입 방향 (Directions for Forest Functions Mapping in Korea)

  • 변무섭;최만봉;김계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1-114
    • /
    • 2001
  • This study analyzed and examined literature and legislation in Korean and other countries to examine the concept and sense of mapping of forest functions that would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efficient applic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ecosystems. The mapping of forest functions in Germany has been utilized to field data for efficient work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 and evaluation of forest environmental ecology by the mapping of forest functions has been applied directly or indirectly in country management plans, conservation of nature and landscape management plans. Forest protection areas in Korea were analysed for creating a map of forest functions. As the results, forest functions could be sorted into five categories, such as conservation area of forest production, prevention of disasters, landscape and abiological natural resource, valuable biotope and ecosystem and civil recreation. The mapping method was applied to these 5 categories important conservation targets. It is considered that mapping of forest functions in Korea can be used for systematic forest works and efficient ecosystem utiliz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it use basic data fo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on forest and green tract of land on the level of countr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 PDF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 (Study on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using GIS - Chunyang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

  • 권순덕;박영규;김은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0-21
    • /
    • 2008
  •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된 GIS 기반 산림기능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국유림 산림경영계획을 위한 임 소반단위 산림기능구분도 작성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림기능구분방법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rid 단위 기능별 잠재력을 평가한 후 소반단위 기능 잠재력의 최대값을 찾아 기능평가도를 작성하고 기능우선순위에 따라 산림기능구분도를 작성하였다. 산림경영계획 수립에 필요한 최종 산림기능구분도는 우선적으로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의 법정림을 구분하고 다음으로 지방 산림청 자체기준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나머지 산림은 산림경영계획 담당자가 우선순위 산림기능구분도를 참고하여 구분한 결과들을 중첩하여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산림기능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한 Grid 단위의 기능별 잠재력평가를 통해 임 소반단위로 산림기능을 평가함으로서 국유림 산림경영계획 수립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산림경영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과 지방산림청 자체기준에 따라 기능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국유림 산림경영계획작성에 필요한 산림기능구분도를 보다 손쉽게 작성할 수 있었다.

  • PDF

경상남도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Evaluating Forest Functions by Watershed Unit: Gyeongsangnam-do)

  • 김형호;박영규;노혜정;전준헌;황진영;강현득;박준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3-173
    • /
    • 2011
  •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사례연구로 경상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국 공 사 유림 기능평가의 통합방안, GIS 자료의 문제점 및 구축방안을 검토하였으며, 경상남도의 산림기능의 분포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산림기능평가의 통합방안으로 평가단위를 유역단위로 일원화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유역구분도 상에서 나타나는 몇몇 오류의 형태 및 이를 수정하기 위한 GIS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림기능평가에 이용되는 GIS 자료 중 갱신이 필요한 제재소위치도, 고속도로 나들목 위치도, 인구분포도를 전국단위로 구축하였다. 유역단위로 경상남도 20개 시 군을 대상으로 산림기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목재생산기능, 산림휴양기능은 잠재력 '고' 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기능에 있어서 잠재력 '저' 가 낮게 나타났다. 각 시 군별 우선순위를 적용한 산림기능도에서는 산림휴양기능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목재생산, 자연환경보전, 수자원함양, 생활환경보전, 산지재해방지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면적을 대상으로 수행된 사례분석 결과는 전국단위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 응용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GIS Application Model for Evaluating Forest Functions)

  • 김형호;정세경;정주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1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의사결정지원도구로서의 GIS 응용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여기서 산림기능평가는 산림이 지니고 있는 기능별 잠재력을 평가하거나 산림에 대해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대상 산림기능은 목재생산 수자원 함양 산지재해방지 산림휴양 생활환경보전 자연환경보전기능이며, 이러한 산림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GIS 응용모델은 개별 산림기능의 잠재력 평가와 기능별 우선순위 설정에 따른 산림기능의 구분이 가능한 모델로 다양한 분석환경을 고려하여 적용성 검토를 하였다.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인자들은 이미 전국 단위로 수치도면화된 지형도 임상도 입지도 산림이용기본도와 기타 자체구축한 제재소위치도 고속도로 IC위치도 전국인구분포도의 공간자료, 그리고 인구 및 강수량의 속성자료 이용을 통해 도출되었다. 개발된 GIS 응용모델을 이용하여 산림기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도엽 및 영림구 단위 대상지 모두 평가체계에 따라 효율적인 산림기능평가가 이루어졌다.

  • PDF

공유림 분포패턴을 고려한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 (Evaluation of Forest Function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ommunal Forests at the Watershed Level)

  • 권순덕;장광민;설아라;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71-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공유림의 기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평가단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능평가 단위로써 대유역, 중유역 그리고 소유역 단위의 평가방법을 고려하였다. 공유림의 경우 소유주체가 일원화 되지 않고 각 시 군의 행정권이 분산화 되어있으며, 산림의 규모가 영세한 특징이 있어 지번 단위의 평가방법은 공유림의 기능평가 단위로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공유림 기능평가에 적합한 평가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집수량 기준에 따라 소 중 대유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산림기능평가를 수행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각 평가단위에 따른 기능평가 결과에서는 유역단위 기능 구분 시 공유림의 소규모 산지들을 일정 규모 이상의 산지로 집단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각 평단단위 별로는 소유역 단위에서 중 대유역 단위로 갈수록 산림의 기능이 지나치게 단순화 되는 경향이 나타나 소유역 단위의 기능구분이 공유림의 산림기능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리산 선도산림경영단지의 경제적·공익적 기능 증진을 위한 산림관리 최적화 방안 (Optimal Forest Management for Improving Economic and Public Functions in Mt.Gari Leading Forest Management Zone)

  • 김다영;한희;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65-677
    • /
    • 2021
  • 본 연구는 홍천 가리산 선도산림경영단지의 경제적·공익적 기능을 증진하기 위한 산림관리 최적화 방안과 목재생산·탄소저장·수원함양 가치 사이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목적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산림경영계획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목재생산·탄소저장·수원함양의 가중치별 순현재가치의 합을 최대화하는 목적함수와 분기별 목재생산량의 변화율, 영급별·수종별 면적 비율, 경영구역별 침엽수·활엽수 면적 비율, 최소 목재생산량 및 목재판매액을 제약하는 조건식을 갖는다. 대상지의 산림조사부 및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현재 임분 정보와 경영제약요인을 분석하고, 목적함수의 기능별 가중치를 달리하여 경영대안을 구성하였다. 경영대안에 따라 최적해들을 비교한 결과, 목재생산·탄소저장·수원함양의 순현재가치 합은 한 가지 기능만 선택하여 최대화하는 대안보다 세 가지 기능을 동일한 비율로 고려하여 종합적 가치를 최대화하는 경영대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세 가지 기능이 동시에 작용할 때 목재생산 기능은 탄소저장 및 수원함양과 상쇄작용을 하였고, 탄소저장과 수원함양은 서로 상승작용을 하였다. 반면 세 가지 기능 중 두 가지만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모든 기능 조합에서 서로 상쇄작용을 하였다. 따라서 한두 가지 기능보다는 세 가지 기능을 모두 고르게 고려하는 것이 가리산 선도산림경영단지의 가치를 최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평가 (GIS Application for Evaluating Forest Recreation Functions)

  • 한수진;이우균;곽두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19
    • /
    • 2006
  • 기존의 산림휴양기능구분에서는 모든 산림을 동일한 인자들로 평가함에 따라 각 산림형태에 따른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평가인자를 적용하여 휴양기능을 평가하는데 있다. 산림을 이용자 중심형과 자원 중심형으로 구분하고, 대구광역시와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림휴양기능을 평가하였다. 평가인자별 카테고리 점수를 부여하고 등급화(고, 중, 저)하여 평가한 결과, 각 산림자원의 형태에 따라 도로분기점과 같은 접근성 인자와 유발성 인자를 적용하여 기능구분 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과 일본의 보안림 비교를 통한 관리 방향 (Management Direction about Comparison of Protection Forest on Korea and Japan)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7-75
    • /
    • 2006
  • This study compared with the object of designation and the management practices for Protection Forests between Korea and Japan to establish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Korea's Protection Forest. 1. Water conservation forest from total areas of Protection Forests occupied 90.6 % in Korea and 68.4 % in Japan, respectively. The water conservation forest wa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among the Protection Forest's functions in both countries. 2. The 10 million ha of Protection Forest in Japan increased for last 100 years. The 100 thousand ha per year was designated as Protection Forest. In contrast, The 655,535 ha of Protection Forest in Korea decreased for last 42 years with decreasing of 15,000 ha per year. 3. In Japan, Protection Forest can be managed by forest silvicultural practices such as forest harvest, thinning, and pruning to recover and improve the Protection Forest's functions. 4. In case of Korea, it is necessary to a mid- or long-term counter plan to increase the area of Protection Forest by the government, and needs to the recovery and improvement of Protection Forest's functions.

Crown Ratio Models for Tectona grandis (Linn. f) Stands in Osho Forest Reserve, Oyo State, Nigeria

  • Popoola, F.S.;Adesoye, P.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63-67
    • /
    • 2012
  • Crown ratio is the ratio of live crown length to tree height. It is often used as an important predictor variable for tree growth equation. It indicates tree vigor and is a useful parameter in forest health assessment.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crown ratio prediction models for Tectona grandis. Based on the data set from the temporary sample plots, several non linear equations including logistics, Chapman Richard and exponential functions were tested. These functions were evaluated in terms of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 (SEE). The significance of the estimated parameters was also verified. Plot of residuals against estimated crown ratios were observed. Although the logistic model had the highest $R^2$ and the least SEE, Chapman-Richard and Exponential functions were observed to be more consistent in their predictive ability; and were therefore recommended for predicting crown ratio in the st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