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Forest Function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ommunal Forests at the Watershed Level

공유림 분포패턴을 고려한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

  • 권순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평가과) ;
  • 장광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평가과) ;
  • 설아라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 정주상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7.12.26
  • Accepted : 2008.03.05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 land units of communal forests for evaluating forest functions using GIS. As the candidates of the effective land units, we chosen the administrative units of parcels and 3 different scales of watersheds; small, medium and large. However, the administrative units of parcels were discarded because of the extreme complexity of ownerships and the highly petty scales of parcels. Instead, the 3 different levels of watershed units were applied to evaluating forest func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resultant functional maps were compared each other in terms of the appropriateness or adequacy for field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ggregated area by watersheds provides the appropriate scales of land area for forest functions and the small watershed is the most adequate one as the effective land units for forest functions in communal forests.

본 연구에서는 공유림의 기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평가단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능평가 단위로써 대유역, 중유역 그리고 소유역 단위의 평가방법을 고려하였다. 공유림의 경우 소유주체가 일원화 되지 않고 각 시 군의 행정권이 분산화 되어있으며, 산림의 규모가 영세한 특징이 있어 지번 단위의 평가방법은 공유림의 기능평가 단위로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공유림 기능평가에 적합한 평가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집수량 기준에 따라 소 중 대유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산림기능평가를 수행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각 평가단위에 따른 기능평가 결과에서는 유역단위 기능 구분 시 공유림의 소규모 산지들을 일정 규모 이상의 산지로 집단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각 평단단위 별로는 소유역 단위에서 중 대유역 단위로 갈수록 산림의 기능이 지나치게 단순화 되는 경향이 나타나 소유역 단위의 기능구분이 공유림의 산림기능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Fuhrer, E. 2000. Forest functions, ecosystem stability and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32 (2000): 29-38 https://doi.org/10.1016/S0378-1127(00)00377-7
  2. Richard, D. 2001. FLESA_Tools Arcview Software Extension User Guide. North Country and Southern New Hampshire Resourc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Area Councils. pp. 1-21
  3. 김형호, 정세경, 정주상. 2006.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 응용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 1-11
  4. 김형호, 정주상, 김종호. 2003. 산림기능유형 잠재력 평가를 위한 주요 산림입지환경인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2(4): 333-339
  5. 박영규, 김형호, 김종호, 전준헌, 성규철, 권순덕, 정세경, 정주상. 2005. 공간분석모델링을 이용한 산림기능 유형별 잠재력 평가. 산림과학논문집. 68: 23-33
  6.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8조
  7. 산림청. 1998. 제 4차 산림기본계획. p.45
  8. 산림청. 2006. 주요업무 세부추진계획. p.19-21
  9. 이경학. 1995. 산림기능잠재력 및 분류시스템, 산림과학논문집 52: 124-137
  10. 이진규, 김종호, 서옥화. 1989. 산림기능 분류 및 평가방법 연구. 임업연구사사업보고서. p.21-54
  11. 정주상, 김의경, 이헌호, 신원섭. 1999.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연구. 산림청 p. 344
  12. 차재민. 2000.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평가 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3. 최지용. 2004. 중소 유역계획 수립을 통한 통합수자원 관리. 한국수자원학회지. 37(3): 21-28
  14. 한수진, 이우균, 곽두안. 2006.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 기능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 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