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Area Map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28초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분포 변화 예측 (Predicting the Changes of Yearly Productive Area Distribution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 고성윤;성주한;천정화;이영근;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2-82
    • /
    • 2014
  • 본 연구는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사용하여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5~7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2~0.46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추정식은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연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기상과 지형자료를 통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기법 개발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Developing Forecast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Area by Integrat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nd Topographical Data -A Case Study of Uljin Area-)

  • 조명희;조윤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
    • /
    • 2009
  • 최근 대규모 산사태, 산불등과 같은 산림재해로 인한 산림환경 훼손은 산림 농가 피해뿐만 아니라 산림생태계에도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매우 민감한 환경문제로서 국민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여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형 GIS 자료와 위성영상자료에 기반을 둔 주제도뿐만 아니라 산사태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강우량 자료를 고려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지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지형자료와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고 GIS 중첩분석을 통하여 평가기준을 검토 한 후 산사태 발생가능 위험지역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아울러 고해상 위성영상 자료에서 획득한 산사태 피해 지역과의 가시적 비교를 통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지 예측 방법 기술을 확보 하였다.

  • PDF

Vegetation Management Units and Its Landscape Structures of Mt. Cheolma, in Incheon City, Korea

  • Cho, Hyun-Je;Cho, Je-Hyung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71-77
    • /
    • 2002
  •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of the isolated forestlands in Incheon city located in the western tip of South Korea,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eolma was classified phytosciologically and mapped out its spatial distribution at a scale of 1:5,000.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number and size of patches obtained by analyzing vegetation map. Units to manage the forest vegetation were categorized into eighteen communities, seventeen groups, and sixteen subgroups. Landscape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secondary vegetation, introduced vegetation for forestry (IVF), introduced vegetation for agriculture (IVA), and other elements. Two hundred and ninety-three forest landscape patches covers 443.3ha of which IVF accounted for 316.8ha(71.5%), the largest portion, secondary vegetation for f01.2ha(22.8%), IVA for 6.2ha(1.4%), and others for 19.1ha(4.3%). The ratio of natural forest elements of 31.9% showed that this area was mainly comprised of artificially introduced vegetation, such as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and Pinus rigida plantation. Forest landscape patches have a mean area of 4.5ha, a density of 66.1/100ha, and a diversity index of 0.87. It was estimated that differentiation of patches recognized in community level would be related to human interference and those in subordinate level to natural processes.

  • PDF

Vegetation Management Units and Its Landscape Structures of Mt. Cheolma, in Incheon City, Korea

  • Cho, Hyun-Je;Cho, Je-Hyu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05-211
    • /
    • 2002
  •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of the isolated forestlands in Incheon city located in the western tip of South Korea,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eolma was classified phytosciologically and mapped out its spatial distribution at a scale of 1:5,000.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number and size of patches obtained by analy zing vegetation map. Units to manage the forest vegetation were categorized into eighteen communities, seventeen groups, and sixteen subgroups. Landscape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secondary vegetation, introduced vegetation for forestry (IVF), introduced vegetation for agriculture (IVA), and other elements. Two hundred and ninety-three forest landscape patches covers 443.3ha, of which IVF accounted for 316.8ha(71.5$\%$), the largest portion, secondary vegetation for 101.2ha(22.8$\%$), IVA for 6.2ha(1.4$\%$), and others for 19.1ha(4.3$\%$). The ratio of natural forest elements of 31.9$\%$ showed that this area was mainly comprised of artificially introduced vegetation, such as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and Pinus rigida plantation. Forest landscape patches have a mean area of 4.5ha, a density of 66.1/100ha, and a diversity index of 0.87. It was estimated that differentiation of patches recognized in community level would be related to human interference and those in subordinate level to natural processes.

Assessment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Forest Fire

  • Yu, Xinfang;Zhuang, Dafang;Hou, Xiy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328-330
    • /
    • 2003
  • The land cover of burned area has changed dramatically since Daxinganling forest fire in Northeastern China during May 6 ? June 4, 1987. This research focused on determining the burn severity and assessment of forest recovery. Burned sever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from June 1987 Landsat TM data acquired just after the fire. A reg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between the forest canopy closure from 1999 forest stand map and the NDVI values from June 2000 Landsat ETM+ data. The map of canopy closure was got according to the regression model. And vegetation cover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forest closure density. The change matrix was built using the classified map of burn severity and vegetation recovery. Then the change conversions of every forest type were analyz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indicate: forest recovery status is well in most of burned scars; and vegetation change detection can be accomplished using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 PDF

가야산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roest Begetation of Mt. Kaya)

  • Lee, Ho-Joon;Byun, Doo-Weon;Kim, Won-Sik;Lee, Hae-Seok;Kim, Chang-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3호
    • /
    • pp.287-303
    • /
    • 1993
  •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forest vegetation of Mt. Kaya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988 to September 1992.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rea was classified into 3 communities (Quercus monogolica community,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3 subunits (Rhododendron mucronulatum subunit, Platycarya strobilacea subunit, typical subunit of Pinusdensiflora community).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located at the lower altitudes (100~300m) than those of other communities. The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was located at the upper altitude (500m). Most of the inverstigated area were occupied by the secondary forest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actual vegetation map and the profile diagram, suggesting that it was frequently destroyed by human interference

  • PDF

Analysis for Forest Fire Damage Severity Map in Cheongyang

  • Jung Tae-Woong;Yoon Bo-Yeol;Yoo Jae-Wook;Kim Choe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537-540
    • /
    • 2004
  • Space-borne multi-sensor data could provide fire scar and bum severity mapping. This paper will present detail mapping of burnt areas in Cheongyange Yesan of Korea with ETM+ image. Burn severity map based on ETM+ image was found to be affected by strong topographic illumination effects in mountainous forest area. Topographic effect is a factor which causes errors in classification of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 like IKONOS image. Minnaert constants J( in each band of ETM+ image is derived for reduction of mountainous terrain effects. Finally, this paper computes quantit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mage by each forest types.

  • PDF

Spatial Modeling of Erosion Prone Areas Using GIS -Focused on the Moyar Sub-Watershed of Western Ghats, India-

  • Malini, Ponnusamy;Park, Ki-Youn;Yoo, Hwan-Hee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9-64
    • /
    • 2008
  • 토양침식은 산악지역에서 산림조성에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며 비옥한 토양을 침식시켜 식생의 성장을 저해시키며 인도에서 수집한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인도의 서부산맥 모야유역의 토양침식을 분석하였다. 주제도의 레이어로 산림, 지형경사, 배수 등에 대한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토양침식 지도분석에서 48%의 지역이 중간정도의 침식을 보였다. 또한 35%지역은 높은 침식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침식은 식생지역의 7%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토양침식 분석도는 유역에서의 토양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데 주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오대산국립공원 삼림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Odaesan National Park, Korea)

  • 김창환;오장근;이남숙;최영은;송명준
    • 생태와환경
    • /
    • 제48권1호
    • /
    • pp.61-67
    • /
    • 2015
  • 본 연구의 결과 식생조사용 DB 구축 결과와 식생조사 결과를 반영한 식생도 구축 결과는 활엽수림이 71.965%, 71.184%로 거의 같았으며, 침엽수림(16.010%, 15.747%), 혼효림(10.619%, 12.085%), 암벽식생(0.015%, 0.002%) 분포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식생조사 결과가 반영된 정밀식생도 중 식생 상관대분류에서 나타난 식생유형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이 전체의 60.096%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넓은 분포역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산지침엽수림 (16.332%), 산지습성림 (15.887%), 식재림 (3.558%) 순으로 분포비율이 높았다. 국립공원내에서 평가된 식생보전등급은 I등급과 II등급 지역이 각각 61.80%, 33.55%로써 전체 면적의 95.35%로써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에 속하는 높은 식생보전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극상림, 특이식생, 아고산대식생 등 I등급 지역의 분포비율이 높은 것은 다양한 기질특성, 높은 고도, 낮은 인위적 교란의 정도, 산의 정상부 능선지역에 형성된 아고산대식생과 기후적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식생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LiDAR 자료 및 SPOT-4 위성영상을 활용한 산불피해 분석 (Analysis of Forest Fire Damage Using LiDAR Data and SPOT-4 Satellite Images)

  • 송영선;손홍규;이석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D호
    • /
    • pp.527-53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5년 4월 강원도지역의 대규모 산불로 인해 발생한 산림피해면적과 그에 따른 피해액 산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확한 산림피해액의 산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피해지역의 분류, 수고 의 결정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SPOT-4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산불피해가 발생한 지역의 면적을 계산하고, 항공 및 지상 LiDAR 자료를 활용하여 수고모델을 생성하였다. 수고모델로부터 나무의 높이값을 결정하고, 임상도로부터 피해지역내 수종, 밀도를 추출함으로서 임분재적을 계산하였으며, 2005년 4월 고시된 입목가격을 기준으로 산림피해액을 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