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tprint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4초

사과의 지역별 물발자국 비교와 물 리스크 대응 -충주와 거창 지역을 중심으로- (Apple Water-Footprint Calculation and Water Risk Action)

  • 오영진;박석하;김홍재;김제숭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3-125
    • /
    • 2013
  • According to 2012 OECD environmental report, Korea was ranked as the first country of water stress. Water footprint is a method to calculate water usage during the life cycle of a product from material procurement through production to disposal to recycle and to quantify the load to water resources. In water footprint calculation, water consumption unit is used. Agricultural water use is over 48% so it is urgent to mange that area Korea needs to spread the discussion about water footprint as quickly as possible, for the study to prevent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water shortage. This paper, through water footprint calculation and comparison in Chungju and Geochang areas, looks to counter measures for water risk, targeting domestically-produced apple.

전과정평가를 통한 마늘의 탄소배출량 산정연구 (Study of Garlic's Carbon Footprint though LCA)

  • 윤성이;김영란;김태호;박진현;안성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1-172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footprint and to establish of LCA of garlic production system. We have case study in cultivate garlic 1 kg calculate in carbon footprint. LCA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footprint and to establish of LCI (life cycle inventory) database of garlic production system. The data is from Research of Farmer's income in 2010 (RDA, 2011), and used Pass (5.0.0) program. The value of fertilizer, amount of pesticide input were shown the environmental effect and direct emission. Carbon footprint in agriculture guarantees the choice right the consumer to choose the lower carbon goods. Its can make to strengthen of agriculture and food industry's reduction effort of $CO_2$. Nowadays consumer requests food's safety and environment friendly process. Carbon footprint also needs consumer's relief and incentives.

우리나라 생태발자국(EF) 추이와 예측 (Trend and prediction of the Ecological Footprint in Korea)

  • 여민주;김용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5호
    • /
    • pp.364-378
    • /
    • 2014
  • 과거 50여 년간 한국의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 EF)은 가파르게 증가해 왔으며, 이에 따라 오버슈트(Overshoot) 역시 증가해 왔다. 오버슈트를 야기하는 중요한 원인에는 인구 증가와 일인당 자원 사용 강도 증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원인 가운데 어떤 변수가 지난 50여 년간 한국의 EF에 더 큰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소비 부문들 가운데, 에너지 소비에 따른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CF), 단백질 섭취에 따른 초지발자국(Grazing Land Footprint)과 어장 발자국(Fishing Grounds)이 EF 증가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지난 50여 년간의 추세가 앞으로도 유지된다면, 2060년에는 일인당 EF 값이 2009년 현재의 2배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2031년 이후 인구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1인당 EF 값의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EF는 2059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향후 개개인의 소비 패턴과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환경관리 방향을 전환해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쇠고기 소비에 의한 생태발자국 추이와 예측 (Trend and estimation of the ecological footprint from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in Korea)

  • 여민주;김용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4호
    • /
    • pp.280-295
    • /
    • 2016
  • 최근 육류 소비에 의한 환경 영향이 증가하였고, 쇠고기 소비를 줄이는 것은 지속가능한 식량 공급을 위한 대안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50여 년간 쇠고기 소비는 1961년 대비 2009년 약 13배 증가하였고, 쇠고기 소비에 의한 생태발자국(경작지발자국, 초지발자국, 탄소발자국의 합)도 동기간 약 12배 증가하였다. 특히 수입 쇠고기 소비 증가가 1970년 대비 2009년 약 346배, 수입 쇠고기 소비로 인한 생태발자국은 369배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2023년 한국인이 쇠고기 소비를 절반으로 줄이는 경우 쇠고기 소비에 의한 생태발자국은 기준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40~65% 감소하였다. 또한 시나리오별 저감된 생태발자국으로 지탱가능한 인구수를 추정하면, 한국인과 세계평균 소비 수준에 따라 약 57~156만 명의 식량(농작물, 육류, 어류), 화석 에너지, 산림 및 건조환경 부문의 소비를 지탱할 수 있고, 342~683만 명의 농작물 소비를 지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ootprint-based Person Identification Method using Mat-type Pressure Sensor

  • Jung, Jin-Woo;Lee, Sang-Wan;Zeungnam Bien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ISIS 2003
    • /
    • pp.106-109
    • /
    • 2003
  • Many diverse methods have been developing in the field of biometric identification as human-friendliness has been emphasized in the intelligent system's area. One of emerging method is to use human footprint. Automated footprint-based person recognition was started by Nakajima et al.'s research but they showed relatively low recognition result by low spatial resolution of pressure sensor and standing postur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odified Nakajima's method to use walking footprint which could give more stable toe information than standing posture. Finally, we prove the usefulness of proposed method as 91.4tt recognition rate in 11 volunteers' test.

  • PDF

상부공격 지능자탄의 낙하운동 및 탐색경로 시뮬레이션 (Simulation and Analysis of Top-Attack Smart Submunition Descent Motions and Target Searching Footprint)

  • 김기표;장쾌현;최상경;홍종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13
    • /
    • 2008
  • A smart submunition drops through the expected trajectory to have a appropriate target searching footprint for the armored ground vehicles. Parachutes can be used as a tool to decelerate and spin the submunition. Usually submunition's descent velocity, spin rate, submunition inclination angle against vertical and dynamic stability affect to its target searching footpri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optimal parachute and load configuration for the overall system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dynamic motion of submunition by the mathematical model of parachute and load.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we can analyze the submunition footprint affected by parachute and load design.

수정된 RANSAC 알고리즘과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건물레이어 갱신 (Update of Digital Map by using The Terrestrial LiDAR Data and Modified RANSAC)

  • 김상민;정재훈;이재빈;허준;홍성철;조형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1
    • /
    • 2014
  • 최근 도시는 신규건축, 재건축 및 부분적인 리모델링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치지도 또한 최신성 및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수정 및 갱신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 수정 및 갱신 방법으로는 항공사진 혹은 준공도면을 이용하고 있으나, 항공사진은 촬영주기제한 및 경제성 측면에서 국소 지역에 대한 수시 갱신이 어렵고 준공도면의 경우 품질 확보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빠르게 변하는 도심지의 건물 개발 현황을 수치지도상의 건물 정보에 신속하게 반영하기 위해 지상라이다로부터 추출한 건물 footprint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우선 지상라이다로부터 취득된 전체 건물의 포인트 클라우드 자료로부터 대표 옆면을 추출하고, 2차원 영상으로 투영한다. 투영된 포인트 클라우드 자료로부터 footprint를 추출하고, 추출된 footprint와 수치지도 상의 건물 footprint 간의 정합을 위해 2D Affine 모델을 사용하였다. 2D Affine 파라미터의 추정에는 두 footprint 자료로부터 취득된 무게중심을 사용하였으며, 무작위로 추출된 무게중심 간의 매칭을 위해 수정된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조건하에서 수행된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지상라이다로부터 추출된 건물데이터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수치지형도의 갱신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곤충 발자국 인식을 위한 자동 영역 추출기법 (Automatic Extraction Method for Basic Insect Footprint Segments)

  • 신복숙;우영운;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75-278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곤충의 발자국을 인식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인식대상이 되는 의미 있는 단위의 발자국 영역을 자동 추출하고자 한다. 인식의 대상이 되는 곤충들은 크기와 종류에 따라 남겨지는 발자국 패턴의 크기 및 간격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패턴의 크기와 간격에 관계 없이 인식의 기본 단위가 되는 영역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개선된 군집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듬에서는 군집화를 위한 임계값이 군집화의 대상이 되는 모든 패턴들의 거리를 축적한 그래프의 형태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제안된 기법으로 군집화 된 영역은 의미 있는 주변 정보에 의해 곤충 인식에 기본 단계의 세그먼트를 자동 추출하게 된다.

  • PDF

환경 친화적 소비자 교육이 생태 발자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co-Friendly Consumer Education on Ecological Footprint)

  • 윤여찬;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2호
    • /
    • pp.67-7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ecological footprint made by the eco-friendly consumer education program, and ultimately, to help the high school students, future consumers, have eco-friendly attitude.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helping them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eco-friendly consumption and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arising from their bad consumption habit, to get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daily lives, and to reduce the ecological footprint through the eco-friendly habit acquired when young. This study is designed to have 60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the eco-friendly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10 months and compare the levels of each ecological footprint though two different Questionnaires in five sections: housing, food, transportation, purchase, and waste. The program used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three parts: eco-friendly attitude education for consumers, eco-friendly citizen education for consumers, and eco-friendly resource management education for consumers. The data are analyzed by SPSS Window 10.0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friendly consumer education is more likely to help the students develop critical thought and eco-friendly attitude, unlike the economy-related consumer education. Second. The level of ecological footprint i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with the eco-friendly consumer education program.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it. Third. Experiencing the eco-friendly consumer education program helps the students have the positive attitude on ecology and lead 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nsumer life. The results show that eco-friendly consumer education can make a contribution to raising the good citizens who have eco-friendly attitude and behavior, lead sustainable consumer life, and try to reduce the level of ecological footprint.

  • PDF

국내 물 자원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물발자국 방법론 국내 적용 가능성 확인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Water Footprint Methodology in Korea by Analyzing Domestic Water Resources Statistics)

  • 김선욱;조서원;안재현;이한웅;연성모
    • 청정기술
    • /
    • 제24권2호
    • /
    • pp.146-153
    • /
    • 2018
  • 물발자국은 EU가 추진하고 있는 자원효율적인 유럽을 위한 로드맵(Roadmap to a Resource Efficient Europe)을 바탕으로 제시된 친환경제품 시장통합정책(Single Market for Green Product initiative)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2014년 7월 EU 회원국의 주도로 물발자국 산정 국제표준(ISO 14046)이 제정되었으며 우리나라도 한국산업표준(KS I ISO 14046)으로 2015년 4월 부합화를 완료하였다. 국제표준(ISO 14046)에 기반을 둔 인증제도가 도입되는 경우, 기반을 갖추지 못한 인도, 베트남 등의 개도국에게는 수출시 무역장벽이 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는 이를 역이용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한편, 물발자국은 전과정평가(LCA)를 적용한 유사 발자국(예, 탄소발자국)인증과 비교할 때 국지적(Local) 환경영향을 고려하도록 되어 있어, 우리나라에서 생산 및 제조되는 제품들은 우리나라 수역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물발자국 산정방법은 국내외 호환을 위해 표준에 적합해야 하며, 우리나라의 물 환경을 고려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적합한 물발자국 산정계수들의 도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국제표준을 바탕으로, 현재 국내 외에서 진행된 물발자국 산정연구를 검토하고 국내 기존 물 자원 관련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물발자국 방법론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