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y of Garlic's Carbon Footprint though LCA  

Yoon, Sung-Yee (동국대학교 식품산업관리학과)
Kim, Young-Ran (동국대학교 식품산업관리학과)
Kim, Tae-Ho (동국대학교 식품산업관리학과)
Park, Jin-Hyun (동국대학교 식품산업관리학과)
Ahn, Sung-Woo (동국대학교 식품산업관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v.20, no.2, 2012 , pp. 161-17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footprint and to establish of LCA of garlic production system. We have case study in cultivate garlic 1 kg calculate in carbon footprint. LCA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footprint and to establish of LCI (life cycle inventory) database of garlic production system. The data is from Research of Farmer's income in 2010 (RDA, 2011), and used Pass (5.0.0) program. The value of fertilizer, amount of pesticide input were shown the environmental effect and direct emission. Carbon footprint in agriculture guarantees the choice right the consumer to choose the lower carbon goods. Its can make to strengthen of agriculture and food industry's reduction effort of $CO_2$. Nowadays consumer requests food's safety and environment friendly process. Carbon footprint also needs consumer's relief and incentives.
Keywords
garlic's carbon foot print; LCA (life cycle assessment); garlic carbon labeling; local food; greenhouse ga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남재작. 2010. 농림수산식품분야 탄소표시제 및 탄소포인트제 도입방안, 농림부.
2 박민선. 2009. 초국적 농식품체계와 먹을거리위기. 한국농촌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
3 소규호․이길재․김건엽 등. 2010. 콩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전과정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3(6).
4 윤성이․권혁준. 2011. 전과정평과를 통한 유기농자재의 탄소배출량산정연구 - 유기질비료를 중심으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9(1).
5 이건모․허탁․김승도. 1998. 환경 전과정 평가(LCA)의 이론과 지침. 한국인정원.
6 임송택․이춘수․양승룡. 2010. 전과정평가를 이용한 관행농과 유기농 쌀의 환경성 및 외부 비용 분석.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8(1).
7 윤성이․조제억․김태호․김경훈․손보홍. 2011. 국내 유기농업 분야 LCI D/B 구축 및 탄소원단위 산정. 농촌진흥청 계속과제 보고서. 농촌진흥청.
8 윤성이․김영란. 2011. 시설 방울토마토의 생산과정에 있어 탄소배출량 산정과 농산물의 탄소라벨링.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9(3).
9 이정택․신용광․김건엽. 2005. 농경지 배출 온실가스 모니터링.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 저감 연구 5차년도 보고서. 농촌진흥청. 10-48.
10 환경부. 2004.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및 인증기준. 환경부 고시 제2004-26호.
11 농림수산식품부(www.maf.go.kr)
12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www.nics.go.kr)
13 국가 LCI 데이터베이스정보망(http://www.edp.or.kr/lcidb)
14 농촌진흥청. 2011. 2010 농축산물 소득자료집(www.rd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