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Service

검색결과 4,443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s of Candida norvegensis Live Cells on In vitro Oat Straw Rumen Fermentation

  • Ruiz, Oscar;Castillo, Yamicela;Arzola, Claudio;Burrola, Eduviges;Salinas, Jaime;Corral, Agustin;Hume, Michael E.;Murillo, Manuel;Itza, Mate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211-218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Candida norvegensis (C. norvegensis) viable yeast culture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of oat straw. Ruminal fluid was mixed with buffer solution (1:2) and anaerobically incubated with or without yeast at $39^{\circ}C$ for 0, 4, 8, 16, and 24 h. A fully randomized design was used. There was a decrease in lactic acid (quadratic, p = 0.01), pH, (quadratic, p = 0.02), and yeasts counts (linear, p<0.01) across fermentation times. However,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IVDMD) and ammonia-N increased across fermentation times (quadratic; p<0.01 and p<0.02, respectively). Addition of yeast cells caused a decrease in pH values compared over all fermentation times (p<0.01), and lactic acid decreased at 12 h (p = 0.05). Meanwhile, yeast counts increased (p = 0.01) at 12 h. C. norvegensis increased ammonia-N at 4, 8, 12, and 24 h (p<0.01), and IVDMD of oat straw increased at 8, 12, and 24 h (p<0.01) of fermentation. Yeast cells increased acetate (p<0.01), propionate (p<0.03), and butyrate (p<0.03) at 8 h, while valeriate and isovaleriate increased at 8, 12, and 24 h (p<0.01). The yeast did not affect cellulolytic bacteria (p = 0.05), but cellulolytic fungi increased at 4 and 8 h (p<0.01), whereas production of methane decreased (p<0.01) at 8 h. It is concluded that addition of C. norvegensis to in vitro oat straw fermentation increased ruminal fermentation parameters as well as microbial growth with reduction of methane production. Additionally, yeast inoculum also improved IVDMD.

헛개나무내의 Matrix Metalloproteinase-9 활성 억제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or in Hovenia dulcis Thunberg)

  • 김은호;이광수
    • 분석과학
    • /
    • 제24권2호
    • /
    • pp.135-141
    • /
    • 2011
  • 세포외 기질의 주요 단백질 구성요소들을 가수분해시켜 재편성(turnover)과 재형성(remodeling)에 핵심 역할을 하는 효소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이다. MMPs 중에서 MMP-2와 MMP-9는 catalytic domain이 fibronectin-like domain에 의해 hemopexin-like domain 부위와 떨어져 있는 점이 다른 MMP들과 다르다. MMP-9 억제제의 개발로 간암전이를 막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Hovenia dulcis Thunberg에서 MMP-9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고, 분리된 물질에 대한 MMP-9의 활성억제 여부를 확인하였다. Ethyl acetate (EA)에 의해 용출 분리된 두개의 화합물(화합물 A, 화합물 B)과 MeOH로 용출 분리된 한 개의 화합물(화합물 C)에서 MMP-9의 활성에 저해를 보였고, $^1H$$^{13}C$ NMR, GC-MS 그리고 IR로 이들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화합물 A는 hydroxyl기와 methoxyl기로 치환된 벤젠고리를 함유하는 화합물로 catechine 계열로 추정되었으며, 화합물 B와 C는 hydroxyl기와 methoxyl기로 치환된 벤젠 고리와 분자내 carbonyl기를 갖고 있는 nobiletin 계열의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화합물 A는 MMP-9 활성을 1.0%농도에서 76% 억제하였으며, 화합물 B는 동일한 농도에서 66%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화합물 C는 1.0%농도에서 71%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화합물 A가 MMP-9의 활성 저해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Ball 제품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Properti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alls Product)

  • 윤문주;이재동;박시영;권순재;공청식;최종덕;주종찬;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11-416
    • /
    • 2015
  •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production has increased gradually in recent years, but prices have fallen. Thus,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cessed foods incorporating olive flounder would help to increase the income of fisherm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st method for olive flounder ball processing. Clean olive flounder were divided into five portions. Olive flounder meat (100 g with added egg white 39 g) was chopped and then mixed with 10 mL fresh cream and ingredients. The dough was molded into the shape of a ball. The olive flounder balls were then processed by two different methods. In the first method, the flounder ball was boiled in water for 3 min then vacuum-packed in polyethylene film and stored at $-20^{\circ}C$ for 7 days. After 7 days, the ball was thawed and heated in a microwave for 2 min (Sample-1). In the second method, the ball was vacuum-packed in polyethylene film without boiling and then stored at $-20^{\circ}C$ for 7 days before thawing and boiling in water for 3 min (Sample-2). After heating, both types of olive flounder balls were evaluated.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viable bacterial count, chemical composition, pH, hardness, thiobarbituric acid level, salinity, and free amino acid content) were measured, and a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nsory and hardness evaluations, Sample-1 was deemed to be superior to Sample-2.

자민족중심주의에 따른 대만소비자의 곶감선호도와 소비행태 분석 (Ethnocentrism and Taiwanese Consumer's Preference and Consumption Behaviors on Dried Persimmon)

  • 유소이;박명은;박재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52-262
    • /
    • 2017
  • 최근 들어 한국산 곶감 수출활성화와 해외 판매량 증대를 위하여 해외 시장에서의 소비자 수요를 측정하고 분석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제품의 원산지와 연관된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는 해외 시장에서의 소비자 수요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민족중심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곶감에 대한 대만소비자의 선호도와 소비행태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입곶감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의 수준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곶감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는 자민족중심주의의 수준에 따라 만족도, 맛, 색깔, 안전, 포장, 경도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로짓분석 결과 대만소비자의 한국산 곶감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산 곶감에 대한 만족도로 나타났고, 한국산 곶감의 구매 경험에는 연령이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앞으로 대만 시장에서 판로 확보와 수익창출을 위해서는 세분화된 시장을 목표로 하여 마케팅 전략을 점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국산 곶감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옥수수겨가 티아민, 나이아신, 판토텐산의 생체이용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n Bran as a Fiber Source on the Utilization of Thiamin Niacin and Pantothenic Acid in Humans)

  • Yu, Bog-Hieu;Kies, Constanc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450-460
    • /
    • 1992
  • 본연구는 사람을 대상으로하여 8주간 종류가 서로 다른 옥수수겨를 식이섬유질의 급원으로 기본식이에 첨가하여 먹였을 때 티아민, 나이아신 및 판로텐산의 체네 이용율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식이의 종류의 옥수수겨를 첨가하지 않은 기본식이(Basal diet : B)와 이에 wet-milled fine(WF)/coarse(WC) corn bran이나 dry-milled fine(DF)/coarse(DC) corn bran을 첨가한 식이들로서 무작위법에 의하여 첫 4주간동안 일부의 피실험자는 B, WF, WC 식이를 급여 받았으며, 나머지 피실험자는 B, DF, DC를 급여받았다. 따라서, 각각의 피실험자들은 8주간의 실험기간동안 모든 실험식이를 섭취하였다. 비타민의 이용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24시간 뇨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을 주별로 나누어 이들 비타민의 뇨중함량을 측정하였고 변을 채집, 건조하여 neutral detergent fiber(NDF)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매일 뇨증의 creatinine치를 측정하여 뇨의 완전한 채집을 도모하였으며 불완전한 채집으로 인한 실험오차를 줄여주기 위하여 비타민의 이용을 계산시 각 주별의 평균 creatinine치에 대하여 비타민 이용율을 보정하여 주었다. 실험분석 결과에 따르면 옥수수겨를 첨가한 식이를 먹는 경우 티아민, 나이아신 및 판토텐산의 생체 이용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수수겨를 wet-milling 방법으로 처리한 식이의 경우 저하의 효과가 더운 현저한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옥수수겨의 처리방법을 막론하고 옥수수겨의 입자가 거친것이 비타민 이용율의 저하효과가 더욱 큰것으로 나타났다. 변건량과 변량에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특히 fecal trasit time이 wet-milled corn bran 식이군과 입자가 거친 옥수수군에서 빨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수수겨가 이들 세가지 B 비타민의 이용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식이 섬유질의 종류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Probiotic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를 이용한 starter 사용량이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ount of Probiotics and Yeast as Start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 채동진;이광석;장기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52-2659
    • /
    • 2011
  • 생리활성, 물성 및 관능적인 특성 등이 개선된 발효빵의 개발을 위하여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의 적정 사용량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초기 사용량은 각각 1.5 : 0.1(Test 1군), 0.3 : 0.02(Test 2군), 0.15 : 0.01(g/g)(Test 3군)였다. 복합 생균제의 사용으로 반죽내의 생균제 균수는 44~642배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pH는 산성화 되었다. 복합 생균제를 사용한 반죽의 pH와 비교시, 제빵효모를 사용하여 15시간 발효한 반죽의 pH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타터균의 사용량을 달리한 세 가지 그룹들 중에서, 빵의 부피와 경도, 식빵껍질의 두께, 기공의 형태, 압박력 지수, 빵의 비용적 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관능평가에서는 발효빵의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Test 2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결과적으로, Test 1군과 Test 3군들보다 Test 2군에서 우수한 제빵특성을 보였다.

The Effect of Online WOM of Menu Product Consumers on Product Perception Risk and WOM Effect

  • HEO, Yeong-Wook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77-8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marketing value as online word-of-mouth media in the foodservice industry, and it did research on online word-of-mouth (e-WOM) communication marketing schemes using mass communication in the industry. The study is also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lectronic word-of-mouth (e-WO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n product awareness risks, benefits, and word-of-mouth (WOM) impacts on restaurant consum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valid questionnaire of 425 menu product consum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in March 201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Results: It did empirical research on the reciprocal casual relations to online and the existing word-of-mouth communication that have to be preced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word-of-mouth communi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nline word-of-mouth (e-WOM) effect on product recognition risk show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information sender characteristics, information recipient characteristics, and online word-of-mouth (e-WOM) communication on product recognition risk. Second, the influence of online word-of-mouth (e-WOM) on product risk benefits shows that the information sender characteristics, the information receiver characteristics, and online communication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risk benefits. Third, online word of mouth risk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ord of mouth acceptance. Fourth, online risk benef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d of mouth (WOM) effect. Conclusions: The communication between online word of mouth (e-WOM) sender and recipi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oduct evaluation and attitude chang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and the word-of-mouth (WOM) effect affected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ndicated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der of the information and the receiver of the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 evaluation and attitude change of the menu consumer, and the word-of-mouth (WOM) result affected the financial. Therefore, the online word-of-mouth (e-WOM) effec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ord-of-mouth (WOM) effect of menu products when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positively between the information sender and the information receiver.

축산 환경개선제로 생산.유통되는 생균제의 문제점 및 검증방안 (Problems and Verification System of Probiotics as Livestock-environment Improving Agent Produced and Circulated)

  • 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7-95
    • /
    • 2008
  • 생균제는 충분하고도 적절하게 사용되었을 때 숙주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다. Lactobacilli나 Bacillus와 같은 직접투여하는 미생물 (DFM)은 생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 혹은 식품첨가물보다 장내의 정상균총의 정착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생균제가 투여됨으로 해서 면역체계가 강화되고, 감염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는데 이는 동물 체내에 병원균이 정착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서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생균제 투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배설물의 분해를 촉진하여 악취를 저감시켜줌으로서 가축의 사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들어, 환경보호와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정착됨에 따라, 환경을 개선하고 우수한 품질의 축산품을 생산하기 위해 가축농가에서는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생균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거의 모든 농가에서 생균제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무리가 없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생균제는 크게 세부류이다. 첫째는 국립수의과학독성원(NVRQS)에 의해 검증되고 약사법에 의해 관리를 받는 동물의약품으로서의 생균제, 둘째는 시군에서 등록이되는 보조사료로서의 생균제와 마지막으로 미등록된 환경개선제들이다. 그러나, 많은 검증받지 않은 제품이 유통되고 생산됨으로 인해 이를 검증할 방안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개선제로서의 생균제를 검증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균수의 검증, 항생제 내성 검증, 그리고 악취제거능에 대한 검증의 3단계 방법을 제안한다.

외식산업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New Trends of Managers' Leadership Styl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 전경철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223-240
    • /
    • 2006
  • 최근의 외식산업은 치열한 경쟁력과 함께 인력수급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인적서비스의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시 되면서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호텔과 패밀리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관리자와 종사자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되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외식산업에서의 최근 연구동향을 토대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살펴보면 첫째, 외식산업에서 직속상사를 포함한 관리자와 종사자에 관한 국내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외식산업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최근의 변화한 조직내 구성원에 대한 실증연구를 토대로 호텔과 패밀리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과거 대부분의 종사자에 대한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등의 연구가 임금이나 승진 등에 초점을 두었는데 과거보다 학벌수준이 높고 젊은 층이 많은 조직내 구성원에 대한 조직문화에 초점을 둔 시대의 흐름에 맞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각기 독립적으로 연구에서 관리자의 리더십이라는 하나의 틀 속에서 분석해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업의 핵심인재의 관리와 함께 금전적 보상체계의 개혁뿐 아니라 비금전적 차원에서의 배려나 지원이 요구된다. 네째, 외식산업 관리자의 역할 또한 전문가로서 평생직장의 개념보다 평생직업으로서 자신의 능력과 함께 매뉴얼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구성원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육훈련을 시킬 수 있는 리더십개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환경과 조직문화에 따라 리더십 유형의 적용이나 선택이 외식업채 특성에 맞는 실증적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진행되어야 될 것이다.

  • PDF

국내 어린이 위해성평가를 위한 노출계수 연구 (Development of Korean Exposure Factors for Children in Korea)

  • 윤효정;서정관;김탁수;김주현;조아름;이병우;임현우;이대엽;김필제;최경희;양원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7-175
    • /
    • 2017
  • Objectives: Children may be more exposed to certain environmental contaminants because they react with greater sensitivity and have different food intakes and breathing rate per unit of body weight compared to adul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general exposure factors such as skin surface area, period and frequency of exposure, and others among Korean children aged ${\leq}18$ years old.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the first of its kind in Korea. Methods: We developed 23 recommended exposure factors for Korean children aged 0 to 18 years by reclassifying raw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s well as through investigation by experiments in the absence of related data. Results: Reflecting the activity patterns of about 9,000 children, the daily inhalation rates for long-term exposure ranged from $9.49m^3/day$ for children from birth to <2 years to $14.98m^3/day$ for children aged 16 to <18 years. The research found that Korean children spent an average of 22.21 hours indoors, 0.67 hours outdoors, and 1.12 hours in-transit every day. Young children (${\leq}2$ years old) spent approximately 34 more minutes outdoors on weekends than they did on weekdays. Conclusion: Various physiological variables in the human body reflec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at can directly influence risk exposure.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general exposure factors based on Korean children is required for appropriate risk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