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tain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8초

흰쥐 인슐린종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의 Alloxan 독성 증강 효과 (High Glucose Potentiates the Alloxan-induced Cytotoxicity in Cultured Rat Insulinoma Cells)

  • 이병래;차종희;박재윤;고춘남;박평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75-880
    • /
    • 2000
  • Reactive oxygen species are produced under diabetic conditions and possibly cause various forms of tissue damag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igh glucose on the alloxan-induced beta cell injury. The insulinoma (RINm5F) cells were clutured either with high glucose (22.2 mM) or normoglucose (5.6 mM) in RPMI 1460 media for 3 days. The SOD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nitroblue tetrazolium (NBT) stain. The effects of high glucose on the cytotoxicity of alloxan were also investigated in RINm5F cells and the cells viability were determined by 3-(4,5-dimethylthiazol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methods. Results showed that the CuZn-SOD activity was decreased but Mn-SOD activit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INm5F cells cultured with high glucose (22.2 mM) media. The cytotoxicity of alloxan was increased by high glucose compared with normoglucose in RINm5F cells. Diethyl-dithiocarbarmate (DDC), as inhibitor of CuZn-SOC, also potentiate the alloxan-induced cytotoxocity in RINm5F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RINm5F cells, short term culture with high glucose media decreases Cu-Zn-SOD activity and the decreased activity of CuZn-SOD many one of the causative factors of beta-cell injury induced by high glucose.

  • PDF

소에 감염(感染)된 주육포자충(住肉胞子蟲) 무성생식(無性生殖) 증식형(增殖型)에 대(對)한 실험실적(實驗室的) 진단(診斷) (Laboratory Diagnosis for Sarcocystis Asexual Stages in Cattle)

  • 강영배;장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5-163
    • /
    • 1988
  • For the laboratory diagnosis of Sarcocystis infections especially in domesticated food animals, several antificial digestion techniques were applied for the musculature specimens and several staining techniques was applied for the bradyzoites of Sarcocystis species isolated. The digestion technique using trypsin(0.5%) and sodium chloride(0.85%) mixed solution was regarded as the most valuable for the detection of asexual stages of Sarcocystis in bovine musculature specimens. Optimal time for digestion was approximately one to four hours. The trypsion digestion technique with Giemsa's stain could be helpful for the detection of Sarcocystis prolferative forms and for the observation of the nucleus of the parasite. A systematic detection was also performed in an autopsy for a bovine carcass naturally infected with Sarcocystis species, and the asexual stages such as metrocytes and bradyzoites were observed in the specific organs, respectively.

  • PDF

Anti-adipogenic effect of mulberry leaf ethanol extract in 3T3-L1 adipocytes

  • Yang, Soo Jin;Park, Na-Young;Lim, Yun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6호
    • /
    • pp.613-617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Adipogenesis is part of the cell differentiation process in which undifferentiated fibroblasts (pre-adipocytes) become mature adipocytes with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and subsequent cell morphological changes. Several transcription factors and food components have been suggested to be involved in adipogene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mulberry leaf ethanol extract (MLEE) affects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MATERIALS/METHODS: The 3T3-L1 adipocyte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doses of MLEE for 8 days starting 2 days post-confluence. Cell viability, fat accumulation, and adipogenesis-related factors including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PPAR{\gamma}$ coactivator 1 alpha (PGC-$1{\alpha}$),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diponectin were analyzed. RESULTS: Results showed that MLEE treatments at 10, 25, 50, and $100{\mu}g/ml$ had no effect on cell morphology and viability. Without evident toxicity, all MLEE treated cells had lower fat accumulation compared with control as shown by lower absorbances of Oil Red O stain. MLEE at 50 and $100{\mu}g/ml$ significantly reduced protein levels of $PPAR{\gamma}$, PGC-$1{\alpha}$, FAS, and adiponectin in differentiated adipocytes. Furthermore, protein level of $C/EBP{\alph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100{\mu}g/ml$ MLEE.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LEE treatment has an anti-adipogenic effect in differentiated adipocytes without toxicity,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n anti-obesity therapeutic.

발아 벼로부터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생성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producing microorganism from germinated rice)

  • 윤나라;장귀영;이윤정;;김민영;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1-365
    • /
    • 2016
  • 본 연구는 왕겨에서 tricin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TTGE)를 생성시키는 균주를 분리와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발아 벼 추출물을 MYP, PDA, YM 및 LB 배지에 배양하고 각 배지에서 분리한 균을 왕겨에 접종해 TTG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PDA 배지에서 자란 균에 의한 TTGE의 생성량($339.30{\mu}g/g$)이 가장 많았다. 분리한 균을 동정한 결과 Burkholderia vietnamiensis로 확인하였으며, 형태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catalase 활성을 갖는 short rod 형태의 Gram 세균인 것으로 확인해 기존 Burkholderia 속의 특성과 일치하였다. 또한 분리한 세균을 살균한 왕겨에 접종하여 배양시킨 결과 배양기간에 따라 TTG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72시간 동안 배양에서 $435.86{\mu}g/g$로 가장 많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폐기되는 왕겨를 활용함으로써 왕겨의 함유된 TTGE의 함량을 증대시켜 기능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콩나물 부패경감에 유용한 약제 선발 (Selction of Useful Chemicals Reducing Soybean -Sprout Rot)

  • 박의호;최연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87-493
    • /
    • 1995
  • 본 실험은 콩나물 재배과정 중에 일어나는 부패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이 허가된 산성 식품 첨가제들을 대상으로 그 이용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다소 노화된 은하콩을 재료로 콩나물 배축의 부패에 관여하는 균(부패균)을 순수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고, propionic acid 등 8가지 약제처리가 부패균의 증식 억제효과를 인왕배지상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1% 이하의 약액처리가 콩나물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약해유발의 가능성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패균으로 확인된 3종류의 균계를 대상으로 Gram stain등 8가지 미생물학적 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상호 약간의 특성 차이는 있었으나 Pseudomonas속의 균계로 판단되었으며, 분리된 곰팡이류 중에는 부패균이 없었다. 2. 5% 이상의 농도에서는 공시약제 중 sodium hypochlorite의 부패균 증식억제 효과가 가장 컸으나 발아를 극심하게 저해하여 실용성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3. Propionic acid, acetic acid, calcium propionate, sodium propionate등의 약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뚜렷하였다. 4. Propionic acid, acetic acd, calcium propionate, sodium propionate 등의 선발된 4가지 약제는 1.0% 및 그 이하의 농도에서도 다소의 부패균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 부패경감제로서의 충분한 이용 가능성을 보였다. 5. 1%이하의 용액에 콩종자를 침지처리 하였을 때 무처리에 비해 선발된 4가지 약제처리에서 모두 발아율, 초기생육 및 비정상발아 개체율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약해는 문제시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균주를 달리한 된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Histological Changes of Doenjang during the Fermentation with Different Strains)

  • 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77-481
    • /
    • 1992
  • 품질이 좋은 된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재래식 된장과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를 혼합한 된장을 제조해서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조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가압, 가열처리에 의하여 세포벽이 붕괴되거나 ghost 상태를 보였고 표피부와 내부의 세포질은 원형질 분리가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protease에 의한 당단백 구상체의 융합과 amylase에 의하여 전분이 분해되어 작은 공포를 보였으며 발효에 의한 균침투 과정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표피부에서 내부로 이행되어지며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 된장의 표피부와 유세포에서 점질물이 보인다. 또한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염색성이 나빠지고 세포벽이 다각형으로 되는데 재래식 보다는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구가 현저하였다.

  • PDF

황금(Scutellaria Radix)의 에타놀 추출물이 백서 치조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of Scutellaria Radix on the alveolar bone formation in the extract socket of rat)

  • 박준봉;허익;권영혁;배기환;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443-45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of Scutellaria Radix on the alveolar bone formation in the extract socket of rat. Thirty-six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in this study. Mean body weight of rat was $130{\pm}5g$. Experimental animal were administered 0.4% ,${\beta}-aminopropionitril$(Sigma, USA) with the solid commercial food for 5 days. All the maxillary 1st molar of the rats were extracted by using of the tissue forcep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with Pentobarbital sodium(Tokyo Chemical Co, Japan) injection into intraperitoneal space. All the extracted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feeded the solid food mixed ethanolic extracts of Scutellaria Radix, and control group which were feeded same food without reagent. At 1, 3, 5, 7, 9 and 14th days after tooth extraction, rats in both groups were serially sacrificed respectively. All the specimen were treated as usual method and prepared Hematoxylin-eosin stain for the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one formation of extracted socket starts from the area on remained periodontal ligament than other area. 2. In the case of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ed Scutellaria Radix showed rapid healing process of connective tissue than non-administrated group. 3. In the case of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ed Scutellaria Radixshowed rapid osteogenesis than non-administrated With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ethanolic extracts of Scutellaria Radix may play a favorable role on the healing process of exatraction socket after extraction in rats. It was suggested that further study to evaluate the different concentration and administration method of ethanolic extracts of the Scutellaria Radix into same experimental model.

  • PDF

CHP(Cyclo His-Pro) 함유 대두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코팅 쌀의 제조 (Fortification of Rice with Soy Hydrosylate Containing CHP (Cyclo Histidine-Proline))

  • 이현정;박혜인;박유헌;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15-420
    • /
    • 2013
  • 쌀의 기능성 소재화 및 새로운 용도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제2형 당뇨환자의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인슐린 기능 개선 소재로 알려져 있는 cyclo histidine-proline(CHP) 함유 대두가수분해물(SHC)을 쌀에 함유시켜 신규 기능성 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흡수 및 분무 코팅에 의해 쌀의 가공 중 첨가 기능성 성분인 CHP 함유된 대두가수분해물의 소실을 억제하는 기능성 성분 강화 코팅 쌀의 제조공정을 검토하였다. 흡수 코팅법은 CHP 함유 대두가수분해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흡수저해가 일어나 흡수율이 낮게 나타나므로 적합하지 못하였다. 반면 methylcellulose 폴리머를 사용한 분무 코팅에 의하여 제조된 코팅 쌀은 다소의 균열 발생 및 미황색화가 관찰되었으나 외관 형태의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수화양상 및 수화속도가 원료 쌀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코팅과정 중의 건조에 의한 호화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5%(w/v)의 CHP 함유 대두가수분해물을 함유한 1%(w/v) methylcellulose 폴리머를 보호제로 사용하여 분무 코팅한 후 건조하여 CHP 함유 대두가수분해물을 기능성 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코팅 쌀을 제조하는 공정을 확립하였다.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손상된 hairless mouse에서의 hydroxyproline, Pro-Hyp 경구반복투여시 피부 상태 개선 효과 (The Effect of Hydroxyproline and Pro-Hyp Dipeptide on UV-damaged Skin of Hairless Mice)

  • 이지해;서정혜;박영호;김완기;임경민;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36-442
    • /
    • 2008
  • 본 연구를 통하여 피부 미용 소재로 알려져 있는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한 후 혈중에 나타나는 소화분해산물 중 콜라겐 특유의 아미노산인 hydroxyproline과 이것의 dipeptide 형태인 Pro-Hyp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부 미용 소재를 경구 섭취하는 사람의 피부는 광노화 및 자연노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이므로, 이와 유사한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경구 투여를 시작하기 전에 hairless mouse에 7주간 주 3회 UV를 조사하여 주름을 선유발시켰다. 군 분리를 시킨 후 7주간 경구로 실험물질을 주 5회 반복 투여하면서, 주 3회 UV 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시험 기간 중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였고, 3회 (0,4. 7주차) 피부주형을 채취하여 영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2회 (0,7 주차)의 피부탄력측정 및 1회(7주차)의 TEWL측정을 병행하였다. 실험종료 후 피부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검사(H&E, Masson-Trichrome stain) 및 피부두께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기간 중 이상 임상증상을 보이거나 사망한 개체는 없었으며, 체중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피부 육안관찰 시 NC군에 비해 UC군의 피부 주름 증가가 뚜렷하였으며, 시험군들은 UC군에 비해 주름 증가가 적었다. 경구 투여 0, 4, 7주차에 제작된 replica의 주름 지표를 통계 처리한 결과, UV/H군과 UV/P군은 DC군에 비해 감소경향은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탄력측정검사 결과 UV를 쬐지 않은 NC군은 UC군에 비해 UA/UF, Ur/Ue, Ur/Uf 지표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UV/H군과 UV/P군은 모두 0, 7주차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부 보습력 측정 결과 NC군 및 모든 실험군에서 UC군에 비해 유의적인 TEWL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피부 두께의 경우 NC군, UV/H군, UV/P군은 UC군에 비해 피부 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진피층에서의 교원질 확인을 위해 실시한 Masson-Trichrome stain의 경우 UC군에서는 상부 진피층에서의 염색상 소실이 관찰되었으나, 모든 실험군에서 진피층 손상이 거의 관찰되지 않아 실험물질에 의한 회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hydroxyproline, Pro-Hyp의 경구반복투여시 자외선에 의해 광노화가 유발된 피부에 보습 효과, 피부 두께 감소 효과, 진피층 손상 회복 효과를 유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단, 피부 주름 개선 정도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이 경향성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ydroxyproline과 이를 함유하는 dipeptide 형태의 Pro-Hyp를 경구 투여한 시험으로부터 확인한 피부 보습 및 진피층 회복 효과는 이 물질들이 유래된 콜라겐을 도포 또는 섭취했을 때 피부에 나타날 수 있는 작용들과 상통하며, 단독 미용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 시 체내에 흡수되어 혈액을 통해 각 조직에 운반되는 분해 산물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 시험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관절, 혈관과 같은 다른 생체 조직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공초점 현미경 및 유세포 분류기를 이용한 계육에서의 Salmonella균 불활성화 평가 (Assessment of Inactivation for Salmonella spp. on Chicken Meat using Confocal Laser Microscopy and Flow Cytometry)

  • 장금일;정덕화;하상도;김근성;이규호;김민곤;김철호;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0-29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위생제 처리에 의해 식품에 존재하는 식중독성미생물의 불활성화 효과를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는 위생재 처리에 의한 식중독성 미생물의 불활성화 효과를 기존의 plate count 방법으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균주의 특성 및 배양환경과 같은 변수 때문에 정확하게 분석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먼저 Salmonella균은 계육 표면의 주로 모공 또는 표면의 주름진 틈사이에 오염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TSP 처리에 의한 Salmonellar균의 불활성화 효과를 CLSM과 flow cytometry의 다색 영상화 방법을이용하여 cell viability 염색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Salmonellar균으로 오염된 계육에 TSP 처리하였을 때, Salmonellar균이 계육의 오염부위에서 불활성화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식품에 존재하는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하여 다양한 위생제 처리에 의한 불활성화 효과를 cell viability 측면에서 직접적이면서 신속하고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