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ervice industry

검색결과 1,056건 처리시간 0.021초

2005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의 단체급식에 관한 연구 동향분석 (Trend Analysis Regarding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Related Research in Korea from 2005 to 2009)

  • 주세영;권용석;정혜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3-11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academic journal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published from 2005 to 2009.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ntent analysis. We collected 322 articles including the subject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Industry published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09. Classification based on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research method, statistical analysis, survey area, institution and location, sample type and research subject. First, in case of the research method, primary field survey/monitoring showed the highest rate.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as follows. Frequency/descriptive analysis were used as the highest rate. Survey area was a high percentage in case of Seoul/Incheon/Gyeong-gi province. In case of the institution and location, school/university showed the highest rate. In the sample type, foodservice employee/dietitian/nutrition teacher showed the highest rate. In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research subjects were classified study subjects into seven by taking advantage of the previous studies. The greatest numerical study in seven study subjects was 'service quality and customers'(28.9%), and the following subjects were 'foodservice operation'(26.4%), 'hygiene, security and microbiology' (15.8%),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15.5%). But it is noteworthy that 'marketing and strategic management'(9.6%) and 'education and training'(3.1%) of lower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are also important fields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industry. Moreover, the study of such subjects is considered more necessary in the future.

The Influences of Restaurant Consumers' Electronic Word-of-Mouth(E-WOM) Information Communication on Product Perception Risk, Benefit and WOM Effect

  • Heo, Yeong-Uk
    • 융합경영연구
    • /
    • 제6권4호
    • /
    • pp.51-64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influences of restaurant consumers' e-WOM information communication on product perception risk, benefit and WOM effe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426 restaurant consumers. Results -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e-WOM on product perception risk showed that WOM information sender characteristics, WOM information recipient characteristics and online commun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roduct perception risk. Second, the influence of e-WOM on product risk benefit showed that WOM information sender characteristics, WOM information recipient characteristics and online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roduct risk benefit. Third, WOM risk percep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WOM acceptance. Fourth, WOM risk benef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WOM effect. Conclusions - As for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communication between e-WOM sender and recipi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oduct evaluation and attitude change in the restaurant industry, and the WOM effect had an influence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communication attaches importance to a direct using and tasting experience due to the nature of restaurant industry when it is simultaneously performed as a positive mechanism between sender and recipient through each channel of these factors. But the e-WOM culture can lead to the WOM effect when both sender and recipient share the persuasive communicability in reality that diversifies communication methods,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성숙시기 및 저장에 따른 시금치의 클로로필 함량 변화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in Spinach by Growth Periods and Storage)

  • 이미희;한재숙;소궤신행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9-34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노지에 시금치 씨를 뿌려 잎이 처음 나온 후 7, 14, 21, 28, 35일의 성숙시기 및 저장기간과 포장방법에 따른 시금치의 클로로필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성숙시기에 따른 총 클로로필 함량은 잎 부위에서는 성숙될수록 높게 나타났고, 줄기 부위에서는 성숙시기에 따라 일정한 함량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뿌리 부위에서는 잎 부위와 반대로 성숙시기에 따라 감소하였다. 35일 성숙된 시금치 잎은 줄기보다 7.1배, 뿌리보다 99배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a와 b의 함량비율은 잎의 경우는 3.2-3.7:1, 줄기는 2.5-3.2:1, 뿌리는 0.7-1.4:1를 나타내어 뿌리의 경우 현저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시금치 잎 부위의 성숙시기에 따른 클로로필과 클로로필 관련색소의 변화에서 클로로필 a, b는 성숙될수록 클로로필의 함량이 많아졌고 페오포비드 a의 경우는 성숙시기에 따라 일정한 변화가 없었고, 페오피틴 a는 성숙 7일째는 $5.07\%$, 14일째는 $4.64\%$, 21일째는 $2.69\%$로 소실되어 성숙 28일째는 수치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클로로필 함량은 무포장하여 $5^{\circ}C$에서 1, 3, 5, 7, 9일간 저장하였을 때 저장일수가 길수록 클로로필 함량은 완만하게 감소되었고, $20^{\circ}C$에서는 1, 2, 3, 4, 5일 저장하는 동안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총 클로로필의 잔존율을 보면 1, 3, 5일 저장하였을 때 $5^{\circ}C$에서는 96.29, 90.79, $85.74\%,\;20^{\circ}C$에서는 82.75, 44.53, $33.07\%$로 나타나 $5^{\circ}C$에서 5일 저장한 시금치가 $20^{\circ}C$에서 1일 저장한 시금치보다 클로로필의 잔존율이 높아 $5^{\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클로로필의 함량이 보존됨을 알 수 있었다. 시금치를 무포장, 폴리에틸렌백과 신문지로 포장하여 5, $20^{\circ}C$에서 1, 5일 저장하여 비교한 클로로필 함량은 $5^{\circ}C$에서 1, 5일간 저장한 경우는 폴리에틸렌백으로 포장한 시금치가 가장 많은 클로로필을 보유하였고, $20^{\circ}C$에서 1일 저장하였을 때는 폴리에틸렌백으로 포장한 시금치가 가장 높은 클로로필 함유량을 나타냈지만 저장 5일째에서는 무포장하여 저장한 시금치가 가장 높은 클로로필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시금치를 1일 저장할 때 폴리에틸렌백으로 포장하여 저장하는 것이 클로로필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대두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가 설사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 from Soybean Hull on the Recovery of Diarrhea in Rats)

  • 임지혁;정일환;박태화;이윤복;한재흠;박점선;이균희;이상화;안준배;김광엽;이근하;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88-592
    • /
    • 2007
  • 대두 가공 부산 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대두피에서 식이섬유를 분리하여 대두 자엽 및 타 식물 유래 식이섬유와 설사개선에 미치는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설사를 유발시킨 Sprague Dawley 수컷 흰쥐를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CON), 불용성과 수용성 식이섬유가 혼합된 대두 자엽 유래 식이섬유(S-COTL), 불용성 대두피 추출 식이섬유(S-HULL) 및 수용성인 치커리 식이섬유(CHI)가 각각 동량 함유된 식이의 네 군으로 나누어 24시간 동안 실험 식이를 공급한 결과 CON과 S-HULL에서 S-COTL과 CHI보다 약 10-20% 가량 높은 변수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탈수 증상의 척도인 혈청 삼투압 변화 측정 결과 역시 네 군 중 CON과 S-HULL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대두피에서 추출한 식이섬유의 설사 개선 효과가 기존의 타 식이섬유에 비해 우월하다는 사실을 생화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나아가 현재 경관급식 환자식에 대두 자엽 유래 식이섬유 및 기타 수용성 식이섬유 등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자주 발생하는 잠재적이고도 심각한 위협이 되는 설사증상을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대두피 추출 식이섬유원으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농후제를 달리한 토마토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Sauce added with Various Thickening Agent)

  • 김영준;김기쁨;박기홍;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00-11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소스 제조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루(roux)를 대신하여 멥쌀가루, 찹쌀가루, 감자전분, 타피오카전분을 농후제로 사용한 토마토소스를 제조하였고, 일반성분 및 칼로리, 색도, 염도, 가용성 고형분 및 환원당, 점도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토마토소스에 가장 적합한 농후제를 밝혀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토마토소스를 제조할 때 기존의 루 대신에 감자전분이나 타피오카전분을 사용하였을 경우, 관능적 기호도가 더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지방, 저열량의 토마토소스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최근 고지방, 고열량 식품을 기피하는 추세에 알맞은 토마토소스를 제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추후에는 전분을 농후제로 사용한 토마토소스를 조리적으로 접목하여 관능적 특성을 연구하여 그 이용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종사원의 이직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urnover Reason of Family Restaurant Cook Part Employee)

  • 유양자;윤지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22
    • /
    • 2001
  •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패밀리레스토랑 중 7개 업체 12개 점포의 조리 부서에 근무하는 147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학력, 직위, 재직기간에 의한 이직 원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부서 직원은 남성이 60명, 여성 87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20-29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95.2%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2년제 대졸 여성의 비율은 50.3%로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부서 직원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는 매니저 4.1%, 캡틴 13.6%, 직원 82.3%로 나타났으며, 재직기간은 2년 이하가 84.4%로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이직의 원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여성(3.06)이 남성(3.00)에 비해 이직요인에 대한 전체 평균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연령에 따른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부서 종사자들의 이직 원인 차이는 전체적으로 50세 이상의 연령층(3.039)에서 이직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 중 근무지 요인(4.000)과 경영불신 요인(4.000)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4. 학력에 따른 이직의 원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내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가진 종사자가 대부분의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으로는 근무 체계 요인(0.001), 타진로 모색요인(0.005), 개인적 문제 요인(0.034), 거주지 요인(0.014)로 모두 F값이 3.04보다 크게 나왔다. 5. 직위에 따른 이직 원인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체계 요인 캡틴급(3.63), 내부적 문제 요인매니저급(3.21), 조직내 인간관계 요인 캡틴급(3.45), 타진로 모색 요인 매니저급(3.17), 개인적 문제 요인 매니저급(3.22), 거주지 문제 요인 캡틴급(2.88), 경영불신 요인 캡틴급(3.20), 근무환경 요인 캡틴급(3.0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재직기간에 따른 이직 원인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5년 이상 근무집단이 가정 높게 나타났다. 7. 기타 이직에 관한 견해의 차이를 성별로 분석한 결과, 이직 현상이 현재와 같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대부분(85.0%)이 그럴 것이라고 응답했고, 이직이 소멸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소멸되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85.0%였다. 현재 재직 중인 직장이 어떻게 되길 바라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대부분(91.2%) 잘되기를 바란다고 응답했다. 8. 전체적으로 각 이직 원인 요인 중에 가장 높은 평균값이 나타난 요인은 근무체계 요인(3.45)이였고, 조직내 인간관계 요인(3.18), 타진로 모색 요인(3.11), 경영불신 요인(3.04) 순서였다. 나머지 요인들은 3점(보통이다) 이하로 이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부서 종사원은 높은 이직 성향이 보여 전문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외식업계에서 이직이라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해야할 중대한 과제로 남아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남성에 비해 높은 여성의 이직 성향은 근무 여건에 있어 성 차별적 요소의 잔재에 대해 간과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자신의 직업에 대해 안정기로 접어들어야 할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이직 성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나, 5년 이상 근속한 종사자의 높은 이직 성향, 그리고, 매니저급에서의 높은 이직 성향은 국내 외식업계가 평생 직장으로서의 위치까지 오르지 못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PDF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 자료 개발 (The development of resources for the application of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 황지윤;김양하;이행신;박은주;김정선;신상아;김기남;배윤정;김기랑;우태정;윤미옥;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21-35
    • /
    • 2022
  • 본 연구 결과, 식품군별 대표식품과 1인 1회 분량이 설정되었으며 생애주기별, 성별 1일 에너지필요추정량에 따른 식품군별 섭취횟수를 계산하여 제시한 권장식사패턴 및 이를 활용한 권장식사구성안 12종이 제시되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지·당류 섭취량의 감소를 위한 인지를 높이기 위해 1인 1회분량과 식품구성자전거에 유지·당류 식품군을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과 일반인 및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20 KDRIs 기반 생애주기별 영양문제 범주화 및 대국민 메시지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웹기반 영양 콘텐츠 개발 및 홍보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를 근거로 일반국민과 청소년 대상 카드뉴스 2종, 새로운 2020 식품구성자전거와 권장식사패턴을 홍보하기 위한 카드뉴스 2종과 5개 언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베트남어, 중국어) 포스터가 제작되었다. 또한 영양교육주제의 우선순위 선정 후 단계별 교육프로그램 설계 후 교육목표에 따른 교수학습안과 교수자료, 평가도구 등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자료는 모두 보건복지부와 한국영양학회 누리집을 통해 배포되었으니 다양한 분야에서 다각적인 측면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한식 레스토랑 메뉴품질속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프랑스 파리 지역 한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in the Effects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staurants menu on Revisit Intention - Centering on Korea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Paris, France -)

  • 이선호;김선희;김영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4-50
    • /
    • 2012
  • 본 연구는 프랑스 현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식레스토랑의 메뉴품질속성에 따른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와 이를 바탕으로 IPA 분석을 실시하여 한식레스토랑 메뉴품질속성의 강점, 약점, 저 순위, 과잉에 대해 실증분석하고 한식레스토랑의 메뉴품질속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IPA 분석결과 약점으로 음식의 시각적 요소, 강점으로 메뉴의 가격, 메뉴의 온도, 음식의 맛, 음식의 양, 음식의 청결성, 음식의 신선도, 요리의 향기, 저 우선순위로 메뉴의 계절성, 메뉴의 정통성, 메뉴의 독창성, 음식의 크기, 요리의 색깔, 요리의 질감, 요리에 대한 설명, 건강식의 유무, 재료와 조리법, 음식용기의 적절성, 기존음식과의 차별성으로 나타났다. 메뉴품질에 있어 메뉴의 속성, 메뉴의 관능, 메뉴의 성격, 메뉴의 설명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재방문 의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메뉴품질 속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메뉴의 설명, 메뉴의 관능, 메뉴의 성격, 메뉴의 속성 순으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외식기업이 현지 메뉴를 파악해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여 한식 세계화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북 지역 학교급식소의 시설.설비 및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oodservice Facilities, Ut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 국숙자;최병숙;노정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7-507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ituation of foodservice facilities, ut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onbuk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52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v. 11.5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99.2% of the subjects were women 76.6% were married, over 87% were between the ages of 30 and 40(p<0.01) and 56.8% had more than 11 years of experience(p<0.001). Among the 252 school foodservice systems evaluated, 51.6% of the schools were located in urban areas and 48.0% were in rural areas(p<0.01). Approximately 68.0% of the schools prepared meals in the conventional way, and 32.3% prepared them in the commissary way(p<0.001). The number of employees at each institution was separat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 to 3(37.7%), 4 to 6(27.8%), and 7 to 9(25.4%, p<0.01). Approximately 54.0% of schools had been running a school meal service for longer than 11 years(p<0.001). However, 67.5% of those facilities had not been remodeled since the initial implementation of foodservices. Approximately 94.0%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were located on the first floor. 72.2% among them were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and 16.7% were prefabricated(p<0.001). As the result of our evaluation of related physical evidence and the atmosphere of the space, the average importance grade was $4.41{\pm}0.46$, and the average performance grade was $2.78{\pm}0.67$. Most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in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s responded that the related physical evidence and the atmosphere of the space i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were important, but the satisfaction level among the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was quite low. Therefore, it's important and necessary to analyze the opinions of the stakeholder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prior to the remodeling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솔잎 분말과 추출물 첨가 국수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during Storage)

  • 전정례;김향희;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85-692
    • /
    • 2005
  •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항산화 및 항암작용 등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솔잎 분말과 추출물을 국수에 첨가하여 면의 품질특성 및 기계적 평가, 저장기간 동안의 미생물 생육변화를 살펴보았다. 색도에서 L값은 솔잎 분말과 엑기스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성 (p<.001) 있게 감소하였으며 a(적색도)값과 b(황색도)값은 솔잎 분말과 엑기스 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기계적 검사에서 솔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hardness)는 유의성(p<.05)있게 감소하였으며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ness), 검성(gumminess)은 대조군 보다 솔잎분말 첨가 국수가 감소하였다. 솔잎 엑기스 첨가 국수의 경우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관능평가의 외관 색상은 솔잎 분말과 엑기스 첨가량이 많을수록 진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p<.001) 입안에서의 매끄러운 정도는 솔잎 분말과 엑기스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매끄럽고 솔잎 엑기스 3% 첨가군이 가장 매끄러웠다. 허브냄새(herbal flavor)는 솔잎 분말 5%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맛은 솔잎 분말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질감의 평가에서 씹힙성(chewiness)과 탄력성(springness)은 솔잎 분말 3%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기호도 평가는 외관 기호도(appearance quality)는 솔잎 엑기스 5% 첨각가 가장 높았고 향미 기호도(flavor quality), 맛의 기호도(taste quality),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는 솔잎 엑기스 3%가 가장 높았다. 국수의 일반세균수의 변화는 $20^{\circ}C$에서 대조군은 저장 2일에 관찰된 것에 반해 솔잎 분말 및 엑기스 국수는 6일까지 저장성이 연장되었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 색도에서 L값(명도)는 외관의 색과 매끄러운 정도에 모두 부의 관계를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는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기기계적 검사의 탄력성(springness)은 관능검사의 경도(hardness)와 씹힙성(chewiness), 응집성(cohesiveness)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나 외관과 맛은 탄력성(springness)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소 솔잎 추출물과 솔잎 분말을 첨가한 제면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바 솔잎 추출물 3% 첨가면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