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cour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Incidence of factors of risks in the self-regulation as prevention of the tobacco in adolescents

  • Thabet, Hassan Haithem;Mendez, Leonardo Rodriguez;Ugando, Maira Quintana;Alvarez, Jesus Cuellar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4권2호
    • /
    • pp.1-5
    • /
    • 2018
  • Background: the self-regulating in adolescent's smokers as prevention is one of the lines of the work team in the consultation of Ceasing Tobacco. Objective: to identify the factors of risks that impact in the self-regulation to prevent the tobacco in adolescents. The investigation embraced one period from March 2017 to September 2018. Method: a descriptive study of traverse court was used. Registered to 31 students for sampling intentional non probabilistic, of an universe of 50 adolescent students. It was used empiric methods; clinical histories, interviews structured and the questionnaire. Conclusion: the female sex prevailed, where 54,8 % between the 12 to 19 years of age. Results: the incidence the factors of risks that impact in the self-regulation to prevent the tobacco in adolescents are the group contagion with 54,7 %, family problems for a 29,0 % and situational depression with 16,1 %, where it is necessary the self-regulation that should have the adolescents in the life.

한국과 서구의 가구 용어 비교 연구 - 전통 찬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Korean and Western Furniture Terminology - Focusing on Traditional Cupboard -)

  • 문선옥;장현영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9-399
    • /
    • 2013
  • This study focuses a comparison of Korean and Western Furniture culture on traditional cupboard terms to make the people understand and distinguish the form of the various Korean and Western cupboard made by the craftsmanship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As the result, the Korean cupboard shows Kangwon Chanjang/cupboard, Gyeonggi Chanjang/cupboard by the local name, dwiju Chanjang/cupboard, three-tiered Chanjang/cupboard, four-tired Chanjang/cupboard, two-tiered Chantak/cupboard, three-tiered Chantak/cupboard in the terms of the form. Korean cupboards are called Chanjang and Chantak. The Western cupboard shows cupboard, buffet, livery cupboard, cupboard-bed, corner cupboard, court cupboard, turkey-breast cupboard, pot cupboard, press, press cupboard, hall cupboard, sideboard, hunt sideboard, huntboard, cabinet, corner cabinet, writing cabinet, art cabinet, china cabinet, dresser, safe, meat safe, wall closet, wall cupboard, hanging corner cupboard, food cupboard in the terms of the various forms.

  • PDF

안드로이드 기반 푸드코트 종합 관리시스템 (Android based food court management system)

  • 이용덕;이지영;최영미;공기석;이상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97-500
    • /
    • 2011
  • 식당 이용에 있어서 평소 특정 시간대에 사람이 많이 몰려 혼잡한 상황을 완화시켜보고자 이 시스템을 창안하였다. 사용자가 음식예약, 음식나눔(SNS), 공지사항을 선택하면 각 선택메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 음식예약을 선택하면 원하는 만큼의 음식을 예약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주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원으로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하고, SNS의 경우 트위터API를 사용하여 연동 구현을 하였다.

식품안전 피해구제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Food Safety Damage Relief System)

  • 이병준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7권4호
    • /
    • pp.199-222
    • /
    • 2017
  • Currently, many punitive damages (or statutory damages) and class action law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consumer damage relief system. It is in the background of the argument that the introduction of such a victim relief system will solve many small and large consumer damage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punitive damages compensation or the class action system are introduced in relation to the food safety damage naturally. Although the introduction of such a system can clearly help the consumer to relieve large-scale damage, it can not solve all the problems at once because the company can reject the system despite the introduction of such a system. In particular, class action lawsuits should have the same type of damage, but most of the damage caused by food safety is accompanied by physical harm, resulting in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 the health environment. The class action system may not provide a solution in that the content and type of the damage may be differ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roduction of the food safety damage relief system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n administrative dispute settlement system by an administrative agency that occupies an absolute position in the existing consumer protec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n realit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hich is the largest among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food, operates a passive attitude consumer protection system such as function like guidance, supervision and surveillance. And it is necessary to make a complementary proposal. In the current law, there is only a small part of the consumer protection work that is positively legal, and even after the damage is scientifically identified, it is not possible to present the solution to the damage suffered by the consumer through legislation. This is a fact that has been rai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sonable and rapid disaster relief procedure through a separate mechanism within the administrative agency, which is the administration agency, that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due to food safety damage is insufficient by solving the case through the court through counseling, dispute adjustment and civil proceeding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food insecurity and the food industry, various ways of rational solution of the problem wer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1) Establishment of a food safety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2) Establishment of a food safety disaster relief committee; and (3) Establishment of a food safety disaster relief committee was discussed. In addition, a plan for the creation of a food damage compensation fund was also proposed.

산업체 급식에서 제공되는 식사의 염분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lt Contents in Foods Served by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

  • 김현아;노성윤;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39-745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alt-intake from meals that were served by an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 for a month. Meals (176) were classified into 12 food groups by CAN Pro 3.0. These consisted of bap 6, mandu 5, guk 29, jjigae 9, jjim 4, gui 8, jeon 5, bokeum 25, jorim 16, fried 7, namul 49, pickled 12. The average salt content of 100 g of each menu ite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der of pickled>jorim>bokeum>gui>namul>jeon>jjigae>jjim>fried. The average salt and sodium contents of 1 potion of menu ite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der of jjigae>mandu>guk>bap>jorim>pickled>bokeum>gui>fried>jjim>gimchi>namul>jeon. The average salt contents of kim-chijjigae (6.05 g), eggjorim (7.01 g), cooked namul (2.78 g) and salted pepperleaves (4.67 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menu items served frequently in the establishment. The average intake of salt and sodium was 23.48 g (sodium 9,310 mg) a day, 7.35 g (sodium 2,960 mg) with breakfast, 7.55 g (sodium 2,990 mg) with lunch and 8.33 g (sodium 3,300 mg) with dinner. The daily salt intak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 PDF

약선(약선)을 이용한 건강 기능식 개발에 관한 연구 - 중국 문헌을 중심으로 - (Studies on Development of Functional Herbal Food Based on Yaksun - Focusing on the Relevant Chinese Literature -)

  • 박건태;김도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1-202
    • /
    • 2003
  • 21세기 화두를 한마디로 말하면 건강일 것이다. 건강을 위해서 각종 운동 방법 및 운동기구와 건강 보조식품의 판매가 급성장을 하고 있으나,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 즉 식단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예전에 비해 먹거리인 식재료는 매우 풍부해졌으나 영양 불균형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이며, 잘못된 식생활 습관으로 발생하는 만성질환인 성인병과 생활 습관병의 발생은 심각한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식품도 이젠 맛, 영양을 강조하던 단계에서 인체의 생리적 기능 항진과 질병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기능성 식품으로 발전하고 있다. 약선은 동양철학 및 동양 의학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의학과 화려한 음식 문화가 만들어낸 것으로 음식에 한약재의 유용성분을 넣어 기능성을 살린 먹거리로 한의학의 약식동원을 기본 이론으로 하고 있다. 중국약선에서는 식품을 차거나 시원한 식품인 한량(한량), 따뜻하거나 뜨거운 (온열) 식품, 즉 한(한), 량(량), 온(온), 열(열) 4가지로 분류하고, 쓴맛(고), 단맛(감), 매운(신), 짠맛(함), 신맛(산) 등 5가지 기본맛으로 식품을 구분하고 있다. 약선식품의 작용은 질병의 예방과 신체 장기를 자양하거나, 기혈, 골격, 피부 등을 자양하고, 노화방지와 질병의 치료작용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궁중음식원과 산사 음식에서 약선 개념을 도입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체계적인 이론 정립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본 연구를 통해 궁중의 약선 관련 문헌을 고찰해 보고,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약선의 도입과 연구발전에 필요한 기본자료로 제공하고, 약선을 이용한 새로운 건강 기능성 조리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PDF

1999년 몬트리올 협약상 "사고"의 새로운 개념에 대한 고찰 - GN v. ZU, CJEU, 2019.12.19., C-532/18 - (On the Novel Concept of "Accident" in the 1999 Montreal Convention -GN v. ZU, CJEU, 2019. 12. 19., C-532/18-)

  • 안주연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40
    • /
    • 2020
  • 국제항공운송에서 운송인의 책임을 규율하는 1929년 바르샤바 협약과 1999년 몬트리올 협약의 "사고"는 운송인의 배상 책임을 결정하는 중요한 판단 기준임에도 불구하고, 조문상 명시된 바가 없어 법원의 판단과 해석에 상당 부분을 위임하고 있다. 바르샤바 체제에서 몬트리올 협약의 체결에 이르기까지 협약의 목적이나 사정 등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협약상 "사고"의 개념은 논의되지 않았으며, 심지어 몬트리올 협약이 채택된 이후에도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는 점에는 논쟁의 여지가 없었다. 이와 연관하여 미국 연방 대법원의 "Air France v. Saks" 판결은 "사고"의 개념을 명확히 하였으며 현재도 중요한 선례로써 인용되고 있다. 최근 유럽 사법재판소는 GN v. ZU 판결에서 몬트리올 협약상 "사고"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다. "사고"는 "일반적 의미를 적용해야 하며, 이는 항공기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이전 선례에서 논쟁이 있었던 "항공과 연관된 위험"의 여부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러한 해석은 몬트리올 협약과 유럽연합 규칙(Regulation EC: No.889/2002)의 기본 이념인 "소비자 이익 보호"에 초점을 맞추어 "사고"의 개념을 확대한 것으로 합리적인 예측이 가능하다. 유럽 사법재판소의 "사고"에 대한 자체적인 해석은 "운송인 보호"에 중점을 두었던 바르샤바 협약과 "Saks" 판결에서의 사고의 정의에서 탈피하여 "여객 보호" 중심의 몬트리올 협약에 기준을 맞추고 있으며, 법원의 판단영역과 운송인의 위험관리 책임을 확대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유럽 사법 재판소의 "사고"에 대한 해석은 "여객 보호"의 측면에서 몬트리올 협약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고"의 확대해석으로 고려하여야 할 문제점이 상존한다. 첫째, 협약의 기본 취지인 항공운송인과 여객의 '공평한 이익 분배'와 관련하여 '여객 보호'에 치우쳤다는 점에서 '균형성'에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유럽연합 내 국가를 취항하는 자국의 항공사가 많다는 점에서 막대한 손실이 예상된다. 셋째, 유럽과 미국의 "사고"를 해석함에 있어 간극이 발생하며, 이는 협약의 기본이념인 "규칙의 통일성"에 문제가 제기된다. 넷째, 유럽 사법재판소의 "사고"의 해석은 '항공기 운용과의 연관성' 및 '항공기 내의 상황'만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적용 범위에 의문이 제기된다. 대상 사안에서 유럽 사법재판소는 몬트리올 협약상 "사고"의 새로운 판단 기준을 최초로 제시하였는바, "사고"의 해석에 대한 논점을 제시하므로 추후 판례 변화를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항공운송인의 위험관리에 대한 무한책임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체제 개편을 실시함으로써 여객의 안전을 위해 적극적인 자구책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7-335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 "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9-497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The Empirical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between Costco Wholesale Members and Non-Members

  • KIM, Jae-Jin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9호
    • /
    • pp.25-33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eek to find out what factors having differences between paid membership customers (Costco membership) and general customers in retail industry. Since Costco operates differently from other conventional retailers, which is expected to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consumers' preference of retail stor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conducted covered 1,000 adults in their 30s~50s living in Goyang and Gwangmyeong where Costco runs store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stco's local market-entry from consumer perspectives. 500 respondents were surveyed in each region and those working in the retail sector were excluded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answers. Results - Costco members in Goyang considered the price, bulk purchasing, and membership benefits as important criteria when choosing their retail store. On the other hand, as for Gwangmyeong, the non-member group's prominent characteristic was that they considered accessibility including travel distance and location and in-store amenities including food court services as important criteria for decision-making. Conclusion - Unique business model of Costco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onsumer awareness. the feature of Costco served as an critical criteria for consumers in their purchasing decision. Moreover, Bulk packaging purchases at Costco results in a strong supplementary relationship with neighborhood supermar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