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contamination

검색결과 1,032건 처리시간 0.036초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이용한 대구 지역 주부들의 식품 위해요소에 대한 위험 지각 수준 및 우려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Levels of Risk Perception using Psychometric Paradigm and Factors Affecting Concerns about Food Risk Elements of Housewives in Daegu)

  • 김효정;한진영;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91-702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of risk perception of food risk elements by adopting a psychometric paradigm and analyzed factors affecting concerns about food risk elements to obtain basic materials for food safety poli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96 housewives in Daegu, Korea,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y distribution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y SPSS 21.0. The mean level of concern for food safety was 3.75/5.00 points, and the mea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bout heavy metal contamination was highest among food risk elements. The respondents perceived radioactive contaminated foods, GM foods, and endocrine disruptors as a new, delayed, scientifically unknown, involuntary, serious, and uncontrollable risk in risk percep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risk perception, two factors such as non-controllability and dread were categorized. In the risk perception map, radioactive contaminated foods and GM foods were considered as an uncontrollable and dreaded risk, heavy metal contamination, endocrine disruptors, and pesticide residues as a controllable and dreaded risk, and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as a controllable and less dreaded risk. On the other hand, the levels of concerns about food risk elements were higher in order of radioactive contaminated foods, GM foods, and endocrine disruptor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concern for food safety,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bout food risk elements, non-controllability, and dread influenced the concerns about food risk elements. These results imply that food safety policies should consider differences in consumer's risk perception of food risk elements.

김밥 전문음식점 내 작업 환경에서의 Listeria spp. 오염의 변화 (Changes of Contamination Level of Listeria spp. during the Processing Environments in Kimbab Restaurants)

  • 김지연;권일경;하승열;홍종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2-236
    • /
    • 2005
  • 김밥은 소비자가 즐겨 찾는 대표적인 RTE식품으로 전문음식점에서의 구입 및 섭취가 증가하면서 안전성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김밥 전문음식점의 오전과 오후 시간대의 작업 조건에서 Listeria spp. 오염 변화와 관련된 사항을 분석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관리되어야 할 내용을 파악하였다. 전체 264건의 시료 중 Listeria spp.는 114건($43.2\%$)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Listeria spp. 중 Listeria innocua 95건($83.3\%$), L. murrayi 18건($15.5\%$), L. grayi($0.9\%$)이 분리되었다. 인체 유해균인 Listeria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모든 작업 환경에서 오전보다 오후 시간대의 오염수준이 더 높았으며(P < 0.05), 김밥 제조 과정에서 작업 도구의 세척$\cdot$소독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김밥은 열처리 없이 그대로 섭취하므로 식재료 및 도구의 초기 오염 관리와 제조된 김밥의 보존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김밥 전문음식점에서의 식재료 준비 단계에서부터 오염 발생 요인을 제거하고, 준비된 식재료의 보관 온도 준수, 도마, 칼, 장갑 등의 세척$\cdot$소독 및 교환 횟수 준수, 식재료 보관 용기가 포함된 김밥 제조대의 오염 차단 설계, 특히 식품 취급 종업원이 위생수칙을 준수하도록 위생관리 지침 및 위생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위생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김밥 전문음식점의 현실에 맞는 Good Hygienic Practices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시판 김밥을 포함한 즉석조리 식품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조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통 중인 새우젓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및 안전성 평가 (Assessm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Safety of Commercial Shrimp Jeotgal (Salt Fermented Shrimp))

  • 하지형;문은숙;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5-109
    • /
    • 2007
  • 본 연구는 젓갈류 식품 중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새우젓의 미생물 오염도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재래시장(3곳), 백화점(3곳), 대형할인마트(3곳) 총 9곳에서 구입한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S. aureus의 오염도와 식염 및 중금속(Pb) 함량을 조사하였다. 총호기 성균의 오염수준은 평균 $3.35log_{10}CFU/g$를 나타냈고, 판매유형별로 비교하면 재래시장이 평균 $3.71log_{10}CFU/g$로 가장 높았으며, 백화점이 $3.16log_{10}CFU/g$, 대형할인마트가 $2.84log_{10}CFU/g$ 순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 오염수준은 16개 제품 중 8개(50%) 제품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S. aureus는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염의 함량은 평균 $23.8%(17,9{\sim}28.3%)$로 나타났으며 중금속(Pb)은 단 1개의 제품에서 기준치 이하인 0.02ppm이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새우젓의 위생 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판매유형별로 비교할 때 재래시장의 위생적 관리제도가 취약함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면서 젓갈류에 대해서도 HACCP 수준의 위생관리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국내 유통 중인 인삼 및 인삼 제품류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Distributed in Korean Markets)

  • 심원보;김정숙;김세리;박기환;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9-323
    • /
    • 2013
  •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인삼 및 인삼 제품류의 미생물 오염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충남 금산과 진주 인근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인삼 및 인삼 제품류 81점에 대해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수삼이 3.19~7.02 log CFU/g로 오염도가 가장 높았고, 백삼에서는 0.25~7.31 log CFU/g, 홍삼에서는 0~2.89 log CFU/g, 홍삼음료에서는 0~1.70 log CFU/mL 범위의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홍삼음료를 제외한 수삼, 백삼 및 홍삼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다. 그 오염 수준은 수삼의 경우 91.9%(34/37)에서 2.41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백삼은 53.3%(8/15)에서 0.98 log CFU/g, 홍삼은 13.3%(2/15)에서 0.50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곰팡이의 경우 수삼에서만 0.72~5.54 log CFU/g범위로 검출되었고, 나머지 백삼(73.3%), 수삼(73.3%), 홍삼음료(21.4%)는 1 log CFU/g or mL 이하의 매우 낮은 수준의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유통 중인 인삼 및 인삼 제품류의 미생물 오염도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일부 제품은 인삼류 제품 검사기준을 초과한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한 위생관리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냉동가공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수산 냉동식품의 오염 상태 조사 연구 (A Study on Consumer's Recognition of Frozen Processed Foods and Contamination Levels of Frozen Seafoods)

  • 강수정;김옥선;손시혜;유혜민;이지원;정수영;조아영;윤기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73-883
    • /
    • 2008
  • In this study, we assessed consumers' recognition of frozen foods via a survey study, and monitored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in imported and domestic frozen seafoods obtained from five whole sale markets in Seoul. A questionnaire used to assess the perception of frozen food safety and the attitude towards frozen food usag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350 adults. A total of 324 questionnaires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a chi-square test, using SPSS for Windows. The results of our survey study demonstrated that 44.6% of the respondent consumed frozen processed foods two to three times per month, with dumplings being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70.5% of the respondents selected "convenient cooking" as the principal reason for their frozen food purchases. 58%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frozen processed food is not safe to eat as the result of food additives and changes in quality during the shelf life period. Consumers most profoundly preferred frozen seafood originating from America, and preferred that from China least profoundly (81.2%). Microbiological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aerobic plate counts of frozen seafood, regardless of origin, fulfill the standard requirements except for one frozen clam (6.6 Log CFU/g), which was a heated-frozen domestic product. In addition, E. coli was isolated from frozen cooked mussels, frozen raw clams and squids, thus indicating that more strict hygienic regulation for frozen seafoods will be necessary to protect the consumer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 PDF

귀리, 수수, 율무, 기장의 수확기에 발생하는 Fusarium 곰팡이독소 오염도 조사 (Survey on Fusarium Mycotoxin Contamination in Oat, Sorghum, Adlay, and Proso Millet during the Harvest Season in Korea)

  • 이미정;위치도;함현희;최정혜;백지선;임수빈;이데레사;김점순;장자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22
    • /
    • 2020
  • 잡곡의 Fusarium 곰팡이독소의 오염 조사를 위해, 총 244개 잡곡시료(귀리, 수수, 율무, 기장)를 수확기 포장에서 2017년과 2018년에 수집하였다. 데옥시니발레놀(DON), 니발레놀(NIV), 제랄레논(ZEA)은 면역친화컬럼법과 U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푸모니신(FUM)은 QuEChERS 방법과 L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잡곡 시료 중 귀리의 NIV 오염수준은 120.0-3277.0 mg/kg로 다른 잡곡에 비해 가장 높았다. 율무에서는 DON이 최대 730.0 ㎍/kg 검출되었다. 기장의 NIV과 ZEA의 오염빈도는 각각 61.5%와 57.9%로 높았으나 평균 오염량은 각각 75.6 ㎍/kg과 21.5 ㎍/kg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잡곡 시료 중 수수는 DON, ZEA, FUM의 오염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2 종 이상의 Fusarium 독소 중복 오염률이 70.0%로 잡곡 평균 29.9%에 비해 높았다. 잡곡 재배포장에서 Fusarium 독소오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독소 발생 모니터링과 함께 오염예방기술 개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Kimchi and Its Ingredients

  • Lee, Ji-Hyun;Ha, Ji-Hyoung;Lee, Hae-Won;Lee, Jae Yong;Hwang, Ye-Seul;Lee, Hee Min;Kim, Sung Hyun;Kim, Su-Ji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4-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 제조시 철저한 재료 세척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더불어 비가열 식품인 김치의 위생 안전성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미생물 저감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국내에서 유통되는 김치 원 부재료 200건의 세척 전과 후의 비교분석과 시판 김치 100건에 대하여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 대하여 일반세균수, 대장균 및 대장균군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병원성 미생물 9종(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정성 정량, Staphylococcus aureu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Campylobacter jejuni/coli,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정성)을 분석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서 일반세균은 1.4~9.0 log CFU/g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원 부재료 중 생강에서 8.8 log CFU/g, 완제품 중 총각김치에서 9.0 log CFU/g으로 일반세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0.5~7.3 log CFU/g으로 확인되었으며, 생강에서 7.3 log 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병원성 미생물 9종의 분석결과, Bacillus cereus를 제외한 나머지 8종의 식중독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김치 원 부재료들의 세척공정 후 미생물 수는 일반세균수 0.2~3.2 log CFU/g, 대장균군 0.3~2.7 log CFU/g, Bacillus cereus 1.0~3.9 log CFU/g 감소하였다. 따라서, 김치 원 부재료의 세척 공정으로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 시켰으며, 이 결과를 통하여 김치 완제품의 위생 및 저장성 증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Contamination Rates in Duodenoscopes Reprocessed Using Enhanced Surveillance and Reprocessing Techniqu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Shivanand Bomman;Munish Ashat;Navroop Nagra;Mahendran Jayaraj;Shruti Chandra;Richard A Kozarek;Andrew Ross;Rajesh Krishnamoorthi
    • Clinical Endoscopy
    • /
    • 제55권1호
    • /
    • pp.33-40
    • /
    • 2022
  • Background/Aims: Multiple outbreaks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due to contaminated duodenoscopes. In 2015,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commended the following supplemental enhanced surveillance and reprocessing techniques (ESRT) to improve duodenoscope disinfection: (1) microbiological culture, (2) ethylene oxide sterilization, (3) liquid chemical sterilant processing system, and (4) double high-level dis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impact of ESRT on the contamination rates. Methods: A thorough and systematic search was performed across several databases and conference proceedings from inception until January 2021, and all studies reporting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ESRTs were identified. The pooled contamination rates of post-ESRT duodenoscopes were estimated using the random effects model. Results: A total of seven studies using various ESRTs were incorporated in the analysis, which included a total of 9,084 post-ESRT duodenoscope cultures. The pooled contamination rate of the post-ESRT duodenoscope was 5% (95% confidence interval [CI]: 2.3%-10.8%, inconsistency index [I2]=97.97%). Pooled contamination rates for high-risk organisms were 0.8% (95% CI: 0.2%-2.7%, I2=94.96). Conclusions: While ESRT may improve the disinfection process, a post-ESRT contamination rate of 5% is not negligible. Ongoing efforts to mitigate the rate of contamination by improving disinfection techniques and innovations in duodenoscope design to improve safety are warranted.

식품 중 잔류농약의 분석 (Analysis of Pesticide Contaminants in Food)

  • 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0-93
    • /
    • 1993
  • Increasing Public Concern : Pesticide residue is probably one of the fastest growing problems in regard to environmental contamination. Pesticide use in agriculture in this century has produced certain benefits, including a decrease in crop waste and an increase in crop yields and food quality. However, pesticide use also creates problems of having effects on the environment and remaining in food chain. The presence of pesticide residue in food, water, and soil has aroused public concern over potential health hazards. Despite information provided by national and private level agencies suggesting that food is safe, consumer groups worldwide are demanding assurance as to the safely of agricultural products.

  • PDF

Status of Radiation Dose and Radioactive Contamination due to the Fukushima Accident

  • Baba, Mamoru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2호
    • /
    • pp.133-140
    • /
    • 2016
  • Backgrounds: The accident at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NPP), March 2011, caused serious radioactive contamination over wide area in east Japa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effect of the accident and the status of NPP. Materials and Methods: This paper provides a review on the status of radiation dose and radioactive contamination caused by the accident on the basis of publicized information. Results and Discussion: Monitoring of radiation dose and exposure dose of residents has been conducted extensively by the governments and various organizations. The effective dose of general residents due to the accident proved to be less than a mSv both for external and internal dose. The equivalent committed dose of thyroid was evaluated to be a few mSv in mean value and less than 50 mSv even for children. Monitoring of radioactivity concentration has been carried out on food ingredients, milk and tap water, and actual meal. These studies indicated the percentage of foods above the regulation standard was over 10% in 2011 but decreasing steadily with time. The internal dose due to foods proved to be tens of ${\mu}Sv$ and much less than that due to natural $^{40}K$ even in the Fukushima area and decreasing steadily, although high level concentration is still observed in wild plants, wild mushrooms, animals and some kind of fishes. Conclusion: According to extensive studies, not only the effect of the accident but also the pathway and countermeasures against radioactive contamination have been revealed, and they are applied very effectively for restoration of environment and reconstruction of th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