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licle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27초

초음파검사에 의한 소의 번식장애 감별진단 및 치료법 개발 1. 처녀젖소에서 발정주기의 16일째에 CIDR의 치료에 대한 난소구조물의 반응 (Development of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 of Reproductive Disorders Using Ultrasonography in Cows 1. Response of Ovarian Structures to CIDR Treatment at Day 16 of Estrous Cycle in Dairy Heifers)

  • 강현구;강병규;칠한선;중미역언;서국현;손창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1-139
    • /
    • 1998
  • Progesterone을 함유하고 있는 CIDR(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의 질내삽 입은 황체기를 인위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CIDR의 삽입이,삽입시 존재했던 우세난포 (dominant follicle)의 반응과 난포의 발육반응 그리고 2회 또는 3회의 난포주기를 가지고 있는 처려우에서 CIDR의 삽입기간동안 난포의 성장 및 발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검 토하기 위하여 배란후 16일째의 처녀우 4마리에 7일동안 CIDR를 삽입하였다. CIDR의 삽입 은 발정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그리고 발정주기의 길이를 정상 발정주기보다 유의성있게 연 장시켰다($26.3{\pm} 0.5 vs 20.8{\pm}$ 1.5일, p<0.05). CIDR의 삽입시 혈장 progesterone 농도는 $3.6{\pm}$ 2.7 ng/ml 이었으며, 17일과 23일 사이에는 2.1-4.4 ng/ml($3.6{\pm}1.2 ng/ml$) 사이를 유지했다. 혈 장 estradiol-179의 농도는 난포의 발육 및 배란전 배란난포의 성숙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래었다. 4마리의 처녀우중 2마리는 CIDR 삽입전 발정주기당 2회의 난포주기를 가진 반면, 나머지 2마리는 주기당 3회의 난포주기를 가졌다. 그렇지만 CIDR의 삽입기간동안 모든 처녀우는 주기당 3회의 발정주기를 가졌다. CIDR의 삽입전 발정주기당 3회의 난포주기 를 갖는 처녀우에서 CRR의 삽입은 세 번째 난포주기에서 배란성 우세난포의 우세기 (dominant phase)를 연장시켰다. 3회의 난포주기를 갖는 2마리에서 CIDR의 삽입후 배란난포 는 존속시간과 우세기가 유의성있게 연장되었다. CIDR의 삽입전 발정주기당 2회의 난포주기 를 갖는 다른 2마리의 처녀우에서 CIDR의 삽입후 우세난포는 곧바로 퇴행되었고 새로운 난 포주기를 형성하였으며, 우세난포의 우세기와 배란난포의 존속기간을 연장시키지 않았다. CRR의 삽입은 CIDR의 삽입후 이어지는 발정주기동안 난포의 발육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치 지 않았으며 발정주기의 길이, 난포주기, 혈장 progesterone 및 estradiol-179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황체기 후반부에 CIDR의 삽입은 CIDR삽입전 발정주기동안 3회 의 난포주기를 갖는 처녀우에서 배란성 우세난포의 발육과 배란까지의 기간을 연장시켰고 2회 난포주기를 갖는 처녀우에서는 우세난포를 곧바로 퇴행시킨후, 새로운 난포주기를 형성 하였다.

  • PDF

갑상선 질환들에서 여포세포의 HLA-DR발현 (Thyrocyte HLA-DR Expression in Variety of Thyroid Diseases)

  • 장은숙;손수상;조승제;김인호;김상표;강중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23
    • /
    • 1997
  • Although normal thyroid epithelial cells do not constitutively express HLA-DR antigen, their expression in wide spread within thyroid glands obtained from the human with autoimmune thyroid disease and with many neoplastic thyroids. We have, therefo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regard to the expression of HLA-DR antigen of thyroidectomy specimens from 50 patients of various thyroid diseases with use of paraffin-embedded tissue. One or two sections from each case were stain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mouse monoclonal antibody for class II HLA-DR antigen(HLA-DR/Alpha, DAKO) and examined by semiquantitative counting system for thyrocytes, neoplastic thyrocytes and other cells expressing HLA-DR antigen. All patients with lymphocytic thyroiditis(2/2) and diffuse hyperplasia(Graves' disease)(5/5), most patients with Hashimoto's disease(9/ll) expressed HLA-DR antigens in thyrocyte with abundant HLA-DR expressing lymphocytic infiltrates with lymph follicle formation in its vicinity or adjacent to the lesion. Most patients with papillary carcinoma(9/1l) had HLA-DR antigen detected in malignant thyrocytes ; while follicular carcinoma(0/3) and follicular adenoma(0/5) did not have detactable HLA-DR immunoreactivity. Adenomatous goiter(3/7) had HLA-DR antigen detected focally in lesser than half cases. Conversely, in four papillary carcinomas and three adenomatous goiters, HLA-DR expression of thyrocytes was found in the absence of HLA-DR expressing lymphoid infiltrates. In such cases therefore other factors more than thyroid autoimmunity must be causative for HLA-DR immunore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as follows. 1) The expression of HLA-DR on thyrocytes involved in autoimmune reactions appeared to be secondary to cytokine release from associated lymphocytic infiltrates. 2) Thyrocytes in thyroid lesions with equal degrees of lymphocytic infiltration without HLA­DR expression exhibited no HLA-DR immunoreactivity. 3) In neoplastic thyrocytes, most papillary carcinoma(9/11) exhibited detactable HLA-DR expression, while follicular carcinoma/adenoma(0/3/0/5) exhibited no detactable HLA-DR immunoreactivity which suggest the existence of divergent mechanisms inducing and modulating HLA-DR expression of different types of neoplastic thyrocytes.

  • PDF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으로 진단된 남성불임 환자에서 성선자극호르몬 (Gonadotropin) 치료가 정자형성 및 임신에 미치는 영향 (Outcome of Gonadotropin Therapy for Infertile Men wit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 주영민;김태홍;서주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3호
    • /
    • pp.219-224
    • /
    • 2009
  • 목 적: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은 남성불임의 흔치 않은 원인이다. 저자들은 성선자극호르몬 특히 인간융 모성선자극호르몬 (Human chorioinc gonadotropin: hCG)/인간폐경성선자극호르몬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hMG) 치료가 정자형성 및 임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2001년 1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불임을 주소로 내원하여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으로 진단되어 성선자극호르몬 (hCG/hMG) 치료를 받은 10명의 진료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 후 임신 여부를 알아보았으며, 치료 전 고환의 용적에 따라 10 cc 미만인 군 (n=4)과 10 cc 이상인 군 (n=6)으로 나누어 치료 전후의 정액지표와 혈중 FSH, LH 및 testosterone 등의 호르몬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10명의 환자 중 7명 (70%)에서 임신에 성공하였으며 치료 후 혈중 FSH, testosterone 수치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고환 용적이 큰 군에서 치료 후 정액량, 정자수, 운동성 및 testosterone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 불임을 주소로 온 환자에게 흔치는 않지만 면밀한 검사를 통해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을 진단할 수 있어야 하며, hCG/hMG 병합요법은 자연임신 뿐만 아니라 최근의 보조생식술과 연계하여 충분히 성공적인 치료에 도달할 수 있다.

당목향 뿌리 추출물의 인체 모유두세포 증식 및 모발 성장 관련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ussurea Lappa Root Extract on Proliferation and Hair Growth-related Signal Pathway in 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 최형철;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2권6호
    • /
    • pp.647-65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과 노말헥산을 이용하여 당목향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인체 모유두세포의 세포증식 및 모발성장 관련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당목향 뿌리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는 MTT assay를 실시하였으며, ERK, Akt, Wnt/𝛽-catenin 신호 경로, 5𝛼-reductase의 발현을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당목향 뿌리 추출물은 인체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ERK와 Akt의 인산화를 촉진하였으며, 당목향 뿌리 추출물에 의해 증가된 ERK, Akt 인산화 촉진과 세포증식은 MEK/ERK 억제제 PD98059와 PI3K/Akt 억제제 LY294002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당목향 뿌리 추출물은 GSK-3𝛽 (Ser9)의 인산화를 통한 𝛽-catenin(Ser552, 675)의 인산화를 촉진함으로써 핵 내의 𝛽-catenin 축적을 유도하였고, 5𝛼-reductase type I, II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종합적으로 당목향 뿌리 추출물은 모유두세포의 ERK, Akt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며, 𝛽-catenin 신호 경로 활성화 및 5𝛼-reductase 활성 억제를 통해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헤어케어제품의 소재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mprovement of conception rate on Hanwoo; The key hormones and novel estrus detector

  • Joo, Young Ho;Jeong, Seung Min;Paradhipta, Dimas Hand Vidya;Lee, Hyuk Jun;Lee, Seong Shin;Choi, Jeong Seok;Noh, Hyeon Tak;Chang, Hong Hee;Kim, Eun Joong;Kim, Sam Chur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6호
    • /
    • pp.1265-1274
    • /
    • 2021
  • Two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conception rate of Hanwoo cow. The first experiment ai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ondition of Hanwoo cows on estrus, including metabolic profiles and body condition score (BCS). The second experiment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novel estrus detector on the artificial insemination (AI) conception rate for Hanwoo cows. For the first experiment, 80 Hanwoo cows (2.5 ± 0.10 of parity), approximately one month before estrus, were housed in 16 pens and offered the experimental diets twice daily with free water access. The BCS were recorded, and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s just before AI. The collected blood was used to measure physiological conditions, such as metabolite and hormone levels. For the second experiment, each cow was equipped with a neck-mounted estrus detector collar, which had a sensor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pproximately one month before estrus, three hundred sixty Hanwoo cows (2.4 ± 0.21 of parity) were assigned into groups with or without W-Tag collar treatments. The animals were managed the same as in the first experiment. The pregnancy rate reached 55% in the first experiment. The concentrat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was higher (p < 0.012; 1.56 vs. 1.08 ng/mL) in cows that were not pregnant (NPG) than in cows that were pregnant (PG) after AI. The BCS and other concentrations of metabolites and hormones in the blood were not different in both NPG and PG cows. The ranges of estrogen, LH, and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or PG cows were 11.9 to 39.0 pg/mL, < 0.25 to 1.98 ng/mL, and < 0.50 to 0.82 ng/mL, respectively. In the second experiment, cows with the estrus detector had lower days open (p < 0.001; 78.1 vs. 84.8 d), insemination frequency (p < 0.001; 1.26 vs. 2.52), and return of estrus (p < 0.001; 70.9 vs. 79.1 d) than those in cows without the estrus detector.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lower LH concentration just before AI potentially increased the pregnancy rate of Hanwoo cows.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estrus detectors to Hanwoo cows could improve the conception success rate for AI.

Protectiv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against sub-acute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testicular damage in experimental rats

  • Lee, Sang-Ho;Choi, Kyung-Hwa;Cha, Kyu-Min;Hwang, Seock-Yeon;Park, Un-Kyu;Jeong, Min-Sik;Hong, Jae-Yup;Han, Chang-Kyun;In, Gyo;Kopalli, Spandana Rajendra;Kim, Si-Kw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125-134
    • /
    • 2019
  • Background: Excessive stress causes varied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disorders including male reproductive problems. Here,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KRG) against sub-acute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testicular damage in experimental rats. Methods: Male rats (age, 4 wk; weight, 60-70 g)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 = 8 in each group): normal control group, immobilization control group, immobilization group treated with 100 mg/kg of KRG daily, and immobilization group treated with 200 mg/kg of KRG daily. Normal control and immobilization control groups received vehicle only. KRG (100 mg/kg and 200 mg/kg) was mixed in the standard diet powder and fed daily for 6 mo. Parameters such as organ weight, blood chemistry, sperm kinematic values, and expression levels of testicular-related molecules were measur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kits, Western blotting,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Data revealed that KRG restored the altered testis and epididymis weight in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rats significantly (p < 0.05). Further, KRG ameliorated the altered blood chemistry and sperm kinematic values when compared with the immobilization control group and attenuated the altered expression levels of spermatogenesis-related proteins (nectin-2, 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1, and inhibin-${\alpha}$), sex hormone receptors (androgen receptor,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and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nd antioxidant-related enzymes (glutathione S-transferase m5, peroxiredoxin-4, and glutathione peroxidase 4) significantly in the testes of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rats. Conclusion: KRG protected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testicular damage and fertility factors in rats, thereby indicating its potential in the treatment of stress-related male sterility.

도라지 분획물의 항산화 및 탈모예방 효과 (Evaluation of Antioxidant Fractions and Hair Loss Prevention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 정민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79-784
    • /
    • 2019
  • 도라지의 탈모예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몇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도라지 분획물을 준비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두피혈관을 좁게 하여 모근으로의 영양공급을 방해함으로써 탈모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획물인 BF와 WF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값이 각각 16.2 mg/ml와 121.8 mg/ml로,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 실험결과에서도 BF와 WF 처리시 $IC_{50}$값이 각각 4.9 mg/ml와 39.8 mg/ml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피부세포인 HaCaT cell 증식 실험결과, 24시간 BF와 WF 처리 시 각각 최대 31%($1{\mu}g/ml$)와 18%($1{\mu}g/ml$)로 HaCaT cell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물이 피부재생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탈모의 원인중의 하나인 두피의 염증에 대한 분획물의 효능을 확인하고자, RAW264.7 cell을 이용하여 염증반응 생성물인 NO와 $PGE_2$ 생성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BF와 WF 각각 최대 88.5%($0.1{\mu}g/ml$)와 88.0%($50{\mu}g/ml$)까지 NO와 $PGE_2$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낭을 구성하는 모유두세포인 HFDPC cell 증식 실험 결과, 4, 48, 72시간 처리 시 모두 HFDPC cell 증식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 사용된 도라지로부터 추출한 부탄올 분획물과 물 분획물이 탈모예방에 효과적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부탄올 분획물이 탈모예방제품의 유용한 천연재료로써의 가치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Senecio iscoensis Hieron. 추출물의 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한 염증반응 억제효과 (Suppressive effect of Senecio iscoensis Hieron. extract in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

  • 신진학;이은혜;김선숙;이동근;노진경;서수련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06-212
    • /
    • 2019
  •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는 모낭과 모공 속에 존재하며 세포 찌꺼기, 피지 및 주변 피부 조직의 대사 부산물을 에너지와 영양소로 사용한다. 과도한 피지생성과 모낭의 막힘으로 피지 생성이 증가하면 P. acnes의 증식 및 성장을 유발할 수 있다. 모낭에 있는 P. acnes의 급속한 성장은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 손상, 신진 대사 부산물을 생성한다. 본 연구는 S. iscoensis Hieron. (S. iscoensis) 추출물이 P. acnes에 의한 염증반응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 신호 전달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S. iscoensis 추출물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서 P. acne에 의해 유도되는 IL-$1{\beta}$, TNF-${\alpha}$, iNOS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는 NF-${\kappa}B$와 NF-AT와 같은 전사 조절 인자의 활성화 저해를 통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MAPK 신호 전달 기전과는 상관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S. iscoensis 추출물이 여드름의 치료제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최초로 제안한다.

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한 염증반응에서 Eurya persicifolia Gagnep. 추출물의 억제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urya persicifolia Gagnep. extract in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inflammatory signaling by regulation of NF-κB activity)

  • 신진학;서수련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13-219
    • /
    • 2019
  • 여드름은 일반적인 피부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여드름은 모낭 내 피지선에서 나타나는 만성 염증 질환이다.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의 증식은 대식세포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도록 자극한다. 최근 연구에서 여러 천연 추출물이 P. acnes에 의해 매개되는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P. acnes에 의한 염증반응에서 E. persicifolia Gagnep. (E. persicifolia) 추출물의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 acnes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E. persicifolia 추출물의 항 염증효과를 조사하였다. P. persicifolia 추출물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서 P. acnes에 의해 유도된 IL-$1{\beta}$, IL-6, TNF-${\alpha}$ 및 iNOS와 같은 염증 매개체의 발현 수준을 억제하였다. 또한 E. persicifolia 추출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의 주요 조절인자인 NF-${\kappa}B$ 전사 활성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 결과는 P. acnes의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치료물질로서 E. persicifolia 추출물을 제안한다.

Detrimental effects of lipopolysaccharides on maturation of bovine oocytes

  • Zhao, Shanjiang;Pang, Yunwei;Zhao, Xueming;Du, Weihua;Hao, Haisheng;Zhu, Huab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8호
    • /
    • pp.1112-1121
    • /
    • 2019
  • Objective: Gram-negative bacteria lipopolysaccharide (LPS)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uterine impairment, embryonic resorption, ovarian dysfunction, and follicle retardation. Her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toxic effects of LPS on the maturation ability and parthenogenetic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oocytes. Methods: First, we developed an in vitro model to study the response of bovine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to LPS stress. After incubating germinal vesicle COCs in $10{\mu}g/mL$ of LPS, we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LPS receptor toll-like receptor 4 (TLR4) in COCs, activities of intracellular signaling protein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38 MAPK) and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and the concentrations of interleukin (IL)-$1{\beta}$,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L-6. Furthermore,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LPS on the maturation ability and parthenogenetic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oocyt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LPS treatment significantly elevated TLR4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in COCs. Exposure of COCs to LPS also resulted in a marked increase in activity of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rotein p-p38 MAPK and NF-${\kappa}B$. Furthermore, oocytes cultured in maturation medium containing LP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s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beta}$, TNF-${\alpha}$, and IL-6. LPS exposu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irst polar body extrusion rate. The cytoplasmic maturation, characterized by polar body extrusion and distribution of peripheral cortical granules, was significantly impaired in LPS-treated oocytes. Moreover, LPS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and the relative mRNA abundance of the antioxidants thioredoxin (Trx), Trx2, and peroxiredoxin 1 in oocytes. Moreover, the early apoptotic rate and the release of cytochrome 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ponse to LPS. The cleavage, morula, and blastocyst form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oocytes exposed to LPS, while the incidence of apoptotic nuclei in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an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LPS impairs maturation potential in bovine oocy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