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ide releasing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iveness of caries-preventing agents on initial carious lesions within the scope of orthodontic therapy

  • Park, Kyung-Jin;Kroker, Tessa;Gross, Uwe;Zimmermann, Ortrud;Krause, Felix;Haak, Rainer;Ziebolz, Dir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46-253
    • /
    • 2019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ree different caries-preventing agents on artificial caries in a Streptococcus mutans-based caries model. Methods: Sixty-five caries-free human molar enamel blocks were treated with a demineralization solution and a remineralization solution. The specimens were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according to the caries-protective product applied: group A, chlorhexidine varnish; group B, fluoride-releasing chemically cured sealant; group C, fluoride-releasing lightcured sealant; group D, positive control (specimens that were subjected to de- and remineralization cycles without treatment with any caries-protective agents); and group E, negative control (specimens that were not subjected to de- and remineralization cycles). Samples in groups A-D were stored in demineralization solution with S. mutans and thereafter in artificial saliva. This procedure was performed for 30 days. Average fluorescence loss (${\Delta}F$) and surface size of the lesions were measured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at baseline and on the 7th, 14th, and 30th days. Results: After 30 days, group A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ΔF and the surface size of the les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negative control group. Group B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both parameters at any of the measurement points. While group C showed increased ${\Delta}F$ after 14 days, no significant fluorescence change was observed after 30 days. Conclusions: Both fluoride-releasing sealants (chemically or light-cured) show anti-cariogenic effects, but the use of chlorhexidine varnish for the purpose of caries protec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수종의 불소방출 수복재의 탈회억제 효과 및 불소침투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F DEMINERALIZATION INHIBITION EFFECT AND FLUORIDE UPTAKE INTO ADJACENT TEETH OF LIGHT-CURED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S)

  • 김송이;최성철;김광철;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8-297
    • /
    • 2010
  • 자이오머(Giomer)는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에 견줄 만큼 불소방출량이 많다고 하나, 우식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많지 않아 임상적용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이오머(BF 군)를 포함하여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FF 군), 콤포머(DA 군)와 대조군인 콤포짓(FZ 군)의 우식억제 효과와 주변 치질로의 불소침투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과 전자탐침미세분석기를 이용하여 각 수복재의 우식예방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복물 주위 이차 인공우식에서 법랑질 외측병변의 깊이는 FZ 군에서 가장 깊었으며, BF 군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p<0.05). 2. 수복물과 법랑질 계면에 나타난 탈회억제층의 두께를 관찰한 결과 FZ 군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FF, DA, BF 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법랑질에 침투된 불소농도는 BF, FF, DA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상아질에 침투된 불소농도는 DA, BF, FF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상아질-수복물의 접착 계면에 영향 받는 것으로 보인다.

S-PRG filler를 포함한 치면열구전색제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미생물 특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it and Fissure Sealant Containing S-PRG filler on Streptococcus mutans)

  • 안진선;박호원;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2-311
    • /
    • 2015
  • 본 연구는 Planktonic growth inhibition test와 CDC Biofilm Reactor를 사용한 Biofilm assay를 통해 S-PRG filler를 함유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S. mutans에 대한 항미생물 효과를 기존의 치면열구전색제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S-PRG 필러를 함유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BeautiSealant, 불소를 방출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Clinpro$^{TM}$ sealant, 불소 미방출 치면열구전색제인 Concise$^{TM}$ sealant를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성장억제평가를 위해 치면열구전색제를 사용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3개의 실험군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 단위를 보였고, Clinpro$^{TM}$ sealant가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보다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 단위를 보였다.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오 필름 평가에서도 Clinpro$^{TM}$ sealant군이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군들에 비해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을 보였으며,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S-PRG filler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BeautiSealant는 기존의 불소방출 치면열구전색제에 비하여 낮은 항미생물 효과와 높은 바이오 필름 형성능을 보였다.

불소함유여부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Fluoride-Containing Sealant and Non-Fluoride Containing Sealant)

  • 허선;권선자;김재곤;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89-501
    • /
    • 1996
  • This study was to evaluate shear bond strength of fluoride-releasing sealant and nonfluoride releasing sealant to enamel surface of bovine tooth. 80 extracted bovine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and four kinds of sealants including Teethmate-A(Kuraray Co.), Teethmate-F(Kuraray Co.), Helioseal(Vivadent Co.), Helioseal-F(Vivadent Co.) were bonded to exposed enamel surfaces using silicon plate. Shear bond strength was determined in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of 1mm/min. Then, the fracture surfaces of test specimens were investigat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 Teethmate-A(18.31MPa), Teethmate-F(11.90MPa), Helioseal (11.74 MPa), Helioseal-F(10.64MPa). 2. The shear bond strength of Teethmate-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eethmate-F(P<0.05), but Helioseal and Helioseal-F didn't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P<0.05). 3. According to the SEM, Teethmate-A group showed cohesive failure, and Teethmate-A group & Helioseal group showed mixed pattern of cohesive and adhesive failure and Helioseal-F group showed adhesive failure.

  • PDF

수종의 수복재의 불소 적용법에 따른 불소 유리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FLUORIDE RELEASE AND RE-UPTAKE CAPACITY OF SEVERAL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 이연호;유승호;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5-34
    • /
    • 2006
  • 불소는 구강내에서 치아 우식의 예방 및 초기 우식의 재광화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불소가 유리되는 수복물을 이용하게 되면, 수복물 주위의 이차 우식 및 구강내의 우식 감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소아치과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불소유리 수복재로는, 전통적인 글라스 아이오노머와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컴포머 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현재 소아치과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불소를 유리하는 수복재의 불소 유리량 및 불소 적용방법에 따른 불소유리량의 변화를 비교하고 확인하고자 한다. 복합레진으로 $Z-250^{TM}$ (Group I)과 컴포머로 $Dyract^{(R)}$ AP(Group II)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로 Fuji II $LC^{(R)}$ (Group III),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로 Fuji IX GP $Fast^{(R)}$(Group IV)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재료별로 동일한 크기의 디스크를 제작하여, 31일 동안 매일 새로운 용액으로 교환하면서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였다(실험 I). 이후 수복재료별로 불소 적용 방법에 따라 4군으로 나누는데, A군은 대조군(No treatment)으로, B군은 불소가 함유된 치약(500ppm, Stages, $Oral-B^{(R)}$, Holland)을 3분간 3회 적용하고, C군은 1.23% APF Foam(1000ppm, Sultan Topex, #31150, Canada)을 1회 적용하며, D군은 B군과 동일한 치약을 3회 적용하고, 1.23% APF Foam을 1회 적용하였다. 불소 적용 후 7일 동안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였다(실험 II). 실험 I에서, 실험 개시일부터 7일까지 불소 유리량이 급속히 감소하고, 이후 일정한 불소 유리량을 보였다. III군 (Fuji II-$LC^{(R)}$)과 IV군 (Fuji IX GP $Fast^{(R)}$)이 다른 군에 비해 높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으며, III군과 IV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II에서, 불소 적용 후 II, III, IV군에서 불소 유리 량이 증가한 양상을 보이는데, II군에서는 불소 적용 후 2일, III군에서는 5일, IV군에서는 4일부터 초기 불소 유리량 수준으로 돌아갔다.

  • PDF

불소를 함유한 PVA 고분자 접착 테잎의 불소 유리 효과 (THE FLUORIDE RELEASING EFFECT OF PVA FLUORIDE-POLYMER ADHESIVE TAPE)

  • 임성옥;이상호;이난영;박승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7-33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체 안정성이 입증된 고분자제제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로 얇은 박막을 제조하고 NaF을 첨가하여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을 개발하여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불소바니쉬(Cavityshiled$^{TM}$, 0.25 ml, Group 1)와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 Trial product, $1\;cm^2{\times}$ 12개, Group 2)을 각각 10명씩 치과대학 남학생의 치아(상악 12개, 순면)에 도포 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비자극성 전타액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도포 후 30분과 1시간에서는 1군이 2군보다 높은 타액 내 불소농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도포 후 2시간, 3시간, 4시간에서 2군이 1군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p<0.05). 3. 도포 후 24시간 이후부터는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폴리비닐알코올 기반 고분자 불소 함유 테이프의 구강 내 불소 유리 성능 평가 (EVALUATION OF FLUORIDE-RELEASING CAPACITY FROM POLYVINYL ALCOHOL POLYMER TAPE SUPPLEMENTED WITH NAF IN ORAL CAVITY)

  • 이가영;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9-97
    • /
    • 2013
  • 연구의 목적은 인체 안정성이 입증된 고분자제제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로 얇은 박막을 제조하고 불화나트륨(NaF)을 첨가하여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이프(NaF-PVA)를 개발하여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제제 도포 전후의 타액 내 불소농도를 분석하여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이프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불소겔(60seconds taste$^{(R)}$, Group 1), 불소바니쉬(FluoroDose$^{(R)}$ varnish, Group 2)와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이프(NaF-PVA, Tiral product, Group 3)를 각각 15명씩 상악 치아 12개의 순면에 도포 후,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후 비자극성 타액 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포 후 3시간까지 세 군 모두 불소제제 도포 전 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으며 3군의 경우 도포 후 6시간에서도 불소제제 도포 전 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다(p < 0.05). 도포 후 6시간에서 3군은 1군과 2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고 (p < 0.05), 1군과 2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Glass Ionomer 수복재의 초기 법랑질 우식증에 대한 효과 (THE EFFECT OF GLASS IONOMER ON THE REMINERALIZATION OF ADJACENT INITIAL ENAMEL CARIES LESION BY RELEASING FLUORIDE)

  • 박영수;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9-538
    • /
    • 2002
  • 불소의 항우식 작용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으며, 소아치과 임상에서 다량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는 글라스 아이오노머는 이러한 이유로 선호되고 있다. 유리된 불소가 인접 법랑질의 항우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in situ 모형을 제작하고, 불소의 침투 경로와 범위 그리고 재광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미세 경도 측정법, 편광 현미경 관찰 및 전자 탐침 미소 분석 (EPMA, Electron Probe Micro-Analysis)을 시행하였다. 전통적인 글라스 아이오노머인 Fuji $IX^{(R)}$과 불소를 포함하지 않은 복합 레진인 $Z-100^{(R)}$을 선정하여 미세 경도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복합레진에 비해 글라스 아이오노머에 의한 재광화가 가속화됨을 알 수 있었다. 편광 현미경 소견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구강내 환경에서도 초기 법랑질 우식증이 재광화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과정은 불소에 의해 촉진될 수 있음을 재삼 확인하였다. 전자 탐침 미소 분석 (EPMA) 관찰 결과, 구강내 환경에서 병소 본체 크기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불소에 의해 가속화됨을 확인하였다. 불소 분포 관찰 결과 농도가 기저부에서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저부가 항우식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기 법랑질 우식증은 구강내 환경에서 타액에 의해 재광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인접치아에 충전된 글라스 아이오노머로부터 유리된 불소에 의해 더욱 가속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글라스 아이오노머로부터 유리된 불소는 병소 본체 기저부에 침착되어 항우식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해서는 건전 표층의 존재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Octahedral Nanostructured PbF2

  • Lee, Joon-Ho;Choi, Jin-Sub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2호
    • /
    • pp.463-466
    • /
    • 2011
  • In this work, we investigate anodization of Pb in ethylene glycol containing small amount of $NH_4F$, demonstrating that ${\beta}-PbF_2$ particles with octahedral morphology can be prepared by adjusting the applied potential and anodizing time. FE-SEM images and XRD measurements of anodic nanostructures as a function of anodizing time clearly show that PbO is first formed on Pb. Subsequently, a local dissolution of PbO leads to formation of skeleton structure of PbO, releasing $Pb^{2+}$ ions in the electrolyte. The lead ions can be precipitated on the walls or intersection of the skeleton walls when the concentration of lead ions is saturated. The method described in this article shows the feasibility of formation of metal fluoride crystal by anodization of metal in a fluoride containing solution.

수종 수복재에 불소 도포제 적용 후 불소유리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FLUORIDE RELEASE AND RE-UPTAKE OF SEVERAL RESTORATIVE MATERIALS)

  • 김수연;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8-419
    • /
    • 2007
  • 본 연구는 불소 유리 수복재의 불소 유리 및 재흡수 양상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복 후 45일간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고, 이후 APF 젤과 불소 바니쉬 도포 후 재흡수된 불소의 유리 양상과 주사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시편의 표면 거칠기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복합레진, 유동성 복합레진, 컴포머,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를 시편으로 제작하여 시편에서 방출되는 불소의 양을 처음 일주일 동안은 1일 간격으로 측정하고 8일에서 38일 사이는 3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불소가 완전히 유리된 후 APF 젤과 불소 바니쉬를 도포하여 4주간 불소 유리의 변화와 주사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시편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불소 유리 수복재에서 38일 동안 불소 유리는 유동성 복합레진은 1 ppm이하로, 컴포머는 1-2 ppm, 글라스 아이오노머는 2-8 ppm 으로 지속적인 유리가 관찰되었고, 실험 45일 경과 후 불소 유리는 거의 되지 않았다. 2. 불소 도포 후의 불소 유리는 불소 바니쉬보다 APF 젤 도포 후가 증가되었다. 불소 도포 첫날의 불소 유리에서 불소 바니쉬는 0.6-0.2 ppm, APF 젤은 0.6-2.6 ppm으로 유의 할 만한 차이를 보였고 (p<0.05), 나머지 4주간은 대부분 비슷한 정도의 유리를 보였다. 3. 주사전자현미경적 소견은 불소를 도포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불소를 도포시킨 실험군이 거친 표면을 나타냈다. APF 젤과 불소 바니쉬 도포 후 APF 젤보다 불소 바니쉬의 표면 거칠기가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