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escence Microscope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8초

레이저 형광법의 치아우식증 진단감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필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ILTERING SYSTEM OF LASER FLUORESCENCE FOR IMPROVEMENT OF THE DIAGNOSTIC SENSITIVITY FOR DENTAL CARIES)

  • 이상호;박종휘;국중기;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9-195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해 초기 치아우식증을 광학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진단감도를 높이는 것이다. 소의 치아를 STPP 인공우식병소 유발용액에 침잠시키고 다양한 깊이의 병소를 유발한 후 표면에 아르곤 레이저를 이용해 형광현상을 유도하고 여러 가지 필터를 부착한 CCD 카메라로 이와 같은 형광현상을 촬영하여 컴퓨터로 전송하였다. 컴퓨터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병소 표면에서의 광밀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필터는 노랑색, 호박색, 오렌지색, 그리고 빨강색이였으며 광밀도를 측정한 후에는 치아 시편을 절단하여 편광현미경으로 실제 조직학적 병소의 깊이를 측정하고 병소의 깊이와 여러 가지 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병소 표면에서의 광밀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직학적 병소의 깊이가 증가될수록 호박색과 오렌지색 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병소 표면에서의 광밀도는 증가되었다. 2. 병소 표면에서의 광밀도와 조직학적 병소의 깊이 사이의 상관계수는 오렌지색 필터가 가장 컸으며(r=0.49), 다음 호박색(r=0.32) 노랑색(r=0.13), 빨강색(r=0.01) 순 이였다. 3. 회귀분석결과 오렌지색 필터를 사용한 경우 병소표면에서의 광밀도와 조직학적 깊이 사이에 가장 직선에 가까운 회귀방정식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렌지색 필터가 건전치질과 우식치질 사이의 색조대비를 잘 표현하여 진단감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레이저 형광법으로 치아우식증의 조기탐지는 물론 비침습적 방법으로 치아우식증의 진행정도를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화제 결핍 상태의 프로판 층류 확산화염에서 LIF 이미지와 SiC 필라멘트 부착물의 형태 비교 (Comparison of Morphology of Deposits on SiC Filaments with LIF Image in Propane/Air Laminar Diffusion Flames in an Oxidizer Deficient Environment)

  • 심성훈;유창종;신현동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9
    • /
    • 2002
  • The morphology of deposits on $15-{\mu}m$ thin SiC filaments has been investigated with SEM and compared with UV-excited laser induced broadband fluorescences in co-flowing, propane laminar diffusion flames in a reduced oxidizer environment. The homogeneous morphology of droplet-like deposits inner flame zone and the agglomeration of condensed-phase deposits and the transition to soots from grown up droplet-like precursors with approaching the flame surface can be observed in a barely sooting flame. The average size of the mature soots deposited in the luminous flame edge is scarcely dependent on their axial position in a confined flame under reduced oxidizer condition. A double structure of PAH fluorescence is observed in near-extinction flames with further decreasing of oxidizer. A comparison of the PAH fluorescence with the morphologies of deposits indicates that appearance of the "dark" hollow zone is caused by a decreased number density of developed liquid-phase large molecules and the outer weak fluorescence zone is caused by the diffusion of gas-phase small molecules.

  • PDF

생체 다공성 매질에서 분자 확산 측정을 위한 영상 기반 형광 광표백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Image-based Fluorescence Photobleaching Technique for Measuring Macromolecule Diffusion in Biological Porous Medium)

  • 이동희;이정훈;박춘호;김중경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3
    • /
    • 2009
  • Fluorescence recovery after photobleaching (FRAP)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measurement of molecular diffusion in living cells and tissues. We developed an image-based FRAP (iFRAP) technique using a modified real-time microscope and a 488 nm Ar-ion laser. A fractional intensity curve was obtained from the time-lapse images of fluorescence recovery in the bleached spot to determine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fluorescently labeled macromolecules in porous medium. We validated iFRAP through experiments with agar gels (0.5% and 1.5% w/v) containing FITC-Dextrans (10, 70 and 500 kDa MW). Further validation was performed by a Monte Carlo approach, where we simulated the three-dimensional random walk of macromolecules in agar gel model. Diffusion coefficients were deduced from the mean square displacement curves and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ose measured by iFRAP.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을 처리한 대추나무 빗자루병 감염목의 병태해부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ies of Witches' Broom Infected Jujube Trees Treated by Oxytetracycline)

  • 임형빈;나용준;임웅규;장탁중;신재두;이순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1-108
    • /
    • 1985
  • 마이코플라스마(MLO)에 의한 빗자루병에 감염된 대추나무에 Oxytetracycline HCl(OTC)을 수간주입했을 때 일어나는 병태해부학적 변화를 광학현미경, 형광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건전엽에서와는 달리 이병엽의 주맥에서는 복, 배부의 유관동소신장부가 잘 발달되어 있는 반면 엽육세포들은 매우 작고 드물었으며 괴사되어 있었다. 또한 이병엽에서는 절부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본부의 분하는 억제되어 있었으며 polyphenol이 집적되어 있었다. 2,000ppm의 OTC용액 500ml를 수간주입한 대추나무는 약제주입부위의 상부에서 외관상 병징이 완전히 억제된 것으로 보였으나 유관동소신장부에 있는 세포들이 비대해져 있었으며 주맥의 2기사부에서는 사관이 괴사되어 있었다. MLO특이적 형광은 OTC 처리 감염목의 시료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반면, 무처리 MLO. 감염대추나무에서는 상당량의 MLO특이적 형광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감염목의 체관 및 반세포들이 붕괴되어 있었으며 유조직세포들은 커다란 전분립이 들어있는 원형질체를 갖고 있었고, OTC 처리조직들은 건전조직에 비해 비정상적인 전분축적을 나타냈다. 마이코플라스마는 감염조직의 성숙한 체관에서만 관찰되었으며 OTC 처리목의 체관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불소 바니쉬 재광화 효과의 분석 (THE ANALYSIS OF REMINERALIZATION EFFECT IN FLUORIDE VARNISH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 권지훈;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적으로 형성한 법랑질 초기 우식 병소를 불소 바니쉬로 재광화하여 그에 따른 무기질의 변화를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발거된 60개의 치아에 인공적으로 법랑질 초기 우식 부위를 형성한 후, 각 20개씩 3군으로 나누었다. 1군과 2군은 실험군으로 불소 바니쉬 도포후 각각 1주, 2주 동안 인공타액에 저장하여 재광화 했으며, 3군은 대조군으로 2주간 인공타액에 저장하였다. 그 후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에서 탈회 후 불소 바니쉬를 도포한(재광화) 부위의 형광강도는 탈회 부위보다 각각 통계적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 2. 불소 바니쉬를 도포하고 인공타액에 2주간 보관한 군이 1주간 보관한 군보다 불소 바니쉬 도포 부위의 형광강도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크게 나타났다(p<0.05). 3. 불소 바니쉬를 도포하고 2주간 인공타액에 보관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불소 바니쉬 도포 부위의 형광강도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크게 나타났다(p<0.05). 4.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통해 불소 바니쉬를 이용한 재광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서버 클라이언트 기반의 실시간 마이크로칩 형광 이미지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eal-time Analysis System of Microchip Fluorescence Images based on Server-Client)

  • 조미경;심재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239-1244
    • /
    • 2013
  • 임상 의료 분야에서 질병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분자 수준(프로틴, DNA 등)의 크기 뿐만 아니라, 세포 수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많은 경우 실험 샘플이 시간에 따라 변질되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빠른 분석과 실시간 데이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 마이크로 크기의 세포내 단백질이나 DNA의 변화 과정 등을 촬영할 수 있는 3차원 형광 관측 장치를 제작하고 이로부터 얻은 형광 이미지를 실시간 통합 관리 및 분석하기 위한 서버 클라이언트 기반의 형광 이미지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스템은 형광 관측 장치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형광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모바일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개발된 시스템은 의료인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응급환자의 샘플에서 획득한 형광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분석 및 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해 주므로 유비쿼터스 헬스 구현에 활용할 수 있다.

형광 이미징 시스템의 패키징 및 강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luorescence Imaging System Packaging and Optical Intensity Characteristics)

  • 김태훈;조상욱;박찬식;이학근;김두인;정명영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4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긴 작동거리(working distance, WD)를 가지는 근적외선 형광 이미징 시스템을 소개하고, gain, 노출시간, 작동거리, 확대배율 등 측정 변수에 의한 형광 영상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노출시간이 길수록, 확대배율이 클수록 형광신호는 더욱 강해지고, gain이 클수록 형광신호도 강해지지만, 배경신호도 함께 증가하여 SBR은 나빠질 수 있다. 제안한 시스템은 레이저 조사 방식으로 인해 작동거리가 짧은 경우 레이저 조사 영역의 강도 분포가 균일하지 못해서 형광신호가 약해지며,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대역통과필터의 기울임에 따른 형광 이미징 시스템 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Fluorescence Imaging System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ilting of Band Pass Filter)

  • 김태훈;조상욱;박찬식;이학근;김두인;정명영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5-8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형광 이미징 시스템의 대역통과필터의 회전에 의한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론적 모델을 통해 대역통과필터의 투과율 및 대역폭이 회전각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회전각에 따른 파장별 투과율 측정을 통해 이를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대역통과필터의 회전에 따른 특성변화를 이용하면 바이오 영상 장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시스템의 형광 신호를 더욱 강하게 하고, 양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섬유 보강 시멘트계 복합재료의 단면 이미지에서 섬유 검출을 위한 섬유 형광 특성 분석 (Fluorescence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iber Detection in Sectional Image of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

  • 이방연;박준형;김윤용
    • Composites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50-57
    • /
    • 2010
  • 섬유 보강 시멘트계 복합재료의 성능 예측 및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섬유 분포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복합재료의 단면 이미지에서 섬유를 정확히 검출하여야 한다. 이 논문은 형광원리를 이용하여 합성섬유를 매트릭스로부터 개별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섬유 보강 시멘트계 복합재료 중의 하나인 ECC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VA 섬유, PET 섬유, PE 섬유, 그리고 PP 섬유의 형광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된 경우 합성섬유들 간의 상대 형광 광도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종류별로 구분하기 위한 최적의 파장대를 선정하였으며, 그 파장대에서 두 분류대상을 구별할 수 있는 최적의 경계값을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섬유를 촬영하여 상대적인 밝기값을 비교하였다.

Repairing Damaged Hair Using Pentapeptides of Various Amino Acid Sequences with Crosslinking Reaction

  • Choi, Wonkyung;Son, Seongkil;Song, Sang-Hun;Kang, Nae Gyu;Park, Sun-gyoo
    • Korea Journal of Cosmetic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1-19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pentapeptides on hair repai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rising amino acids using crosslinking agents in hair. Total ten peptides were synthesized with two kinds of amino acids respectively, of which were previously categorized according to R group of the amino acids contributing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peptide: STTSS (Ser-Thr-Thr-Ser-Ser), LIILL (Leu-Ile-Ile-Leu-Leu), CMMCC (Cys-Met-Met-Cys-Cys), DEEDD (Asp-Glu-Glu-Asp-Asp), RKKRR (Arg-Lys-Lys-Arg-Arg), TAMRA-STTSS, TAMRA-LIILL, TAMRA-CMMCC, TAMRA-DEEDD, and TAMRA-RKKRR. Pentapeptide alone, or pentapeptides with crosslinking agents such as polymeric carbodiimide (PCI) and 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EDC) were treated to chemically damaged hair. Hair diameter and break strength (N = 40/case) were measured to calculate tensile strength of hair for computing hair repair ratio, and fluorescence yields (N = 20/case) were collected for hair treated with TAMRA-peptides. The tensile strength of hair treated with pentapeptides alone, or pentapeptides with cross-linking agents is consistent with the fluorescence yield from the microscope images of the cross-sectioned hair in vision and in numerical values. Pentapeptides consisting of hydrophobic amino acids (LIILL), amino acids with sulfur (CMMCC), and basic amino acids (RKKRR)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in perm-damaged hair. Pentapeptides with no extra carboxyl/amine groups in R group of amino acids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ir strength and fluorescence yield among hairs treated with alone and with crosslinkers. Pentapeptides with extra carboxyl groups or amine groups enabled further strengthening of hair due to increased bonds within the hair after carbodiimide coupling reaction. The hair repairs of pentapeptides with various amino acid sequences were studied using crosslinking. Depending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mprising amino acids, the restoration of damaged hair was observed with tensile strength of hair and fluorescence signals upon cross-sectioned hair in parallel to possibly understand the binding tendency of each pentapeptide within the h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