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 Experience

검색결과 647건 처리시간 0.028초

The Effects of Live Commerce's Experience Economy Factors on Consumer's Flow,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Na-eun Jung;Hyung-Seok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55-66
    • /
    • 2024
  • 본 연구는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의 체험요소(4Es)를 선정하고 체험요소, 몰입, 태도,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라이브 커머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mart PLS 4.0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체험요소에 해당하는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교육적 체험, 현실도피적 체험은 몰입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미적 체험과 현실도피적 체험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은 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라이브 커머스의 체험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및 마케팅 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WWW 항해시의 Flow 경험과 구매의도와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experience art purchase intention when navigating World Wide Web)

  • 김병철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9년도 제16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6-327
    • /
    • 1999
  • Nowadays, there is a huge need of an extensive study to understand features and behavior modes of consumers who have an indefinite potential of purchase and to make EC a bullish market, Recently, the flow construct has been proposed a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 on the cyber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To investigate (1) the effect of the flow experience when navigating Internet shopping-mall sites and Internet on purchase intention and relational factors of this (2) the difference in the flow experiences between during the time of navigating Internet and during the time of navigating Internet shopping-mall sites. (3) the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and relational factors of this between an experiential flow and a purposeful flow. The results show that (1) increase of the purchase intention on EC (or relational factors of this)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cognition of users' flow experience (2) By the separate motive of searching Internet shopping-mall sites, the flow experiences during the time of navigating Internet lead to different results (3) Although the difference in the purchase intention on EC between subjects is nonsignificant, it suggests that we need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urchase intention on EC and the purposeful flow experience on Internet shopping-mall sites is greater than any other correlation. In the end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페이스북 활용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한 실재감이 학습몰입경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Presence and Learning Flow Experience at University Classes Using Facebook)

  • 박혜진;유병민;차승봉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3호
    • /
    • pp.321-332
    • /
    • 2015
  •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se of social service in classroom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nce and learning flow, key words in the analysis of college classes using Face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ocial presence(${\ss}=.33$, p=.000), emotional presence(${\ss}=.29$, p= .000), cognitive presence(${\ss}=.20$, p= .010)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cognitive flow experience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Second, emotional presence(${\ss}=.42$, p=.000) and social presence(${\ss}=.27$, p=.000), cognitive, presence(${\ss}=.17$, p=.015)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emotional flow experience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Third, social presence(${\ss}=.37$, p=.000) of the three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behavioral flow experience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혼합현실 기술 사용자 체험이 플로우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ser Experience on Perceived Flow and Continuous Intentions to Use the Mixed Reality Technology)

  • 김은영;성희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907-921
    • /
    • 2021
  • This study aims to predic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xperience economy, perceived flow,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the mixed reality (MR) environment. A virtual fitting mirror with two modes (i.e., avatar and self-image) was selected for this study. A total of 200 samples was obtained in two sample frames: virtual fitting users in avatar mode (group 1, n = 119) and self-image mode (group 2, n = 8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 economy consists of entertainment, education, esthetic, and escapism. The entertainment and esthetic experi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flow, leading to continuous use intentions. For avatar mode, the entertainment and esthetic experi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use intention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and the education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intentions to use the MR technology. For self-image mode, the flow mediated the effect of entertainment on continuous use intentions, whereas education and escapism directly affected the intention to use the MR technology.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using MR technologies in fashion retailing.

PLC실습을 통한 몰입경험 (Flow Experience through PLC Practice)

  • 허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43-49
    • /
    • 2014
  • 몰입을 할 줄 아는 능력과 습관이 한 개인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청소년기로부터 성인 초기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는 대학생의 몰입 경험은 일차적으로 전공 탐구와 진로 결정에 크게 영향을 주고 향후 질 높은 삶이 전개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메카트로닉스공학부생들이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실습을 통하여 몰입을 경험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몰입 요건을 분석하여 PLC실습에서 몰입학습이 일어나도록 강의계획을 수립하고, 학습여건을 만들고, 수업 난이도를 조정하였다. 그리고 한 학기 동안 PLC실습을 수강한 학생들 90명에 대하여 Likert식 5점 척도 설문으로 몰입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플로우(Flow) 경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ow on Purchase Intension)

  • 김병철;최수호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3권2호
    • /
    • pp.17-45
    • /
    • 2002
  • 본 연구는 Flow 경험이 인터넷 사용자의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서 인터넷을 항해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기존의 구매의도 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고찰하기 위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 사용자의 (On-line)구매의도는 인터넷 사용자의 경험의 정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을 항해하는 동안 경험하게 되는 Flow는 인터넷 쇼핑몰을 탐색하는 동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Flow경험을 높게 인지한 사용자일수록 온라인을 통한 구매의도(또는 구매의도 관련변인)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을 통한 구매과정을 설명하는데 Flow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목적적 Flow를 경험하는 인터넷 사용자의 경우 Flow 변인이 다른 구매의도 관련 변인들(태도, 효용, 위험)보다 온라인을 통한 구매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Flow를 경험하는 인터넷 사용자는 인터넷 쇼핑몰을 구매장소로 인지하기 보다는 즐거움(fun)의 장소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폰 기반 경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몰입과 정서경험 분석 (Analysis of Flow and Emotion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 Among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s Based on Smart Phone)

  • 홍승표;유연환;권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27-2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경험표집법을 통해 학생들의 작업균형 유형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12명에게 하루 8회, 5일간 경험표집법을 시행하였다. 경험표집법을 통해서 외적경험으로는 주활동을, 내적경험으로는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 상태를 파악하였고, 주활동의 빈도수에 따라 작업균형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작업균형유형으로는 일상생활군 3명, 노동과다군 8명, 작업균형군 1명이었다. 일상생활군에서는 무관심을 경험한 활동이 34%로 가장 높았고, 노동과다군에서는 노동활동에서 몰입을 경험한 활동이 41%로 가장 높았다. 작업균형군에서는 노동과 여가활동의 빈도가 높았지만, 여가활동에서 지루함을 많이 경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주활동 시 몰입을 경험할 때 긍정정서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작업수행영역별 몰입경험에 차이가 있음과 몰입을 경험하는 활동 시 누적된 긍정정서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udy of User Reuse Intention for Gamified Interactive Movies upon Flow Experience

  • Han, Zhe;Lee, Hyun-Seok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7권4호
    • /
    • pp.281-293
    • /
    • 2020
  • As Christine Daley suggested, "interaction-image" is considered to be typical in the age of "Cinema 3.0", which integrates the interactivity of game art and obscures the boundary between producers and customers. In this case, users are allowed to involve actively in the scene as "players" to manage the tempo of the story to some extent, it, thus, makes users pleased to watch interactive movies repeatedly for trying a diverse option to unlock more branch lines.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ributory factors and effect mechanism of users' reuse intention for gamified interactive movies and offer specific concepts to improve the reuse intention from the interactive film production and operation perspectives. Upon integrating the Flow theor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separating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of key factors based on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the research builds an empirical analysis model for users' reuse intention with cognition, design, attitude emotional experience and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425 pieces of valid sample data applying SPSS22 and Amos23. The results show that user satisfaction and flow experience impact users' reuse intention highly an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remote perception, interactivity, and flow experience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experience.

관조에서 참여로: 관객참여가 미적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From Contemplation to Participation: Empirical Study on Effect of Audience Participation on Aesthetic Experience)

  • 장정;엄명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87-29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관객의 참여수준에 따른 미적경험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미적경험을 대변하는 변수로써 몰입경험과 미적거리가 활용되었다. 총 70명의 학부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몰입경험의 측면에서, 적극적 참여집단은 관조집단 및 소극적 참여집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몰입경험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조집단과 소극적 참여집단 사이에 몰입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심리적 거리를 의미하는 미적거리의 측면에서, 적극적 참여집단의 사람들은 관조집단과 소극적 참여집단에 비하여 예술작품과 심리적으로 더 가까운 거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극적 참여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관조집단 보다 더 가까운 심리적 거리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술가 및 예술조직에게 작품의 완성도뿐만 아니라 관객 유인력을 높이기 위한 함의를 제공한다.

모바일 콘텐츠 FLOW경험이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Flow Experience of Mobile Contents on Repurchase Intention)

  • 선창훈;문태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31-141
    • /
    • 2011
  • 본 연구는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의 활성화 및 사용자 수용을 보고자 기술수용 모델을 기본으로 Flow경험 변수를 추가해 사용자의 재 구매 의도를 연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360명의 모바일 사용자를 대상으로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모바일 콘텐츠의 애플리케이션 시장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용이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하며 모바일콘텐츠의 고객수용과 행위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