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of Presence and Learning Flow Experience at University Classes Using Facebook

페이스북 활용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한 실재감이 학습몰입경험에 미치는 영향

  • Park, Hye-Jin (Faculty Fundamental Educ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Yu, Byeong-Min (Educational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
  • Cha, Seung-Bong (Faculty Fundamental Educ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박혜진 (강릉원주대학교 기초교육원) ;
  • 유병민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
  • 차승봉 (강릉원주대학교 기초교육원)
  • Received : 2015.08.25
  • Accepted : 2015.09.20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se of social service in classroom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nce and learning flow, key words in the analysis of college classes using Face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ocial presence(${\ss}=.33$, p=.000), emotional presence(${\ss}=.29$, p= .000), cognitive presence(${\ss}=.20$, p= .010)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cognitive flow experience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Second, emotional presence(${\ss}=.42$, p=.000) and social presence(${\ss}=.27$, p=.000), cognitive, presence(${\ss}=.17$, p=.015)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emotional flow experience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Third, social presence(${\ss}=.37$, p=.000) of the three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behavioral flow experience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식, 김정겸, & 정회인. (2011). 대학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학습실재감, 몰입감, 학습만족도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1), 133-150.
  2. 강명희. (2005). 협력학습을 위한 Cybergogy 모델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3. 강명희 & 김민정. (2006).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규명, 교육공학연구, 22(4), 1-27.
  4. 강명희, 구한나, 문소영, 정지윤, & 김지심. (2007). 온라인 강의에서 내용제시유형이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155-181.
  5. 강명희, 한정선, & 김진희. (2012). 대학 봉사학습 과목에서의 페이스북 활용 효과. 교육방법연구, 24(4), 771-796.
  6. 고일상, 최수정, & 정경호. (2006). 웹 기반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몰입의 영향요인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6(1), 83-108.
  7. 고은현. (2007).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경숙 & 이성엽. (2011). SNS를 활용한 직장인 무형식학습 사례 연구: Facebook 활용을 중심으로. HRD연구, 13(4), 31-61.
  9. 김미경. (2012).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설계, 학습과제특성, 웹기반 학습환경이 학습자특성을 매개로 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수연. (2008). 이러닝 환경에서 감성지능, 이러닝효능감, 감성적 실재감, 학습결과 간의 관계규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유진 & 박주호. (2012).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3(3), 143-170.
  12. 김정화. (2010). 이러닝 환경에서 e-튜터의 학습지원이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의 하위 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지심. (2009).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권혁준 & 이인숙. (2004).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몰입, 정보처리 전략, 성취수준간의 관련성 규명. 교육공학연구, 20(4), 241-267.
  15. 계보경. (2007).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박성익 &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 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17. 박지언. (2007).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실재감에 의한 이러닝 학습자의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 예측.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찬욱, 현병언, & 박주영. (2013).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탐닉적 이용동기 및 확산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27(2), 331-354.
  19. 박혜진. (2008).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몰입과 인터넷 중독이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혜진. (2013).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박혜진 & 유병민. (2014).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4), 649-674.
  22. 유지원. (2011).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동기 요인, 심리적 중재 요인, 사회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시훈. (1999). 인터넷 광고효과의 인과적 모델에 관한 연구 : 플로우(flow) 경험의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이정민 & 오성은. (2013). 페이스북 기반 협력학습 성과를 예측하는 학습실재감 요인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305-316. https://doi.org/10.14352/jkaie.2013.17.3.305
  25. 이정민, 오성은, & 정현민. (2014).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각 실재감 하위요인의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예측. 교육방법연구, 26(3), 489-510.
  26. 이준엽. (2012). e-learning에서 고객지향성에 대한 지각이 감성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그리고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10(10), 139-146.
  27. 이지혜. (2009).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임걸. (2010).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 사례연구: 의사소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2(4), 91-114.
  29. 임걸, 강민석, & 신성욱. (2012). SNS 활용 요소 개발 및 IPA 방법에 의한 SNS의 교육적 활용 우선순위 규명. 교육공학연구, 28(4), 925-952.
  30. 장선영. (2013). 고등교육에서 이러닝 공개교육자료의 현 사용 실태를 통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KOCW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5(1), 289-315.
  31. 장은정 & 장혜정. (2013). SNS 기반 토론에서 SNS 도구, 창의적 토론 기법과 집단의 크기에 따른 SNS 토론전략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4), 693-721.
  32. 주영주, 김은경, & 박수영. (2009). 기업 사이버교육에 서 인지적 실재감과 몰입, 만족도, 지속의향과의 구조적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3), 21-38.
  33. 주영주, 하영자, 유지원, & 김은경. (2010).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2), 151-160.
  34. 진현승. (2012).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자가 지각한 유용성과 태도, 자아효능감이 학습몰입과 학습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페이스북(facebook)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황용석. (1999). 웹 이용과정에서 플로우 형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델의 구축.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Argyle, M., & Dean, J. (1965). Eye-contact, distance and affiliation. Sociometry, 28(3), 289-304. https://doi.org/10.2307/2786027
  37.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8. Bergman, S. M., Fearrington, M. E., Davenport, S. W., & Bergman, J, Z. (2011). Millennials,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hat narcissists do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wh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5), 706-711. https://doi.org/10.1016/j.paid.2010.12.022
  39. Biocca, F., & Harms, C. (2002). Defining and measuring social presence: Contribution to the networked minds theory and measure. Proceedings of Presence 2002, 7-36.
  40. Brady, K. P., Holcomb, L. B., & Smith, B. V. (2010). The use of alternative social networking sites in higher educational settings: A case study of the e-Learning benefits of Ning in Education. Journal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9(2), 151-170.
  41. Coates, H. (2006). Student engagement in campus-based and online education. New York, NY: Routledge.
  42.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3.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NY: Harper & Row.
  44. Csikszentmihalyi, M., Rathunde, K., & Whalen, S. (1993).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Garrison, D. R., Anderson, T., & Archer, W. (2000).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2), 87-105. https://doi.org/10.1016/S1096-7516(00)00016-6
  46. Garrison, D. R., Anderson, T., & Archer, W. (2001). Critical thinking, cognitive presence, and computer conferencing in distance educ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5(1), 7-23. https://doi.org/10.1080/08923640109527071
  47. Handelsman, M. M., Briggs, W. L., Sullivan, N., & Towler, A. (2005).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84-191. https://doi.org/10.3200/JOER.98.3.184-192
  48. Heeter, C. (1992). Being The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resenc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1(2), 262-271. https://doi.org/10.1162/pres.1992.1.2.262
  49. Linnenbrink, E. A. (2006). Emotion Research in Education: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on the Integration of Affect, Motivation, and Cogni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 307-314. https://doi.org/10.1007/s10648-006-9028-x
  50. Linnenbrink, E.. A., & Pintrich, P. R. (2003).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i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Reading& Writing Quarterly, 19(2), 119-137. https://doi.org/10.1080/10573560308223
  51. Lock, V., & Redmond, P. (2006). International online collaboration: modeling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2(4), 233-247.
  52. Picciano, A. G. (2002). Beyond student perceptions: 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6(1), 21-40.
  53. Pintrich, P. R. (2003). A motivational science perspective on the role of student motiv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contex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4), 667-686. https://doi.org/10.1037/0022-0663.95.4.667
  54. Richardson, J. C., & Newby, T. (2006). The role of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in online learning.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20(1), 23-37.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2001_3
  55. Spanjers, D. M. (2007). Cognitive engagement as a predictor of achie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nnesota.
  56. Steele, J. P., & Fullagar, C. (2009). Facilitators and outcomes of student engagement in a college setting.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143, 5-27. https://doi.org/10.3200/JRLP.143.1.5-27
  57. Steuer, J. (1993).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2.tb00812.x
  58. Stipek, D. J. (1998). Motivation to learn: From theory to practice(3rd ed.). Boston: Allyn and Bacon.
  59. Thornam, C. L. (2003). Teaching presence in 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60. Tu, C.H., & McIsaac, M. (2002). The Relationship of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on Online Classes. The American Jounal of Distance Education, 16(3), 131-150.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1603_2
  61. Wang, M. J., & Kang, M. (2006). Cybergogy for engaged Learning: A Framework for creating Learner Engagement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M. S. Kinde (Ed.),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y. 225-253.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62. Witmer, B. G., & Singer, M. J. (1998). Measuring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 A presence questionnaire. Presence, 7(3), 225-24. https://doi.org/10.1162/105474698565686

Cited by

  1.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지각된 유용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vol.22, pp.4, 2015, https://doi.org/10.12653/jecd.2015.22.4.0445
  2.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vol.29, pp.1, 2015,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