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level

검색결과 759건 처리시간 0.026초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에 따른 새만금 유역 치수 안전성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River Safety of Saemangeum Basin according to Master Plan)

  • 정석일;유형주;류광현;이승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27-133
    • /
    • 2018
  • The Saemangeum master plan includes dredging and waterproofing materials, construction projects that can chang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Saemangeum and Mangyeong and Dongjin River basins. In this study, the river safety of 2030 when the Saemangeum master plan was completed for 100 year frequency, 500 year frequency and 100 year frequency applied RCP 8.5 scenario was examined using Delft3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overflowing point at the 100 year frequency,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od level and the river bank elevation was relatively small at the curved and river joint part. At the 100-year frequency with the 500-year frequency and the RCP 8.5 scenario, the possibility of overflowing at several locations wa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iver bed loss due to fast velocity appears in the upstream part of Mankyung River and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safety of hydraulic structures continuousl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xpansion of the area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ke due to dredging will affect the sediment mechanism and water quality, so detailed and diverse studies will be needed.

안동호-임하호 연결에 따른 물 이동과 수온성층 변화 (Water Transportation and Stratification Modification in the Andong-Imha Linked Reservoirs System)

  • 박형석;정세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43
    • /
    • 2014
  • Recently, Andong Reservoir and Imha Reservoir located in Nakdong River basin (Korea) are being connected by a tunnel (length 2km, diameter 5.5m) for a conjunctive u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nstruct a two dimensional(2D) laterally-averaged model for two reservoirs, and examine the effects of connection on the water transportation and temperature stratification in the reservoirs. The 2D models for each reservoir were calibrated using field data obtained in 2006, and applied to the linked system for the year of 2002 when a severe flood intruded into Imha Reservoir during the typhoon Rusa.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364 million $m^3$ of water can be conveyed from Imha to Andong, while 291 million $m^3$ of water from Andong to Imha after connection. It resulted in 1.38 m increase of annual averaged water level in Andong Reservoir, whereas 3.75 m decrease in Imha Reservoir. The structures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both reservoirs were influenced in line with the flow exchanges. In Andong Reservoir, the location of thermocline moved upward about 10 m compared to an independent opera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persistent turbidity issue of Imha Reservoir might be shifted to Andong Reservoir during a severe flood event after connection.

하구언 설치에 따른 하천유사량 변화에 관한 연구 (Reservoir Sedimentations of the Enclosure of Estuary Barraye in Gumgang Basin)

  • 이중기
    • 물과 미래
    • /
    • 제9권1호
    • /
    • pp.86-100
    • /
    • 1976
  • To study influences on the downstream, and the Gunsan harbor by setting up estuary of the Gumgang, available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measuring stations which were established within the river basin of which results attained are as follows: 1. The discharge can be calculat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and precipitation in the basin is $R=4{\times}10^{-4}p^2$ or R=P-600 2. The discharge flow in to small resevoirs in the basin can be estimated as $QR=QS\frac{PR-600}{PS-600}(\frac{AR}{AS})$ 3. This daily average discharge at Kongju is 31% less than the during maximum probable discharge and that in Okcheon is 48% less than the daily maximum probable flood. 4. The maximum probable flood from the small stream in the basin can be estimated by a $Q=82.45A^{0{\cdot}464}$ 5. Sediments can be computed with Qs (suspended load)=1.41 $Q^{1{\cdot}42}$ and Qb (bed load)=165.2 $Q^{0{\cdot}705}$. 6. By setting up the specific estuary the tidal movement will be reduced to 93.6% on the average and the sedimentation is reduced to 96.0%. Upon review of overall analysis, the dead wate level of estuary of Gumgang will completely sedimented in next 30 years, therefore, the dredging work at Gunsan harbor is reduced to 73.6%, it is considered that life length will be extended about 52years taking account the existing condition.

  • PDF

하천폭의 국부적 축소 및 확대에 따른 수리특성 연구 (A Study of the Stream Specific by River Width's Downsizing & Extension)

  • 최한규;김주석;백효선
    • 산업기술연구
    • /
    • 제27권B호
    • /
    • pp.229-233
    • /
    • 2007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way of generating the flowing of water in case of artificial fluctuation of river width by the uni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in order to reconstruct vertical and expanse features of flowing, and the problem of existing numerical analysis in accordance with local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river through hydraulic model experiments with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The result revealed that when the local section change in the same river is exist, it showed 0.93m in the case of no change of local section in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however, it presented 1.645m on the occasion of local section changes in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In other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isting numerical analysis, when there was a local section chang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al section for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local river width, due to the sensitive change for fluctuation of flood dischar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merical analysis and hydraulic model experiments. In addition,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local river width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with hydraulic model experiments showed larger generation of deviation in case of enlargement of section than in case of reduction of section.

  • PDF

Use of beta-P distribution for modeling hydrologic events

  • Murshed, Md. Sharwar;Seo, Yun Am;Park, Jeong-Soo;Lee, Youngsae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5권1호
    • /
    • pp.15-27
    • /
    • 2018
  • Parametric method of flood frequency analysis involves fitting of a probability distribution to observed flood data. When record length at a given site is relatively shorter and hard to apply the asymptotic theory, an alternative distribution to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distribution is often used.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beta-P distribution (BPD) as an alternative to the GEV and other well-known distributions for modeling extreme events of small or moderate samples as well as highly skewed or heavy tailed data. The L-moments ratio diagram shows that special cases of the BPD include the generalized logistic, three-parameter log-normal, and GEV distributions. To estimate the parameters in the distribution, the method of moments, L-moments,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s are considered. A Monte-Carlo study is then conducted to compare these three estimation methods.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L-moments estimator works better than the other estimators for this model of small or moderate samples. Two applications to the annual maximum stream flow of Colorado and the rainfall data from cloud seeding experiments in Southern Florida are reported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BPD for modeling hydrologic events. In these examples, BPD turns out to work better than $beta-{\kappa}$, Gumbel, and GEV distributions.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남한강 구간의 확률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Estimation of Probable Flood Discharge and Flood Level Using Unsteady flow model in South Han River)

  • 김진수;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9-6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부정류 계산 모형을 이용한 확률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한강 살리기 사업이 진행 중인 남한강 구간에 적용하였다. 우선 한강 살리기 사업 전과 후의 하도에 대하여 부정류 계산 모형을 각각 수립하였으며, 과거 발생한 홍수사상을 조사하였다. 사업 전 모형과 최근에 발생한 홍수사상을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고,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업 후의 하도에 대한 모형에 적용하였다. 대상 유역에 과거 발생한 홍수사상을 사업 후 모형으로 모의하여 각 홍수사상 별로 최대 홍수량 및 홍수위를 계산하였다. 이때 최대 홍수량 모의 결과들을 빈도해석 대상 자료군으로 사용하여, 연최대치 계열이나 부분 시계열에 대하여 빈도해석을 통하여 확률 홍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관측자료의 확보가 어려운 국내의 현실을 고려하여, 부분 시계열의 빈도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확률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다음으로 부정류 계산모형의 모의 결과인 최대 홍수량 및 홍수위 자료를 회귀분석하여 수위-유량 관계식을 유도하고, 각 빈도별 확률 홍수량을 관계식에 대입하여 확률 홍수량에 대응하는 확률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 PDF

연안도시지역의 해수면상승과 범람에 따른 침수피해액 분석 (Flood damage analysis of Coastal Urban Area Considering Sea level rise and inundation)

  • 어규;홍승진;강나래;이종소;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7-447
    • /
    • 2015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전 지구적인 지구온난화는 단시간의 집중호우와 돌발홍수의 증가로 기존의 기후특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자연재해의 강도가 강해지고, 재산피해가 커지고 있다. 특히, 내륙에 위치한 도시지역 보다 해안 도시지역은 조위에 따라 홍수위가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강우에 따른 피해규모는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미래 기후변화를 예측하고 해안 도시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대상지역으로는 2012년 태풍 산바(Sanba)으로 인해 상당한 인명피해와 홍수피해가 발생한 마산(창원시) 일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산(창원시) 대상으로 빈도-지속기간별 강우와 조위의 영향을 고려한 침수모의를 실시하고자 한다. 또한 2004년도에 개발된 다차원법(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방법(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을 이용하여 조위와 홍수위의 영향을 받은 해안 도시의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고, 침수에 따른 피해액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마산(창원시) 일대의 홍수피해 산정과 침수피해 관련 방재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금강 유역의 지하수위와 WHAT SYSTEM을 통하여 산정된 기저유출과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Baseflow in the Geum River Watershed, Calculated using the WHAT SYSTEM)

  • 양정석;지동근
    • 지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07-116
    • /
    • 2011
  • 금강유역의 수위관측소에서 관측된 유량자료와 국가 지하수 관측망에서 관리하는 관측소 지하수위 자료를, 두 관측소간의 거리를(10 km 이내) 고려하여, 선정한 후 수집하였다. 관측된 유량자료를 WHAT SYSTEM이라는 Web GIS 기반의 수문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량자료에서 기저유출을 분리하였다. 그 후 기저유출 값과 지하수위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한 금강유역 내에서 선정된 총 20개 지역 중 지하수위와 기저유출의 상관계수가 0.5 이상인 경우가 발생한 지역은 12개이고 모든 지역의 전체 관측년도에서 상관계수가 0.5~0.6인 경우는 8개, 0.6~0.7인 경우는 5개, 그리고 0.7 이상인 경우는 12개였다. 같은 지역이라도 연도마다 다른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가뭄이나 홍수가 심했던 연도에서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상관계수가 높은 지역에서는, 가뭄이나 홍수가 심하지 않는 연도라면, 지하수위 관측만으로도 기저유량을 추정할 수 있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제주연안지역 건설시설물의 영향 분석 (Analysis on Effect of Construction Facilities depending on a Scenario of Sea Level Rise around Jeju Coastal Area)

  • 이동욱;부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D호
    • /
    • pp.267-274
    • /
    • 2011
  • 한반도에서 기후변화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해수면 상승(서귀포 5.6 mm/yr, 제주 5.3 mm/yr)에 따른 해수면 상승고와 대조평균고조시 대형화된 태풍이 내습할 경우에 대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수치표고모델 생성 및 GIS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침수면적, 도로 및 시설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침수면적은 2040년 2.9 $km^2$, 2070년 4.1 $km^2$, 2100년 최대 5.4 $km^2$으로 나타났다. 도로종류별 침수영향은 군도의 침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침수시설물은 대부분 단독주택이 차지했으며, 화북동은 단독주택의 침수영향이 높게 나타나 재해에 따른 인명피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주요시설로서 항만시설의 침수는 물류 및 해운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건설 분야의 영향분석을 통해 정부 산하기관의 전략적인 대응방안 및 정책수립에 활용될 기초자료로 생각된다.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팔당대교 지점에서의 유량 예측 (Flow rate prediction at Paldang Bridge using deep learning models)

  • 성연정;박기두;정영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8호
    • /
    • pp.565-575
    • /
    • 2022
  • 최근의 수자원공학 분야는 4차산업혁명과 더불어 비약적으로 발전된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시계열 수위 및 유량의 예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시계열 자료의 예측이 가능한 LSTM 모형과 GRU 모형을 활용하여 수위 및 유량 예측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간 변동성이 매우 큰 하천에서의 유량 예측 정확도는 수위 예측 정확도에 비해 낮게 예측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량변동이 크고 하구에서의 조석의 영향이 거의 없는 한강의 팔당대교 관측소를 선택하였다. 또한, LSTM 모형과 GRU 모형의 입력 및 예측 자료로 활용될 유량변동이 큰 시계열 자료를 선택하였고 총 자료의 길이는 비교적 짧은 2년 7개월의 수위 자료 및 유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시간변동성이 큰 시계열 수위를 2개의 모형에서 학습할 경우, 2개의 모형 모두에서 예측되는 수위 결과는 관측 수위와 비교하여 적정한 정확도가 확보되었으나 변동성이 큰 유량 자료를 2개의 모형에서 직접 학습시킬 경우, 예측되는 유량 자료의 정확도는 악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유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 2개 모형으로 예측된 수위 자료를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유량의 예측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성과는 수문자료의 별도 가공없이 관측 길이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길지 않고 유출량이 급변하는 도시하천에서의 홍수예경보 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