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Effect of Construction Facilities depending on a Scenario of Sea Level Rise around Jeju Coastal Area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제주연안지역 건설시설물의 영향 분석

  • Received : 2010.12.27
  • Accepted : 2011.01.21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In this study, around Jeju area where climatic change is most considerably appearing in Han Peninsula, we prepared sea level rise height caused by sea level rise (Seogwipo 5.6 mm/yr, Jeju 5.3 mm/yr) and a sea level rise scenario for the case when an enlarged typhoon attacks during high water ordinary spring tide, and evaluated flooding area and effect on road and facility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DEM) and GIS Spatial Analysis Technique. As a result, the flooding areas were shown to be 2.9 $km^2$ in 2040, 5.4 $km^2$ in 2070, and maximum 5.4 $km^2$ in 2100. Analyzing the effect of flooding on each type of road, the local roads(Gun-do) were shown to be mostly affected. The most flood effected facilities were individual houses. Especially, as there is a possibility for casualties to occur due to disaster in Hwabuk-dong because the effect of flooding on individual houses in this area was shown to be high. In addition, flood on port facilities will considerably affect logistic and marine activities. This study is thought to be a basic data which can be utilized for establishment of strategic coping measures and policies of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s through analysis of effect of sea level rise on construction field.

한반도에서 기후변화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해수면 상승(서귀포 5.6 mm/yr, 제주 5.3 mm/yr)에 따른 해수면 상승고와 대조평균고조시 대형화된 태풍이 내습할 경우에 대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수치표고모델 생성 및 GIS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침수면적, 도로 및 시설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침수면적은 2040년 2.9 $km^2$, 2070년 4.1 $km^2$, 2100년 최대 5.4 $km^2$으로 나타났다. 도로종류별 침수영향은 군도의 침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침수시설물은 대부분 단독주택이 차지했으며, 화북동은 단독주택의 침수영향이 높게 나타나 재해에 따른 인명피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주요시설로서 항만시설의 침수는 물류 및 해운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건설 분야의 영향분석을 통해 정부 산하기관의 전략적인 대응방안 및 정책수립에 활용될 기초자료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운산(2004) 기후변화가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 강주환, 박선중, 문승록, 윤종태(2009) 태풍의 특성변화에 따른 경남해역 해일양상 고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한국해안해양공학회, VOL. 21, No. 1, pp. 1-14.
  3. 강주환 외(2010) 제주권 풍재해 저감을 위한 태풍 재해대응 공동 워크숍 자료, 내풍기술연구단/국가태풍센터, pp. 61-70.
  4.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자료(http://www.khoa.go.kr/).
  5. 박준영, 부양수, 이동욱(2009)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연안 건설시설물의 영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산학기술학회, pp. 825-828.
  6. 오상명(2010), 지구온난화로 인한 한반도 연안 태풍 및 폭풍해일 강도 변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7. 이동욱, 부양수, 박경호(2010),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지역의 해수면상승 시나리오, 대한토목학회 2010년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008-2011.
  8. 이한수(2003), 가속화된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한반도 해안의 취약성 평가,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9. 장동호, 김장수(2009) 충남 연안 지역에서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평가, 한국지형학회지, 한국지형학회, VOL. 16, No. 2, pp. 1-13.
  10. 제주발전연구원(2009)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모델 개발, 제주발전연구원 1차년도 연구보고서.
  11. 조광우, 김지혜(2001)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 보고서.
  12. 조광우, 김지혜, 정휘철, Nobuo Mimura, Robert J.Nicholls (2002)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13. 한종규, 김성필, 장동호, 장태수(2009)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슈퍼태풍 내습시 해운대 해소욕장 인근 도심지역 침수 피해 규모 추정,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VOL. 17, No. 3, pp. 341-350.
  14. Gregory, J.M. and Lowe, J.A. (2000) Predictions of global and regional sea level rise using AOGCMs with and without Flux Adjustmen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27, No. 19, pp. 3069-3072. https://doi.org/10.1029/1999GL011228
  15.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ambridge Univ. Press.
  16.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 Press.
  17. Kitajima, S., Ito, T., Mimura, N., Tsutsui Y., and Izumi K. (1993) Impacts of sea-level rise and cost estimate of countermeasures in Japan, Proceedings of the IPCC Eastern Hemisphere Workshop, pp. 115-123.
  18. Kojima, H. (2001)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strategies to sealevel rise in Japanese coast region, Proceedings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in Korea, Vol. 12, pp. 6-14.
  19. Perez, R.T., Amadore, L.A., and Feir, R.B. (1999) Climate change impacts and responses in the Philippines coastal sector, Clim Res12, pp. 97-107. https://doi.org/10.3354/cr012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