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ating Buo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낙동강 유입 부유폐기물 해상이동경로 추적시험 (Tracking Experimentation of Floating Debris Drained From Nak-Dong River)

  • 유정석;이문진;노준혁;윤성환;김명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9
    • /
    • 2002
  • 홍수시 강에서 유임되는 폐기물은 육상기인 해양폐기물의 상당량을 차지한다. 강에서 해양으로 유입된 폐기물은 침적폐기물과 부유폐기물로 구분되며, 부유폐기물은 바람이나 해수의 유통에 따라 타지역으로 이동 및 확산되는 특성이 있다. 본 시험은 낙동강에서 유입되는 부유폐기물의 이동경로를 조사하기 위하여, DGPS가 장착된 3개의 부위를 제작, 낙동강 하구에서 투척, 매시간 이동경로를 확인하였다. 시험결과 낙동강에서 유출된 부유 폐기물은 다대포 항주위에 집적되거나 부산항을 거쳐 동해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류에 의한 영향보다 바람에 의한 취송류와 해류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본 시험의 결과를 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에서 개발한 부유폐기물 확산모델(MAPCNTR)과 비교한 결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부유식 진동수주형 파력발전기(BBDB)의 유체 동역학적 성능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Hydrodynamic Performance of Backward Bent Duct Buoy (BBDB) Floating Wave Energy Converter)

  • 김성재;권진성;김준동;구원철;신성원;김규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3-58
    • /
    • 2012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ydrodynamic performance of a backward bent duct buoy (BBDB) was performed in a 2D wave tank. The BBDB is one of the promising oscillating water column (OWC) types of floating wave energy converters. Two different corner-shaped BBDBs (sharp-corner and round-corner) were used to measure the maximum chamber surface elevations and body motions for various incident wave conditions, and their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neumatic pressure inside the chamber, the heave and pitch angle interacted with elevations were compared for both open chamber and partially open chamber BBDBs. From the comparison study, the deviation in the chamber surface elevations between the two shapes of BBDB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near the resonance period, which may be explained by viscous energy los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neumatic pressure noticeably affected the chamber surface elevation and body motions.

볼록 껍질 알고리즘을 이용한 등부표 위치패턴 최적화 기간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Period of Light Buoy Location Patterns Using the Convex Hull Algorithm)

  • 최원진;문범식;송재욱;김영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64-170
    • /
    • 2024
  • 등부표는 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로, 해양 기상 등 외력에 의해 표류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이동하므로 등부표의 유실 또는 위치 이탈을 감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등부표의 과거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등부표별 위치패턴을 분석하여 등부표의 위치 이탈에 대한 경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지만, 매 2년 주기로 실시되는 인양점검에 의해 등부표의 위치패턴이 변화하므로, 인양점검 후 새로운 위치패턴을 분석하여 위치를 감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볼록 껍질 알고리즘과 거리 기반 군집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양한 기간 동안의 등부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등부표의 정확한 위치패턴 인식을 위한 최적의 데이터 수집 기간을 식별하였다. 연구 결과, 안정적인 위치패턴을 확립하는 최적의 데이터 수집기간은 9주이며, 위치 데이터의 약 89.8%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위치패턴 기반 등부표 관리 기능을 향상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모니터링과 등부표 위치 이탈 여부의 조기 감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항로표지용 AIS 및 RTU가 부착된 부유식 등부표의 이출위치 연구 (A Study on the Separated Position of Floating Light Buoy Equipment with AtoN AIS and RTU)

  • 문범식;유윤자;김민지;김태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13-320
    • /
    • 2022
  • 해상에 설치된 등부표는 기상, 통항선박에 의해 생성된 외력 등에 영향을 받아 위치가 항상 유동적이다. 등부표의 위치는 항로표지용 AIS와 RTU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7-2021년) 등부표의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등부표의 최대 이출위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등부표의 위치데이터는 기본오류가 17.9%가 존재하였다. 또한 분석대상 등부표 197기의 이출위치 오류는 70.64%이고, 장비별로는 항로표지용 AIS 보다는 RTU가 심하였다. 한편, 등부표의 위치데이터를 플로팅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침추중심형, 침추를 중심으로 위치가 2개 구역으로 구분되는 침추중심 2분형, 중심이 변동된 중심 이동형 그리고 일정기간 위치가 중심을 벗어나는끌림형이다. 침추중심형(유형-1)을 제외하고는 등부표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유형이 결정되었다. 본 연구는 등부표의 위치데이터를 분석한 첫번째 연구로서 본 연구가 등부표 위치데이터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Monitoring of Floating Fish Reef Installed in Koje Coastal Waters

  • Kim, Chang-Gil;Kim, Ho-Sang;Kim, Tae-Ho;Baik, Chul-I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305-310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a floating fish reef technology for enhancement of fisheries productivity in the muddy areas. The floating fish reef was composed of main fish cage, anchor rope and concrete anchor blocks. Main fish cage was made up of 12 steel buoys measuring 0.37m in diameter and 1.5m long, polyethylene (PE) netting and circular steel rings. Each steel buoy had buoyancy of 110kgf. The size of main fish cage was 1.96 m in diameter and 3.75m in length. Monitoring on its durability was made for eight months after installation. The steel buoys fixed on main fish cage and nettings were observed to be kept safely. The wet weight of fouling organisms per unit area$(m^2)$ was 26.6kgf after eight months. Reduction in the cross-section of steel buoys and circular steel rings of main fish cage were not found. In addition, any cracks on the concrete anchor blocks were not observed.

  • PDF

Response Analysis of MW-Class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System using International Standard IEC61400-3-2

  • Yu, Youngjae;Shin, Hyunkyoung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54-460
    • /
    • 2020
  • In 2019,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3rd Basic Plan for Energy, which included expanding the rate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by 30-40% by 2040. Henc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which is relatively easy to construct in large areas, should be considered. The East Sea coast of Korea is a sea area where the depth reaches 50 m, which is deeper than the west coast, even though it is only 2.5 km away from the coastline. Therefore, for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on the East Sea coast, a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should be considered instead of a fixed one. In this study, a response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analytical conditions of IEC61400-3-2 for the design of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In the newly revised IEC61400-3-2 international standard, design load cases to be considered in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systems are specified. The upper structure applied to the numerical analysis was a 5-MW-class wind generator developed by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 and the marine environment conditions required for the analysis were based on the Ulsan Meteorological Buoy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FAST v8 developed by NREL was used in the coupled analysis. From the simulation, the maximum response of the six degrees-of-freedom motion and the maximum load response of the joint part were compared. Additionally, redundancy was verified under abnormal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latform has a maximum displacement radius of approximately 40 m under an extreme sea state, and when one mooring line is broken, this distance increased to approximately 565 m. In conclusion, redundancy should be verified to determine the design of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or the arrangement of mooring systems.

서해안 해상풍력단지 풍황관측용 부유식 라이다 운영을 위한 선박형 부표식 설계 및 계류 시스템의 수치 해석적 안정성 평가 (Design of Ship-type Floating LiDAR Buoy System for Wind Resource Measurement inthe Korean West Sea and Numerical Analysis of Stability Assessment of Mooring System)

  • 강용수;김종규;이백범;양수인;김종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83-490
    • /
    • 2022
  • 부유식 라이다는 해상풍력단지 조성 시 필수적인 풍황관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지역사회의 반발까지 줄일 수 있어 업계의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부표의 동요에 의한 교란요인이 관측자료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안정적인 플랫폼의 설계 및 검증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이 분야의 기술 진출이 늦어짐에 따라 다수의 외국계 장비업체들이 국내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매우 큰 천해성 환경이기 때문에 강한 해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계절별로 다른 강한 에너지의 파도가 형성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복합적인 환경 특성을 지닌 우리나라 해역에서 라이다 운영에 적합한 부표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먼저 적용된 선박형 부표식의 최적화 설계 및 검증 사례를 소개하고, 향후 다양한 플랫폼 개발의 기반이 될 중요한 개념을 도출하고자 한다.

해양 부이용 920 MHz 대역 안테나 (920 MHz Band Antenna for Marine Buoy)

  • 최형동;김성율;이성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93-600
    • /
    • 2020
  • 해양 IoT 서비스를 위한 장치들은 해양 환경에 강인해야 한다. 특히 바닷물 속에 부유하는 전송 장치는 바닷물의 영향을 덜 받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 어구 실명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어구 상태를 감시하는 부이에 내장되는 안테나를 설계하고 제작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은 920 MHz이고, 부이의 초소형과 경량화를 위해 PCB 패턴 안테나 구조로 설계 제작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안테나를 내장한 부이가 바닷물 속에 잠기는 정도가 심할수록 반사 계수 증 RF 특성이 저하되지만 빔의 방사 각도는 안테나 하층부에서 점점 상층부로 옮겨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바닷물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전파 성능은 저하되지만 방사 특성은 해양 IoT 서비스 환경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RF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를 변경 설계하면 제안한 안테나와 부이는 LPWA (low power wide area) 기반 IoT 네트워크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관측시설을 위한 파랑하중과 계류계 해석 -모래중에 뭍힌 원형파일의 수평력 추정방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Wave Load and Mooring System for Ocean Monitoring Facilities - About an estimation method for horizontal force of circular pile in sand -)

  • 윤길수;김용직;김동준;강신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2-111
    • /
    • 1998
  • 해양관측시설은 고정식과 부유식으로 나뉘는데 본 고에서는 부유식 해상관측시설과 관련된 파랑하중 및 계류계에 대해 다루었다. 부유식 해상관측시설의 일 예에 대해 운동계산과 표류력 계산을 수행하고 고찰하였다. 또한 계류앵커의 일종인 원형 파일앵커가 수평력을 받는 경우의 모형실험과 파주력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그 계산결과와 비교 고찰하였다. SCUBA 활동으로 설치가능한 파일앵커의 파주력 추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부유식 풍력발전 시스템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a Dynamics Simul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Floating Wind Turbines)

  • 임채환;송진섭;정태영;문석준;고진용;이성균;배대성;배동희
    • 풍력에너지저널
    • /
    • 제2권2호
    • /
    • pp.30-37
    • /
    • 2011
  • A floating wind turbine dynamic simulation program, WindHydro, is newly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wind inflow and incident wave. WindHydro consists of 5 modules, HDFloat for hydrodynamics, HDProp for hydrodynamic property calculation, HDMoor for mooring dynamics, AeroDyn for aerodynamics, DAFUL for multi-body dynamics with nonlinear elasticity, and interface program that connects each calculation module. A turbulent wind and regular wave load case is simulated for the 5-MW OC3-Hywind with a spar bouy platform and catenary mooring lines.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FAST(developed by NREL). As a result, the overall system responses from WindHydro and FAST agree well although some differences in the generator responses are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