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king Experimentation of Floating Debris Drained From Nak-Dong River

낙동강 유입 부유폐기물 해상이동경로 추적시험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When a flooding a lot of debris are drained from rivet. Drained debris separated lodgement debris and floating debris, and floating debris moving other region by wind and ocean current. This experimentation throw three buoys which installed with DGPS and other devices in nak-dong river, and check there location every minute. In consequence of this experimentation, floating debris drained nak-dong river are gathered near Dadaepo seaside or drifted Dong hae. Ocean current and wind driven current are largely influenced then tide. Numerical analysis calculated by MAPCNTR(develop by KRISO) is similar to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ation.

홍수시 강에서 유임되는 폐기물은 육상기인 해양폐기물의 상당량을 차지한다. 강에서 해양으로 유입된 폐기물은 침적폐기물과 부유폐기물로 구분되며, 부유폐기물은 바람이나 해수의 유통에 따라 타지역으로 이동 및 확산되는 특성이 있다. 본 시험은 낙동강에서 유입되는 부유폐기물의 이동경로를 조사하기 위하여, DGPS가 장착된 3개의 부위를 제작, 낙동강 하구에서 투척, 매시간 이동경로를 확인하였다. 시험결과 낙동강에서 유출된 부유 폐기물은 다대포 항주위에 집적되거나 부산항을 거쳐 동해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류에 의한 영향보다 바람에 의한 취송류와 해류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본 시험의 결과를 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에서 개발한 부유폐기물 확산모델(MAPCNTR)과 비교한 결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