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ieg's Scor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9초

배합사료를 혼합한 돼지감자 ( Helianthus tuberosus L. ) 사일리지 제조시험 (A Study on the Quality of Tuber silage of Jerusalem Artichoke ( Helianthus tuberosus L. ))

  • 고영두;안병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7-161
    • /
    • 1987
  • In order to utilize the tuber of Jerusalem artichoke (Jerusalem tuberosus L.) which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economical resources for bioenergy, the tubers of the plant were processed into silage in 11 lab-silo with three levels of mixture of concentrates i.e. 10, 20, 30%. The silage was stored for 20 to 40 days before analyses. The quality of silage w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tube-only silage without concentrates. Aproximate composition, pH, ammonium nitrogen, total nitrogen, and organic acids were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 1. With the mixture of concentrates, the water content of the silage was able to be adjusted to 70 percent and NDF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hile ADF significantly decreased. 2.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arbohydrate (WS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ilages of the mixture of concentrate and the tuber (P<0.05), while total nitrogen and ammonium nitrogen increased. 3. Tube-only silage gave satisfaction in fermentation, particularly organic-acid fermentation. As the storage period extended, Flieg's score of the silage was improved. Conclusively, the tuber of Jerusalem artichoke found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good silage and to be recommended as a good resource for all-inane silage provided the tuber was ensilaged with 20 to 30 percent concentrate.

  • PDF

국내 육성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 평가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for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 김종근;박형수;이상훈;정종성;이기원;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5-151
    • /
    • 2015
  • 본 시험은 국내에서 육성된 신품종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호밀(곡우), 귀리(삼한), 3품종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코그린, 코스피드, 코위너리) 및 2품종의 청보리(영양, 유연)에 대하여 생산성 시험을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곡우가 가장 높았고 삼한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단백질(CP) 함량은 귀리(삼한)외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품종들에서 높았다. 가소화영양소총량(TDN)은 호밀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귀리(삼한) 사일리지의 pH는 비교된 사료작물중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코그린과 삼한 품종에서 젖산균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Flieg 점수에 따른 사일리지 품질등급은 호밀을 제외하고는 모두 1등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국내에서 육성된 사료작물 품종은 생산성과 품질면에서 높은 능력을 보여 한국에서의 조사료 생산에 적극 권장된다고 하겠다.

백수 벼의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Study on Nutritive Values of White Panicled Rice Silage)

  • 김원호;류재혁;김다혜;박형수;정민웅;서성;최기준;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5-130
    • /
    • 2012
  •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 비금도 간척 논에서 백수현상이 나타난 벼를 조사료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백수 벼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유기산 등 품질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벼 백수현상이 가장 심한지역의 총체 벼의 수량은 정상지역보다 약 800 kg/ha 정도 감소되었다. 그리고 벼 백수현상이 가장 심한지역에서의 총체 벼의 조단백질 함량 및 TDN 함량은 벼 백수현상이 없는 정상생육 지역 보다 약간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ADF 및 NDF 함량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p<0.05). 벼 백수현상이 가장 심한지역과 정상지역의 총체 벼 사일리지 pH는 4.0~5.0을 나타냈으며 젖산균 접종에 의해 pH가 저하되었다. 벼 백수지역과 정상생육 지역 모두 젖산균 접종에 의해 젖산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초산과 낙산함량은 감소되었다(p<0.05). Flieg법에 의한 총체 벼 사일리지의 품질등급은 젖산균을 접종함으로써 2~3단계 상승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백수현상이 나타난 벼도 조사료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잡초로 취급된 유채의 사일리지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Silage Manufacture of Rape Treated as Weed)

  • 최기춘;류재혁;정민웅;박형수;김원호;김다혜;김천만;김종근;김맹중;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5-41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관상용으로써 가치가 없어지면 잡초로 변해 버린 유채를 조사료원으로써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천안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자원개발부 초지사료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유채는 생육시기별 3회(개화기, 유숙기, 호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한 후 사료가치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예건에 의해서 사일리지 제조 적기 수분함량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호숙기는 거의 헤일리지 수준의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유채의 원형곤포 사일리지는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섬유소인 ADF 및 NDF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그리고 유채 사일리지의 TDN 함량도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수확시기에 따른 사일리지의 pH는 3.8~4.4을 유지하였으며, 호숙기의 pH는 개화기나 유숙기 보다 높았다(p<0.05)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젖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나(p<0.05) 초산 함량은 감소하였다(p<0.05). Flieg법에 의한 유채의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품질등급은 개화기(100), 유숙기(100) 및 호숙기(88) 모두 우수등급을 나타났다.

배합사료를 혼합한 옥수수-계분 silage의 품질과 사료가치 (Quality and Feed Value of Ensiled Whole Crop Corn with Cage Layer Excreta and Concentrate)

  • 고영두;김두환;김재황;강한석;박재학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4-171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nhance the nutritional value of whole crop corn silage and the utilization of animal waste as a ruminant feedstuffs. Whole crop corn were ensiled with cage layer excreta and concentrate. Treatments included whole crop corn silage (control), 10% cage layer excreta and concentrate-corn silage (CES lo), 20% cage layer excreta and 10% concentrate-corn silage (CES 20) and 30% cage layer excreta and 10% concentrate-corn silage (CES 30). The characteristics of silage fermentation was evaluated. Digestibility and palatability of the silage were observed through the feeding trial with four male Corridale sheep.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age layer excreta-corn silage showed higher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rude ash than control silage, while crude fibre content was significantlv lower than that of control silage (P(.01). 2. Total nitrogen and ammonia nitrogen content of the cage layer excreta-corn silage was significantly (P< .01)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ut CES 10 silage was good in quality. 3. Lactic acid content of CES 10 silage was the highest, but that of CES 20 and CES 30 silage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CES 20 and CES 30 silage was lower lactic acid content and higher pH than control. Therefore Flieg's score was wrose than that of control silage. 4. The numbers of total bacteria and lactic fermentation bacteria were estimated lo7-10' and 10"1OH,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Coliform numbers were not detected with CES 10 silage while were detected lo3 per gram in CES 30 silage. 5.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crude fibre and ADF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animals fed the cage layer excreta-corn silage compared with animals fed the control silage. DCP and TDN were the highest in the CES 10 silage. 6. The intake of daily nitrogen and dry matter per metabolic body weight was the highest in animals fed the CES 10 silage.lage.

  • PDF

Effect of harvest dates on β-carotene content and forage quality of rye (Secale cereale L.) silage and hay

  • Zhao, Guo Qiang;Wei, Sheng Nan;Liu, Chang;Kim, Hak Jin;Kim, Jong Geu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354-366
    • /
    • 2021
  • Limited data about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forage quality and β-carotene content of rye produced in Korea are available,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preservation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ye harvested every 5 days between April 25 and May 31, and comparisons were done among rye silage wilted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and hay of three growth stages of rye. For the silage, dry matter (DM),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increased with advanced maturity of rye, whereas crude protei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relative feed value (RFV), and DM loss decreased (p < 0.0001). Wilting increased the DM content and pH value significantly (p < 0.0001). Silage harvested at the heading stage had the lowest pH value (4.45), propionic acid (0.83 g/kg DM), butyric acid (0 g/kg DM), and fungi and yeast populations (3.70 Log CFU/g of fresh matter [FM]); conversely, it had the highest lactic acid (9.7 g/kg DM), lactic acid bacteria (LAB) (6.87 Log CFU/g of FM), total microorganisms (TM) (7.33 Log CFU/g of FM), and Flieg's score (70) (p < 0.0001). Wilting elevated LAB and TM populations, but it had no consistent effect on other fermentation products. Both delayed harvest and prolonged wilting decreased β-carotene content. Rye silage harvested around May 9 (heading stage) with 24 h of wilting was preferred for highland, Pyeongchang. For rye hay, advanced maturity decreased DM loss, IVDMD, TDN, and RFV, but it increased DM, ADF, and NDF significantly (p < 0.05). β-carotene was decreased by delay of hay-making. Consequently, to attain lower DM loss and higher hay quality, the harvest date of May 9 (heading stage) is recommended.

Sorghum-Sudan Hybrid의 생육시기와 절단길이가 Silage의 품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urity Stage and Particle Length of Sorghum-Sudan Hybrid on the Quality of Silage)

  • 최낙민;문영식;고영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3-78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Sorghum-Sudan hybrid를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절단(切斷)길이를 달리하여 silage를 제조하였을 때 이들이 silage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저 실시되었다. 출수기(出穗期), 유숙기(乳熟期), 호숙기(糊熟期), 황숙기(黃熟期)에 예취(刈取)하여 각(各)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절단(切斷)길이를 1.0, 2.5 4.0cm로 하여 silage를 제조한 후 silage의 일반성분(一般成分),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 pH 및 Ammonia 태(態) N를 분석(分析)하여 silage의 품질(品質)을 평가(評價)하고, 주요성분간(主要成分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수분함량(水分含量)은 감소되어 건물함량(乾物含量)이 증가(增加)되었다.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은 출수기(出穗期)에 12.55%에서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조섬유(粗纖維)는 증가(增加)하는 현상이었다. 2. Silage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되었다 (P<0.01). 3. Silage의 pH는 2.5cm로 절단(切斷)한 것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차(有意差)는 없었고 황숙기(黃熟期)가 3.53으로 가장 낮았으며 호숙기(糊熟期)가 4.59로 가장 높았다 (P<0.01). 4. Total-N에 대(對)한 Ammonia 태(態) N의 비율은 출수기(出穗期)가 16.3%로 가장 많고 호숙기(糊熟期)는 9.2%로 가장 적었다. 5. 유기산함양(有機酸含量)은 절단(切斷)길이별(別)로는 일정치 않으나 황숙기(黃熟期)가 유산(乳酸)은 많고 낙산(酪酸)이 없어 가장 양질(良質)의 silage를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pH와 유산(乳酸)(r=-0.719), 총산(總酸)(r=-0.716)간(間)과 낙산(酪酸)과 Flieg's score(r=-0.872) 간(間)에는 부(負)의 상관(相觀)이 있었고(P<0.01), 유산(乳酸)과 총산(總酸)(r=0.990), 수분(水分)과 ammonia 태(態) N(r=0 767)간(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P<0.01).

  • PDF

옥수수 사일리지용 미생물의 발효능력 평가 (Evaluation of Fermentation Ability of Microbes for Corn Silage Inoculant)

  • 김종근;함준상;정의수;서성;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3-342
    • /
    • 2010
  • 옥수수는 우리나라에서 매우 중요한 사료작물이다. 대부분 사일리지 형태로 이용이 되고 있으며 많은 비율의 곡실을 함유하고 있어 반추가축의 우수한 사료로 이용된다. 본 시험은 옥수수 사일리지용 미생물 첨가제 개발을 위해 수집된 균주의 발효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양질의 옥수수 사일리지에서 선발한 젖산균을 0.02%의 Sodium azide가 들어있는 MRS 배지에 접종을 한 후 균을 분리하여 MRS broth에 접종하여 산 생성 능력을 조사하였다. 총 6종의 젖산균을 선발하였고 동정결과 C3-2, B13-1 및 CC9-1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C11-4는 Lactobacillus fermentum, B14-1은 Lactobacillus paracasei, 그리고 A3-1은 Leuconostoc lactis로 동정되었다. 선발된 5종의 균주와 시판되는 2종 첨가제 그리고 무처리구를 두고 황숙기에 수확된 옥수수에 접종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고 2개월 후에 개봉하여 분석한 결과 B13-1 및 CC9-1 처리구의 사일리지가 pH가 낮았고 젖산함량도 높았다. 프리그 점수와 품질등급에 있어서도 B13-1 및 CC9-1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Lactobacillus plantarum B13-1 및 CC9-1는 사일리지 접종제로 사용이 권장되었다.

보리 사일리지용 미생물의 발효능력 평가 (Evaluation of Fermentation Ability of Microbes for Whole Crop Barley Silage Inoculant)

  • 김종근;함준상;정의수;박형수;이종경;정민웅;최기춘;조남철;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5-244
    • /
    • 2009
  • 본 시험은 사일리지 조제시 품질 개선을 위한 젖산균 첨가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조사료 분석실험실에서 수행하였다. 보리는 한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서 대부분이 식량으로 이용되나 곡실부분이 많아 가축의 사료로도 활용되며 특히 총체보리로 하여 반추가축의 조사료로 활용되고 있다. 본 시험은 우량 보리 사일리지에서 젖산균을 수집하여 0.02% $NaN_2$가 함유된 MRS agar에 도말하여 생장을 보며 1차 선발한 후 MRS broth에서 다시 배양하여 생장 능력과 산생성 능력을 평가하여 총 4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그람 양성, 로드형, 카탈라제를 생성하지 않으며 생화학적 특성과 기질 이용성을 평가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다. 선발된 균주는 시중 판매되는 첨가제 등과 함께 호숙기의 보리 사일리지에 첨가하여 2개월후 사일리지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B2-2 미생물 처리구애서 pH가 낮았고 젖산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사일리지 품질 점수와 등급에 있어서도 B2-2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B2-2 균주는 보리 사일리지용 우량 미생물로 추천되었다.

논에서 생산된 옥수수의 수확시기가 곤포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Stage of Corn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Roll Baled Corn Silage Manufactured with Corn Grown in Paddy Land)

  • 최기춘;조남철;정민웅;이경동;김종근;임영철;김원호;오영균;최진혁;김천만;정두근;최종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5-74
    • /
    • 2011
  • 본 시험은 수확시기가 옥수수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옥수수 사일리지 전용 품종인 광평옥을 이용하여 숙기별 3회(유숙기, 황숙기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옥수수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조단백질과 TDN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섬유소인 NDF 및 ADF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숙기별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비슷하였다. 숙기별 사일리지의 pH는 3.8~4.0을 유지하였으며, 숙기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초산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젖산 함량은 증가되었다. 그리고 품질등급은 완숙기> 황숙기> 유숙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양질의 옥수수 원형 곤포사일리지 제조를 위해서는 황숙기에 수확하여 사일리지를 만드는 것이 옥수수 사일리지 발효를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