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33/KGFS.2011.31.1.65

Effect of Harvest Stage of Corn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Roll Baled Corn Silage Manufactured with Corn Grown in Paddy Land  

Choi, Ki-Cho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Jo, Nam-Chul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Jung, Min-Woong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Lee, Kyung-Dong (Dongsin University)
Kim, Jong-Geu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Lim, Young-Chul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Kim, Won-Ho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Oh, Yung-Keu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oi, Jin-Hyuk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Kim, Cheon-Ma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Jung, Du-Keu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oi, Jong-Ma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v.31, no.1, 2011 , pp. 65-7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harvest stage of corn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round baled corn silage manufactured with corn grown in paddy land of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2009 to 2010. Corn "Kwangpyungok" was harvested at three different growth times (milk, yellow ripen and ripen stage) and ensiled at each harvest stages. Crude protein (CP) and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contents of round baled corn silage was decreased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as not changed with delayed harvest maturity. However, contents of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NDF(neutral detergent fiber) decreased with delayed harvest maturity. The pH at three different harvest stages ranged from 3.8 to 4.0. The content of lactic acid increased with delayed harvest maturity, but the content of acetic acid decreased. And then, flieg's score reveals that there is an increase in order, ripen stage > yellow ripen stage > milk sta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hat round baled corn silage manufactured at yellow ripen stage can improve the silage quality.
Keywords
Corn; Silage; Round bale; Quality; Organic aci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teen, R.E.J., E.F. Unsworth, H.I. Gracey, S.J. Kennedy, R. Anderson and D.J. Kilpatrick. 1989. Evaluation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a commercial bacterial inoculant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3. Responses in growing cattle and interaction with protein supplementation. Grass Forage Sci. 44:381-390.   DOI
2 Jurgens, M.H. 1982. Animal feeding and nutrition. Kentall & Hunt Publishing, Inc. Virginia.
3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4 Hristove, A.N. and T.A. McAllister. 2002. Effect of inoculants on whole-crop barley silage fermentation and dry matter disappearance in situ. J. Anim. Sci. 80:510-516.   DOI
5 Keady, T.W.J. and R.W.J. Steen. 1994. Effects of treating low dry matter grass with a bacterial inoculant on the intake and performance of beef cattle and studies on its mode of action. Grass Forage Sci. 49:438-446.   DOI   ScienceOn
6 Manyawu, G.J., S. Sobanda, C. Mutisi, I.C. Chakoma and P.N. Ndiweni. 2003. Effect of prewilting and incorporation of maize meal on the fermentation of banagrass silage. Asian-Aust. J. Anim. Sci. 16(6):843-851.   DOI
7 Moore, J.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 of Florida, Depart. of Anim. Sci.
8 Patterson, D.C., C.S. Mayne, F.J. Gordon and D.J. Kilpatrick. 1997. An evaluation of an inoculant/enzyme preparation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for dairy cattle. Grass Forage Sci. 52:325-335.   DOI   ScienceOn
9 Pitt, R.E. 1990. Silage and hay preservation. National, Agriculture and Engineering Service (NRAES). Cooperative Extension. Cornell University.
10 Romahn. W. 1988. Big bale haylage fits our operation. Moard’s Adiryman. March 10. Hoard and sons company. Fort Akinson, Wisconsin. p.255.
11 Smith, E.J., A.R. Henderson, J.D. Oldham, D.A. Whitaker, K. Aitcheson, D. H. Anderson, and J. M. Kelly. 1993. The influence of an inoculant/enzyme preparation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offered in combination with three levels of concentrat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of lactating dairy cows. Anim. Prod. 56:301-310.   DOI
12 성경일, 김곤식, 이준우, 김병완, 김상록. 2005. 연천지역에 019 4135 T있어서 옥수수 사일리지의 개봉 후 경과기간에 따른 사료성분 및 발효품질. 한초지 25(1):43-50.
13 송태화, 한옥규, 윤성근, 박태일, 김경훈, 김기종. 2009. 청보리의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수 분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한국농개지 21(4):316-321.
14 송 진, 최윤희, 김정태, 이춘기, 손정록. 2007. 2006년 도입 밥쌀용 수입쌀 국내 유통 실태. 한작지 52(별책1):141-141.
15 임현진, 김종덕, 이현진, 전경협, 양가영, 권찬호, 윤세형. 2009. 예건이 수수${\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유기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유농지 17(4):519-527.
16 신재순, 김원호, 윤세형, 임영철, 임근발, 서 성. 2008. 중부지역 논에서 월년생 두과 사료작물의 생육특성 및 수량 비교. 한초지 28(1):13-18.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7 이정환. 2006. ’05 쌀값대란 해부. 인스티튜트, 시선집중 GSnJ, 8:1-17.
18 이정환, 김관수, 김명환, 김태균, 사공용, 안동환, 임정빈. 2006. 쌀 산업을 지배하는 원리 인스티튜트, pp. 1-186.
19 전영서. 2004. 농산물시장 개방화와 사회후생의 변화 -쌀시장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 13:111-129.
20 조익환. 2007. 유휴 논 토양에서 액상 우분뇨의 시용이 톨 페스큐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7(1):9-20.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1 지희정, 김원호, 김기용, 이상훈, 윤세형, 임영철. 2009a. 논에서 배수조건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한초지 29(4):329-336.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2 지희정, 이종경, 김기용, 윤세형, 임영철, 권오도, 이희봉. 2009b. 남부지방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한초지 29(1):13-18.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3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ed. Washington, DC. 15th ed.
24 Bevre, L. 1988. Silage making in round bales. Buscap Og Avdratt. 40(2):100-103. Norway
25 김원호, 신재순, 임영철, 서 성, 김기용, 이종경. 2005. 논에서 여름 및 겨울 사료작물의 최적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한초지 25(4):233-238.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6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강우성, 함준상, 이성철. 2000a. 제조 방법이 라운드베일 연맥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0(3):185-192.   과학기술학회마을
27 김종근, 정의수, 서 성, 함준상, 윤세형, 임영철. 2006a. 유산균제 첨가가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3):139-146.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8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강우성, 함준상, 김동암. 2001. 수확시 숙기가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1(1):1-6.
29 김종근, 정의수, 서 성, 함준상, 김맹중, 이종경. 2006b. 예건기간이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1):39-4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30 김종근, 서 성, 정의수, 강우성, 함준상, 김동암. 2000b. 수확시 숙기가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의 사료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0(4):215-316.
31 김종덕, 이현진, 전경협, 양가영, 권찬호, 성하균, 황보순, 조익환. 2010. 수확시기, 예건 및 싸라기 처리가 유기 청보리의 사초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30(1):25-3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32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김맹중, 이종경, 윤세형, 임영철, 조용민. 2008. 수확시기 및 품종이 총체 벼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8(1):29-3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33 김정갑, 진현주, 신재순, 정의수, 한민수. 1996. 봄 재배 연맥의 silage 제조 이용시 예건 및 formic acid 처리에 의한 품질개선 효과. 한초지 16(2):155-160.
34 농림수산식품부. 2010. 2010년 조사료대책 추진 관련 협의회 p24.
35 서진교, 이정환. 2009. [쌀 산업정책연구 시리즈 13] 한시가 급한 쌀 조기관세화. 인스티튜트, 시선집중 GSnJ, 72(1):1-17.
36 김원호, 이종경, 박형수, 황보순, 임영철, 지희정, 이효원, 윤봉기, 서 성. 2009. 논에서 생육특성 과 수량이 우수한 두과 사료작물 선발. 한초지 29(4):307-312.
37 김정갑, 한민수, 김건엽, 한정대, 강우성, 신정남. 1995.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건물 축적 형태와 곤포사일리지 조제이용. 한초지 15(3):157-230.
38 김상록, 김곤식, 우제훈, 이준우, 성경일. 2004. 연천지역에 있어서 생볏짚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부위별 사료성분 및 발효품질. 한초지 24(3):253-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