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ick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1초

Enhanced Local Anesthetic Efficacy of Bioadhesive Ropivacaine Gels

  • Cho, Cheong-Weon;Choi, Jun-Shik;Shin, Sang-Chu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3호
    • /
    • pp.357-363
    • /
    • 2011
  • In relieving local pains, ropivacaine has been widely used. In case of their application such as ointments and creams,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ir effects for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because they are easily removed by wetting, movement and contacting. Therefore, the new formulations that have suitable bioadhesion were needed to enhance local anesthetic effects. The effect of drug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drug release was studied from the prepared 1.5% Carboxymethyl cellulose (CMC) (150MC) gels using synthetic cellulose membrane at $37{\pm}0.5^{\circ}C$. As the drug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increased, the drug release increased. A linear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logarithm of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the reciprocal temperature. The activation energy of drug permeation was 3.16 kcal/mol for a 1.5% loading dose. To increase the skin permeation of ropivacaine from CMC gel, enhancers such as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pyrrolidones, propylene glycol derivatives, glycerides, and non-ionic surfactants were incorporated into the ropivacaine-CMC gels. Among the enhancers used, polyoxyethylene 2-oleyl ether showed the highest enhancing effects. For the efficacy study, the anesthetic action of the formulated ropivacaine gel containing an enhancer and vasoconstrictor was evaluated with the tail-flick analgesimeter. According to the rat tail-flick test, 1.5% drug gels containing polyoxyethylene 2-oleyl ether and tetrahydrozoline showed the best prolonged local analgesic effects. In conclusion, the enhanced local anesthetic gels containing penetration enhancer and vasoconstrictor could be developed using the bioadhesive polymer.

쥐에 대한 레이저 자극시 진통효과 (Laser Photobiostimulation-Induced Hypoalgesia in Rats)

  • 곽현호;김도형;최현희;이충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22
    • /
    • 1998
  • Laser photobiostimulation (LPBS) is one of the recent additions to therapeutic procedures used in chronic pain management. Though widely used, a clear understanding of its mechanism of action was not disclosed. In addition, the energy density that produces maximal benefit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PBS on pain relief in rat and to determine treatment dosage. Eight, 8-week old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employed.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a sham laser group, a 0.4 $J/cm^2$ laser group, a 2.0 $J/cm^2$ laser group, and a 6.0 $J/cm^2$ laser group. Ga-As laser (904 nm wavelength) of three different energy densities (0.4, 2.0, 6.0 $J/cm^2$) was applied on a tail acupuncture point and tail-flick latencies were measured five times pre-and post-treatment as following schedules: 30 minutes, 1 hour. 24 hours. 48 hours, and 7 days later. An increase in pain threshold was demonstrated following LPBS, employing rat tail-flick test. LPBS of 2.0 $J/cm^2$ produced hypoalgesia of rapid onset and short duration (1 hour, 24 hours) while the response to 6.0 $J/cm^2$ was delayed and lasted longer (48 hours, 7 days). LPBS of 0.4 $J/cm^2$ did not produce any hypoalgesia.

  • PDF

하키 페널티 코너 시 고등학교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간의 플릭슈팅 동작 비교 (A Comparision of Flick Shooting Motion in Penalty Corner between High School and National Players in Field Hockey)

  • 김호묵;우상연;김기운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99-50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페널티 코너 시 고등학교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간의 플릭 슈팅 동작을 비교 분석하여 페널티 코너 지도 시 운동학적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문 슈터 남자 고등학교 선수 5명과 국가대표 선수 6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페널티 코너 시 플릭 슈팅 동작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고등학교 선수에 비하여 스틱헤드 속도와 볼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고등학교 선수에 비하여 스틱으로 볼을 캐치하는 단계에서 오른발을 볼보다 앞쪽에 많이 내딛고, 볼을 앞쪽으로 길게 드래그하여 목표 방향으로 빠르게 보내고 있다. 고등학교 선수들은 국가대표 선수들에 비하여 볼을 캐치하는 단계에서 어깨의 각속도와 손목의 각속도 변화가 크고 동작 시간도 짧게 나타났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신체 무게 중심의 상하편차가 적으며 폴로스루 단계에서도 릴리즈 단계의 몸 숙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릴리즈 시점에서는 손과 전완의 각운동량이 고등학교 선수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A Simple and Convenient Method for the Synthesis of Olivetols

  • Baek, Seung-Hwa;Kim, Young-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2호
    • /
    • pp.272-274
    • /
    • 1993
  • The alkylated olivetol derivatives were prepared for evaluation as analgesic agents. Olivetol derivatives were proven to have analgesic activity by the acetic acid-induced writhing test and tail-flick test. These compounds were prepared by condensation of appropriate olivetols with cyclic allylic alcohols in the presence of $BF_3$-etherate on alumina.

초음파경혈요법의 진통소염효과 연구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no-acupoint Therapy)

  • 임사비나;손양선;진수희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176-188
    • /
    • 2002
  • Objective : Sono-acupoint (SA) therapy is a new therapeutic technique that combined with acupuncture points, herbal medicine and ultrasound therap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no-acupoint therapy. Methods : We performed the tail-flick test with normal rats to examine the tail-flick latency (TFL), and the Freund's adjuvant-induced arthritis rat model to examine the edema, skin temperature and serum concentration of c-reactive protein and rheumatoid factor (RF). Herbal SA (HSA) treatment was performed at bilateral Zusanli (ST36) with the hanbang-gel made of several selected herbal drugs in Sprague-Dawley rats (male, $250{\pm}30g$). General SA (GSA) treatment was performed at bilateral Zusanli (ST36) with the gel used in ultrasound therapy. In arthritis rat model, Freund's adjuvant (50mg/ml) was injected in dorsal part of right foot, and these treatments were performed after 15 days. Results : TFL was lengthened after SA treatments. Skin temperature and RF concentration that were the evidence of arthritis in rats were decreased by HSA treatment (P < 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SA has the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rats, and further developments will produce the advance of this new therapeutic skill.

  • PDF

Carrageenan유발 동통에 대한 전침의 빈도와 시간에 따른 완화 효과 (Comparative Studies of the Electroacupuncture with Different Frequency and Duration Time in the Carrageenan-injected Rats)

  • 최병태;최영현;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26-229
    • /
    • 2004
  • We investigated the comparative effect with different frequency and duration time of electroacupuncture(EA) for suppression of pain. Inflammation was induced by an intraplantar injection of 1 % carrageenan into the right hind paw. Bilateral EA stimulation with 2 Hz, 15 Hz and 120 Hz were delivered at those acupoints corresponding to Zusanli and Sanyinjiao in man via the needles in carrageenan-injected rats. The paw and tail thermal hyperalgesia were measured in 30-minute intervals after carrageenan injection using hot plate and tail flick analgesia meter,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any of EA frequencies examined. Especially 2 Hz EA presented more effective inhibitory effects compared with other frequency of EA in tail flick latency. The hyperalgesia induced by carrageenan was strongly inhibited by 2 Hz EA from 5 min post and reached sufficient effects from 20 min post EA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 treatment might be a useful therapy for mitigation of inflammatory pain.

Effects of Anticonvulsants on Acute and Tonic Pains in the Rat

  • Shin, Hong-Ke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30권1호
    • /
    • pp.97-104
    • /
    • 1996
  • Different neural substrates have been reported to be implicated in analgesic mechanisms in the acute phasic and the sustained tonic pains. To explore the differential antinociceptive action of diphenylhydantoin (DPH) and carbamazepine (CBZ) on the acute phasic and the tonic pains, changes in tail flick latency, hot plate latency and the formalin-induced nociceptive score were assessed prior to and 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DPH (20 & 40 mg/Kg) and CBZ (20 mg/Kg). In 11 rats, CBZ was administered repeatedly for 6 days at the dose of 20 mg/Kg/day. Also studied were the effects of strychnine and picrotoxin (1 mg/Kg, i.p.) on the CBZ-produced changes in the formalin-induced pain behaviors. The tail flick and hot plate ltencies were not changes after administration of DPH and CBZ. However DPH strongly suppressed the formalin-induced tonic pain. A single and the repeated administration of CBZ inhibited both the early phasic and the late tonic pain responses to formalin in n similar manner. On the other hand, the antinociceptive actions of CBZ were not altered by strychnine or picrotoxin. These experimental finding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DPH and CBZ have differential antinociceptive action on the acute and the tonic pains and that their antinociceptive actions are independent of the GABA- and glycine-receptors.

  • PDF

반복된 본드 흡입이 백서의 정상발육에 의한 체중증가와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ue Sniffing on Weight Increase or Central Nervous System of Young Rat)

  • 김헌;김선민;조수헌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2호
    • /
    • pp.222-230
    • /
    • 1993
  • 본드라고 불리우는 공업용 접착제는 수종의 유기용제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본드 흡입은 단일 유기용제 흡입과는 다른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공업용 접착제에서 휘발한 유기용제를 흡입하여 반복적으로 급성 중추신경계 억제증상에 이르렀던 어린 백서가 급성 중독증상이 소실된 후에도 체중증가의 둔화나 중추신경계 기능이상 혹은 만성 비가역적 중추신경계 이상이 유발되는가를 검증하고자 주령이 6주인 어린 웅성 백서 20 마리를, 폭로장치를 이용하여 $40^{\circ}C$의 평판위에서 가열한 30g의 본드에서 발생하는 유기용제 증기에 4주간에 걸쳐서 1회에 30분씩 21회 반복 폭로시켜서 폭로군으로 하였고. 이와 함께 동일한 주령의 백서 20마리를 같은 조건으로 대기에 폭로시켜서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후 6 개월동안 동일한 환경하에서 사육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라서 체중을 측정하였고 tail flick 검사, hot plate 검사, treadmill 검사를 실시한 다음 뇌를 적출하여 육안과 현미경으로 신경조직의 변화유무를 관찰하였다. 시간의 변화를 고려한 폭로군과 비교군간의 비교에서 체중 증가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tail flick 검사, hot plate 검사, rotarod treadmill검사 등의 결과에서는 양군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눈가림법을 적용한 현미경적인 비교에서나, 적출한 대뇌와 소뇌의 크기의 비교에서도 양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본드흡입은 정상발육에 의한 체중증가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본드흡입이 백서나 인체의 신경계에 영구적인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결론짓기는 어려우며. 다양한 폭로조건으로 연구를 시행한 후에만 이러한 가설에 대한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철과 Sc척도, Pt척도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때 비폭력범죄자와 정상 대조군 사이에서 일부 금속원소의 함량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금속원소 함량과 MMPI 척도와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폭력범과 비폭력범, 폭력범과 일반인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볼 필요성을 느낀다.으로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규폐증에서는 일반적인 건강진단 항목상의 신기능 검사에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은 경우라도 신장기능의 변화가 동반될 수 있으며, 요중 NAG 활성치를 분진 폭로 근로자에게 적용하면 산업보건학적 측면에서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매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견해를 보였으나 약국의료보험이용은 극히 저조하고 의사의 처방전 발행도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약국의료보험제도에서 의약분업제도로의 제도적 전환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의사와 약사의 의약분업에 대한 의견이 상이한 점으로 미루어 유추할 수 있지만 의약분업제도 실시의 장애요인으로 의 약사단체 상호간의 업권문제와 의약사간의 갈등이 지적되는 바, 이들 모두를 만족 할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쉬운일 아닐 것이므로 국민의 건강보호차원에서 정부의 중립적 의지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의 비율이 감소하였으나 본태성고혈압, 당뇨병, 폐결핵, 협심증 둥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일반외과의 경우에는 치핵, 항문열상, 종기 등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위암, 대장암, 담낭암 등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소아과의 경우 급성상기도염, 기관지염, 불명확한 장관감염 등의 비율은 감소하였고, 간질, 폐결핵, 천식, 임파성백혈병 등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의료전달체계가 실시됨으로써 3차 진료기관의 외래 방문 환자의 건수, 건당 진료기간, 건당 방문횟수, 건당 검사건수, 건당

  • PDF

평균대 백핸드 수완 동작 성.패 시 실수요인 규명 (Examination of the Flick-Flack Salto Backward Stretched of Success and Fall Occurs on the Balance Beam)

  • 소재무;김윤지;김용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7-146
    • /
    • 2008
  • 본 연구는 현 국가대표 선수들을 대상으로 평균대에서 백핸드 수완 동작의 성공과 실패를 운동학적 분석을 통해 비교하여 기술의 실수 요인을 규명하여 지도자 및 선수들에게 과학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경기력 향상에 기여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신체중심 변위와 속도 변화에서 실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좌우 신체중심 속도 변화와 수평과 수직 속도 변화로 나타났고 좌우 가속도 변화는 성공시 보다 실패시 동작이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E3과 E5에서 수평과 수직 가속도가 뒤 공중돌기와 착지구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간으로 나타났다. 성공과 실패시 차이가 나타난 각속도 변화는 머리와 견관절 결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머리와 견관절 각가속도를 가장 크게 해야 하는 순간은 E4라고 판단되며 이 구간에서 신체가 굴곡된 자세에서 순간적으로 신전하는 동작을 취할 때 머리와 견관절, 고관절 등 각 관절의 각가속도를 크게 증가시켜 공중 동작의 체공시간과 회전 반경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Analgesic and Antipyretic Activity of Stachys schimperi Vatke

  • Qasheesh, Mosa M.;Al-Rehaily, Adnan J.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24-28
    • /
    • 2006
  • The analgesic and the antipyretic activity of the methanol, chloroform, hexane and acetonitrile extracts of the aerial parts of Stachys schimperi Vatke were investigated in mice. The nociceptive response was tested using acetic acid-induced writhing and tail flick method; while hypothermia affect was examined via yeast-induced fever test. The chloroform extract at 500 mg and hexane and acetonitrile extracts at 250 mg produced significant analgesic and antipyretic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