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mable liquid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2초

Epidemiologic Analysis of Burns in Military Hospital

  • Choi, Jangkyu;Park, Sejin;Kim, Hyun Chul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0권4호
    • /
    • pp.145-157
    • /
    • 2017
  • Purpose: We accessed epidemioloy of 908 acute burns (7 years) in the military, of injuries and propose proper educational programs to suit community. Methods: We surveyed burn demographics, circumstances of injuries, size, result of treatment. Results: The mean age was 20.6 years. The flame burns (FB) (325, 35.8%) were most common, followed scald (SB) (305, 33.6%), contact (CB) (219, 24.1%), electric (EB) (45, 5.0%) and chemical burns (ChB) (14, 1.5%). The more occurred during winter (29.7%). SB had mean 3.9% total body surface area (TBSA). The 251 (82.3%) had superficial burns by spillage of hot water/food on lower limbs (45.6%), feet (33.8%) in summer (34.8%), treated with simple dressing (92.8%). Morbidity rate was 5.6%; post traumatic stress disease (PTSD) (0.7%). FB had large wound (9.3% TBSA). The 209 (64.3%) had superficial burns by ignition to flammable oils (31.7%) and bomb powders (29.2%) on head/neck (60.3%), hands (58.6%) in summer (31.7%), autumn (30.2%). They underwent simple dressing (83.4%) and skin graft (16.0%). Morbidity rate was 18.8%; PTSD (10.5%), inhalation injuries (4.0%), corneal injury (3.7%), amputations (0.9%), and mortality rate (1.2%). CB had small (1.1% TBSA), deep burns (78.5%) by hotpack (80.4%) on lower limbs (80.4%). The more (59.8%) underwent skin graft. EB had 6.8% TBSA. The 29 (64.4%) had superficial burns by touching to high tension cable (71.1%) on hand (71.1%), upper limbs (24.4%) in autumn (46.8%). They underwent simple dressing (71.1%) and skin graft (24.4%). They showed high morbidity rate (40.0%); loss of consciousness (13.3%), nerve injuries (11.1%), neuropathy (8.9%), amputations (2.2%), and mortality rate (2.2%). Conclusions: The cook should wear apron over the boots during work. The lighter or smoking should be strictly prohibited during work with flammable liquids or bomb powders. Don't directly apply hotpack to skin for a long time. Use insulating glove during electric work. Keep to the basic can prevent severe injury and proper education is important.

유성페인트의 화재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Assesment of Solvent-based Paints)

  • 이봉우;권성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7
    • /
    • 2017
  •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위험물질 가운데 인화성액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87 wt% 이상이며 그 중 사용량이, 가장 많은 혼합위험물은 페인트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페인트 제품의 제조, 저장 및 운송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위험물안전관리법과 국제 GHS 시험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고 다양한 유성페인트에 대한 위험성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들 간의 연관성을 찾아냈으며, 더 나아가 국내 실정에 맞는 위험성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을 제시하였다. 페인트는 인화점 시험, 가연성 액체량과 UN-연소지속성 시험 결과의 판정에 따라 위험물 또는 비위험물로 판정한다. 각각의 다른 수지가 사용되는 6종 유성페인트에 대하여 시험결과 그들은 고위험성을 갖는 제 류 위험물 및 제 류 위험물인 것으로 밝혀졌다.

Assessment of Sleep Deprivation and Fatigue Among Chemical Transportation Drivers in Chonburi, Thailand

  • Phatrabuddha, Nantaporn;Yingratanasuk, Tanongsak;Rotwannasin, Piti;Jaidee, Wanlop;Krajaiklang, Nari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2호
    • /
    • pp.159-163
    • /
    • 2018
  • Background: Fatigue and sleepiness are inter-related and common among road transport drivers. In this study, sleep deprivation and fatigue among chemical transportation drivers were examined.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surveying 107 drivers from three hazardous types of chemical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industries (nonflammable gases, flammable gases, and flammable liquids) was conducted. Data on sleep deprivation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of the Stanford Sleeping Scale and the Groningen Sleep Quality Scale. Fatigue was assessed using an interview questionnaire and a flicker fusion instrument. Results: Chemical drivers had a mean sleeping scale (Stanford Sleeping Scale) of 1.98 (standard deviation 1.00) and had a mean score of 1.89 (standard deviation 2.06) on the Groningen Sleep Quality Scale. High-risk drivers had higher scores in both the Stanford Sleeping Scale and the Groningen Sleep Quality Scale with a mean score of 2.59 and 4.62, respectively, and those differences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The prevalence of fatigue, as assessed through a critical flicker fusion analyzer, subjective fatigue question, and either of the instruments, was 32.32%, 16.16%, and 43.43%, respectively. Drivers who slept <7 hours and had poor sleep quality were found to have more fatigue than those who slept enough and well. Drivers who had a more sleepiness score resulted in significantly more objective fatigue than those who had a less sleepiness score. Conclusion: Sleep quality and sleeping hour can affect a driver's fatigue. Optimization of work-rest model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productivity, driver retention, and road safety.

액체의 특성 분류를 위한 스펙트럼 분석 방법 (Spectral Analysis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Liquid Characteristics)

  • 이종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206-2212
    • /
    • 2016
  • 액체의 특성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액상 물질의 유전율의 차이 등에 따른 특징적인 현상들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러한 현상들을 원격으로 탐지하여 추출할 수 있다면 폭발 가능성이 있는 위험물질의 검색이나 액체의 종류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전자파 신호를 이용하여 액체의 반사 및 투과신호를 하나의 송신 안테나와 2개의 수신 안테나에서 획득하여 분석하였다. 반사 또는 투과신호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주파수별 응답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기존의 FFT 스펙트럼 추정방식은 주파수 해상도 문제 및 윈도잉에 의한 왜곡 때문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유벡터 해석 기법을 이용한 고해상도 스펙트럼 추정 및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들로부터 투과 또는 반사경로 들에 따른 액체의 종류별 첨두치 주파수들 및 대응전력 값들을 비교함으로서 다양한 액체들의 분류가 가능함을 보였다.

산화성고체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Hazardous Properties of the Oxidizing Solids)

  • 이봉우;박철우;송학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9-16
    • /
    • 2009
  •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과 산업발달에 따라 화학물질, 위험물의 사용, 저장 및 운송물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인류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인화성, 폭발성 등의 잠재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세계 각국은 물질의 분류와 표시가 달라 국제무역에서 많은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위험물에 대한 국제적인 시험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며 시험데이터를 기준으로 선택가능방식(Building Block Approach)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국내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는 위험물을 산화성고체, 가연성고체,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인화성액체, 자기반응성물질, 산화성액체로 분류하고 있다. 1차적으로 산화성고체 35종에 대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한 시험방법, UN시험방법으로 시험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들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국제적으로 분류하여 국내실정에 적합한 산화성고체 시험방법을 제시하였다.

리튬 이온전지의 안전성을 구현하기 위한 난연성 전해액의 설계 (Design of Non-Flammable Electrolytes for Highly Safe Lithium-Ion Battery)

  • 최남순;김성수;나루카와 사토시;신순철;차은희
    • 전기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3-218
    • /
    • 2009
  •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 인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대용량 전력공급을 요하는 영역으로의 리튬 이온전지의 응용을 위해서는 우수한 전지 신뢰성 및 안전성이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전지 구성 성분들은 대전류가 흐르는 조건 하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열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리튬 염을 해리하는 기능을 갖는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는 휘발성이 높고, 가연성 물질이기 때문에 오용 조건에서 전지의 발화, 폭발 등과 같은 열폭주 현상을 억제하지 못하고 연료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지의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최근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수단으로 난연성 소재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난연성 전해액을 설계하기 위한 최근 연구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액체 전해액의 난연화는 유기용매 일부를 난연성 소재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난연제, 불소화 유기용매 및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는 접근방법을 통해 전지의 고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CFD 기반 인화성 액체 누출 시 최적의 환기구 배치 도출 방안 (Method to Derive the Optimal Vent Position when Flammable Liquid Leaks Based on CFD)

  • 김은희;안승효;이준서;마병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8
    • /
    • 2024
  • 인화성 액체가 누출되면 풀에서 증발된 증기로 인해 근로자들에게 중독이나 질식 등의 피해를 불러올 수 있으며 화재나 폭발 등의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실내 작업장을 설계할 때 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 누출된 화학물질의 특성에 따라 거동이 상이하므로 물질에 따른 적합한 환기구의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최적의 환기구 배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3D CFD 시뮬레이션을 도입하였고 환기구 배치에 따른 환기효율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내 작업장에서 인화성 액체가 누출되어 풀을 형성하는 상황을 가정하였고 풀에서 증발된 증기의 농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환기구 배치를 도출하였다. 증기밀도가 큰 톨루엔을 대상물질로 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상부급기-하부배기일 때 환기효율이 가장 높아 동일한 유지비용으로 약 3.7배의 환기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업장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적용하여 환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oluene, Methylcyclohexane, n-heptane 그리고 Ethylbenzene 이성분 혼합계에 대한 101.3 kPa에서의 인화점 측정 (Measurement of Flash Point for Binary Mixtures of Toluene, Methylcyclohexane, n-heptane and Ethylbenzene at 101.3 kPa)

  • 황인찬;인세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19-24
    • /
    • 2017
  • 인화점은 산업현장에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의 하나로 안정성 평가 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무제조 공정에서 주로 쓰이는 이성분계 혼합물 중 {toluene+ethylbenzene}, {methlycyclohenxane+ethylbenzene} 그리고 {n-heptane+ethylbenzene} 대한 인화점을 101.3 kPa에서 SETA 밀폐식 인화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이성분계에 대하여 Raoult's의 법칙, Wilson, NRTL 및 UNIQUAC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혼합물에 대한 인화점 예측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모든 예측값과 실험값은 유사한 값을 보였고 편차가 1.74 K이내의 결과를 보였다.

노말부탄올과 2차부탄올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utoignition Temperature of n-Butanol and sec-Butanol System)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8-53
    • /
    • 2012
  •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가연성액체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중요한 지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ASTM E659 장치를 이용하여 가연성 혼합물인 n-Butanol+sec-Butanol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2성분계를 구성하는 순수물질인 n-Butanol과 sec-Butanol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각 각 $340^{\circ}C$, $447^{\circ}C$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측정된 n-Butanol+sec-Butanol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값과 적은 평균절대오차에서 일치하였다.

Propionic acid와 3-Hexanone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의 측정 (Measurement of Autoignition Temperature of Propionic Acid and 3-Hexanone System)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44-49
    • /
    • 2014
  • 혼합물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가연성액체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중요한 지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ASTM E659 장치를 이용하여 가연성 혼합물인 Propionic acid와 3-Hexanone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2성분계를 구성하는 순수물질인 Propionic acid와 3-Hexanone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각 각 $511^{\circ}C$$425^{\circ}C$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측정된 Propionic acid와 3-Hexanone 혼합물의 최소자연발화온도 실험값은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값과 적은 평균절대오차에서 일치하였다. 그리고 Propionic acid와 3-Hexanone 계는 일부 혼합 조성에서 두 개의 순수물질 가운데 작은 AIT 보다 낮게 측정된 AIT를 보이는 최소자연발화온도거동(Minimum Autoignition Temperature Behavior, MAITB)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