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mable liquid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6초

회분식 공정에서 스플래쉬 필링(Splash Filling) 작업으로 인한 화재·폭발 사고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ention Measures against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during Splash Filling in Batch Process)

  • 김상령;이대준;김정덕;김상길;양원백;임종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39
    • /
    • 2020
  • 일반적으로 인화성 액체를 사용하여 제품을 만들어 내는 회분식 반응 공정에서는 작업 후 반응기 세척(Cleaning) 시 제품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원료인 인화성 액체를 일정압력으로 분사하여 반응기 벽면 등을 세척하는 스플래쉬 필링(Splash Filling) 형태의 작업 방법을 적용한다. 이러한 작업과정에서 인화성 액체의 미스트 등이 발생하여 폭발하한계가 낮아지며 유동대전, 충돌대전, 분출대전과 같이 여러 형태의 복합 대전에 따른 방전현상으로 화재·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사고사례를 바탕으로 회분식 공정에서 톨루엔을 통한 스플래쉬 필링(Splash Filling) 형태의 작업 시 위험성을 파악하고 당량법을 이용한 폭발영향분석을 수행하여 사고결과를 분석하여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상시적 불활성화, 세척 방법 개선, 탄탈럼 사용 등의 예방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반도체 소재 제조 공정에서 아세트산 취급 작업 시 발생한 화재·폭발 사고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entive Measures for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During Acetic Acid Handling in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Material)

  • 이대준;김상령;김상길;박교식;이준원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5-70
    • /
    • 2023
  • 반도체 공급설비에 사용되는 인화성 물질은 고온·고압에서 제조되는데, 반도체 산업이 정밀화, 대형화되면서 사용되는 물질의 양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반도체 소재 제조 공정에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원료인 아세트산 취급 작업 도중 화재·폭발이 발생하였는데, 원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인식 부족, 원재료 간의 이상반응 가능성 검토 부족, 스플래쉬 필링이 일어날 수 있는 설비의 장치 부족, 화재·폭발 예방을 위한 공기 유입 방지 부족 등 전체적으로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생한 사고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인화성 액체를 다량 취급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하여 Hopper와 같은 설비 구축, AOPS 구성설치, 근로자의 인식 변화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알코올류 등의 액체 혼합물에 대한 인화 및 연소 위험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isk of Flammability & Combustion of Liquid Mixtures such as Alcohols)

  • 고재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34-647
    • /
    • 2019
  • 연구목적: 현재 많은 화학물질들이 산업 및 실생활에서 사용하고 있고, 단일 물질의 상태로 사용하는 물질도 많으나, 대부분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물질들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위험물안전관리법 위험물 판정 기준"에 대한 세부내용의 실효성확보 및 위험물 판정의 신뢰성 및 재현성 확보를 목적으로 인화성 혼합물에 대한 실험적연구를 통해서 혼합물에 대한 위험성 판단기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알코올류 인화점의 경우 비가연성 액체인 물과 혼합되었을 때. 알콜 기준으로 60%를 전후로 비슷한 인화점 추이를 나타내었고, 또한 가연성-가연성 혼합물의 경우에 있어서는 두 물질의 인화점차이가 크지 않으면 인화점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두 물질의 인화점차이가 낮으면 인화점이 높은 물질의 증가에 따라 인화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결과: 향후 본 실험결과는 소방현장에서 단속되는 인화성 액체 대한 실험적 판정 기준에 대한 참고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n-Decane과 Acetic acid 혼합물의 최소자연발화온도 거동 (The Minimum Autoignition Temperature Behavior(MAITB) of n-Decane and Acetic acid Mixture)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9-54
    • /
    • 2013
  • The autoignition temperature(AIT) is important index for the safe handling of flammable liquids which constitute the solvent mixtures. This study measured the AITs and ignition delay time for n-Decane and Acetic acid system by using ASTM E659 apparatus. The AITs of n-Decane and Acetic acid which constituted binary system were $212^{\circ}C$ and $512^{\circ}C$,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AITs of n-Decane and Acetic acid system were a good agreement with the calculated AITs by the proposed equations with a few A.A.D.(average absolute deviation). And n-Decane and Acetic acid system was shown the minimum autoignition temperature behavior(MAITB).

톨루엔과 2-부탄올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의 측정 및 예측 (Prediction and Measurement of Autoignition Temperature of Toluene and 2-Butanol System)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3-78
    • /
    • 2015
  • The autoignition temperatures(AIT) of solvent mixture is important index for the safe handling of flammable liquids which constitute the solvent mixtures. Therefore, the AITs of common pure chemical substances are widely reported, but very limited data are available for mixtures. This study, the toluene and 2-butnaol system which used mixture solution solvent was measured the AIT and ignition delay time by using ASTM E659 apparatus. The AITs of toluene and 2-butanol constituted binary system were $547^{\circ}C$ and $400^{\circ}C$,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AIT of toluene and 2-butanol were a good agreement with the calculated AIT by the proposed equations with a few average absolute deviation(A.A.D.).

클리브랜드 개방식 장치를 이용한 2성분계의 인화점 (Flash Points of the Binary Solutions Using Cleveland Open Cup Tester)

  • 하동명;이성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57-62
    • /
    • 2011
  • 인화점은 공정안전을 평가할 때 산업공정에서 가연성 액체의 중요한 연소 특성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클리브랜드 개방식 장치를 사용하여 n-propanol + formic acid계와 acetic acid + propionic acid계의 인화점을 측정하였다. 실험값은 Raoult의 법칙과 최적화 기법에 의해 추산된 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최적화 기법에 의한 추산값이 Raoult의 법칙에 의한 추산값 보다 실험값에 더욱 근접하였다.

정전기 방전에 의한 개소린-공기혼합기체의 최소착화에너지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The Minimum Ignition Energy for Electrostatic Discharge in The Gasoline-air Mixture)

  • 황명환;이덕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9
    • /
    • 1996
  • Electrostatic charge is generated in large scale or high speed processes dealing with materials with large resistance, or under complicated condition. Fire and explosion often occur due to electrostatic charge accumulated in flammable gases, vapor, liquids and powder. It is usually very difficult to verify the cause of accidents as well as the prevention.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needle electrode needs the electrode gap from 1.8mm to 3.8mm, sphere electrode and plate electrodes need the electrode gap of 1.9mmfor the minimum ignition energy. The sphere electrode and the plate electrode requires 12.8mJ and 3.2mJ of minimum ignition energy respectively with the electrode gap of 1.1mm. The ignition voltage rises to very large value as the ground resistance increases.

  • PDF

현상학적 관찰에 의한 연소패턴의 식별에 관한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crimination of Fire Pattern by the Phenomenological Observation (Focused on the Fire Cases))

  • 최돈묵;최승복;최재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98-110
    • /
    • 2009
  • 화재현장은 바람의 방향과 세기, 가연물의 조건, 건물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소훼형태가 변하기 때문에 발화부와 화재원인을 판단함에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조사자들이 곤란을 겪고 있는 환기지배와 연료지배에 따른 연소형태, 인화성물질에 의한 바닥재의 탄화형태와 낙화(落火)물에 의한 연소흔적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조사방법을 제시하였다.

인화성액체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Hazardous Properties of Flammable liquids)

  • 이봉우;박철우;송학;김학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76-285
    • /
    • 2009
  •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의 국제표준화시스템(GHS)을 조기에 구축하고 국내에 사용하는 화학물질을 보다 안전하게 제조,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과 GHS시험 방법으로 다양한 인화성액체 시험을 실시하여 이들의 결과에 대한 연관성을 도출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국제표준화 시험방법을 선택가능방식(Building Block Approach)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위험물의 80%를 차지하는 인화성액체의 분류에 필요한 시험은 인화점이 가장 중요한 요소지만, 도료류와 같은 혼합물은 가연성액체량과 GHS-연소지속성에 따라 위험물/비위험물로 분류될 수 있다. 도료류는 두 시험의 분류결과가 대부분 비슷하게 나타나 GHS-연소지속성시험을 선택가능방식을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하게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2-Butanol, 2,2,4-Trimethylpentane, Methylcyclohexane 그리고 Toluene 이성분 혼합계에 대한 101.3 kPa에서의 인화점 측정 (Measurement of Flash Point for Binary Mixtures of 2-Butanol, 2,2,4-Trimethylpentane, Methylcyclohexane, and Toluene at 101.3 kPa)

  • 황인찬;인세진
    • 청정기술
    • /
    • 제26권3호
    • /
    • pp.161-167
    • /
    • 2020
  • 가연성 물질을 사용하는 화학공정 산업에서 저장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 및 폭발 예방 조치를 설계하려면 신뢰할 수 있는 인화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석유화학 공정에서 중요한 용매와 가솔린의 옥탄가 향상제로 사용되는 방향족, 나프텐 및 파라핀계 탄화수소 화합물과 알킬알코올에 대한 이성분 혼합물의 인화점 데이터를 얻는 것이다. 그래서 이성분 혼합물인 {2-butanol + 2,2,4-trimethylpentane}, {2-butanol + methylcyclohexane} 그리고 {2-butanol + toluene} 계에 대한 최소인화점을 Stanhope-Seta 밀폐식 인화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이성분계 혼합물에 대한 인화점을 예측하기 위해 이상성인 라울의 법칙(Raoult's law)과 비이상성인 Wilson, NRTL 그리고 UNIQUAC 매개변수를 이용하였고 실험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이상성을 나타내는 라울의 법칙(Raoult's law)보다 비이상 용액 혼합물의 활동도 계수 모델에서 2.36 K 이하의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연성 혼합물을 함유한 석유화학 용매의 안전한 저장 및 공정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