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mable liquid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3초

The Lower Flash Points of the Flammable and Non-flammable Liquid Mixture

  • Choi, Yong-Chan;Kim, Seung-Jong;Shin, Yong-Bum;Kim, Han-Dol;Jung, Se-Hoon;Lee, Sung-Jin;Ha, Dong-Myeong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7-212
    • /
    • 2003
  • The flash point are used to classify combustible liquids according to their relative flammability. The regulations for the safe handl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such substances are dependent on this classification, and the flash points are therefore of great important in the chemical industry.(omitted)

  • PDF

파라크실렌과 에폭시수지 혼합물의 인화점에 관한 연구 (Flash Point of p-xylene and Epoxy Resins Mixtures)

  • 윤희승;강민호;하동명;정국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78-82
    • /
    • 2000
  • The flash point is an important property and hazardous index of a flammable liquid. The flash points are used by virtually all the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organizations in both government and industry to classify flammable liquids for safety and transportation regulations. The basics of all flash points behavior are concerned with the vapor pressure and explosive limits. The flash points of pure components and the mixture of solvents can be calculated with the use of the laws of Raoult, Dalton and Le Chatelier. In this paper, experimentally determined lower flash points of a p-xylene and epoxy resin system wer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values by using Raoults law. Calculated lower flash points were in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 observed values.

  • PDF

가상체적을 이용한 폭발위험장소 구분의 타당성 검토 (Validity Review on Classification of Explosion Hazardous Area using Hypothetic Volume)

  • 임지표;정창복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75
    • /
    • 2014
  • It is very important to classify explosion hazardous area (EHA) suitably and to use proper explosion-proof electric installations for facilities using flammable gases and liquids. In the past, various examples in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ere referred to in classifying EHA. But, at present, many companies use the hypothetical volume in Korean Standards (KS). This study reviews the validity of EHA classification based on the hypothetical volum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adii of EHA with those obtained by a consequence analysis program called PHAST and a mathematical approach in British Standards (BS). The radii of EHA by the hypothetical volume were foun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ose by the other two methods. This was attributed to rather conservative uses of a safety factor(k) and a correction factor(f) for availability of ventilation in calculating the hypothetical volume. Since the differences are not so conspicuous, however, it is concluded that the hypothetical volume in KS is a valid means for the classification of EHA. This study also presents a table of the radii of EHA for easy reference by small-scale companies using city gas, C3-LPG and flammable liquid(toluene), respectively. The table consists of 25 leakage scenarios corresponding to combinations of 5 pipe(nozzle) sizes and 5 operating conditions for each flammable gas and liquid.

가연성물질의 인화점에 관한 연구 -용액론에 의한 3성분계의 인화점 예측을 중심으로- (A Study on Flash Points of a Flammable Substancea - Focused on Prediction of Flash Points in Ternary System by Solution Theory -)

  • 하동명;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4-20
    • /
    • 2001
  • 인화점은 가연성물질의 화재 및 폭발의 잠재위험성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기초적인 특성치 가운데 하나이다. 인화점의 구분은 혼합용제를 구성하는 가연성액체를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모든 인화점 거동의 기초는 증기압과 폭발한계이다. 가연성혼합용제의 인화점은 라울의 법칙, 달톤의 법칙, 르샤틀리에 법칙 그리고 활동도계수 모델을 사용함으로서 계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3성분계의 하부인화점의 문헌값을 라울의 법칙과 MRSM 모델에 의해 계산된 값과 비교하였다. 3성분계의 하부인화점의 자료는 라울의 법칙과 MRSM 모델에 의해 예측된 값과 거의 일치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에 의해 가연성혼합용제의 인화점 실험자료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 PDF

가연성물질의 인화점에 관한 연구- 1. 순수성분 및 2성분계 혼합물- (A Study on Flash Points of Flammable Substances- 1. Pure Substances and A Mixture of Binary System -)

  • 하동명;목연수;최재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19
    • /
    • 1999
  • 인화점은 일반적으로 가연성액체의 화재 및 폭발의 위험지수로써 사용된다. 인화점의 구분은 혼합용제와 같은 가연성액체를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순수성분 및 혼합용제의 인화점은 라울의 법칙, 달톤의 법칙, 르 샤틀리에 법칙 그리고 활동도계수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2성분계인 메칠에칠케톤과 톨루엔계의 하부인화점과 상부인화점의 실험자룔르 라울의 법칙과 van Laar식에 의해 계산된 값과 비교하였다. 순수물질의 실험자료는 증기압과 폭발한계에 의해 계산된 예측값과 일치하였다. 메칠에칠케톤과 톨루엔계의 하부인화점의 실험자료는 라울의 법칙에 의해 예측된 값과 일치하였고, 상부인화점의 실험자료는 van Laar식에 의해 예측된 값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제시한 방법론에 의해 가연성혼합용제의 인화점 실험자료의 신뢰도 평가가 가능하다.

  • PDF

화학물질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Hazardous Properties of the Chemicals)

  • 이봉우;박철우;송학;최정수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62-269
    • /
    • 2008
  • Chemical products have had an favorable influence on our everyday life, and contributed very much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of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ique the using chemical product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Chemical products can have any hazardous property such as flammability or explosiveness. There are occurring many accidents in the international trade due to the different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produced in various countries.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he development of global standard test methods for the chemicals, and the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in building block approach by means of the basic technical data. Oxidizing solids, combustible solids, spontaneously combustible materials, water-prohibitive materials, flammable liquids, self-reactive materials and oxidizing liquids have been tested. The result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azard material safety regulation and the UN regulation, and summarized in a data-base.

  • PDF

인화성액체의 겔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lation properties of the flammable liquids)

  • 강영구;정문호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85-188
    • /
    • 1998
  • 인화성액체는 공장가동에 필요한 연료,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세척제$\cdot$용제, 원료 등 거의 모든 화학공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인화성 액체는 소방법에서 제4류로,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인화성물질로, 선박안전법에서는 선적액체 위험물 중 인화성액체 물질로 각각 구분되어 제조, 저장, 취급, 운반, 이송시 지정수량과 저장, 취급방법의 규제 등으로 엄격히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가연성 액체의 인화점 추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flash point determination for Alcohols & Aromatic Compounds.)

  • 최세환;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4-28
    • /
    • 1993
  • The flash point for flammable liquids (alcohol, aromatic compounds) were measured by Penskt-Martens's measuring apparatus with closed cup.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 flash points had the regular tendency according to the carbon number and the molecular structure. Consequently, the flash point for the alcohol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carbon number and branch numb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terature and experimental data are 14.6% for the relative error and 3.46$^{\circ}C$ in average for the measuring temperature.

  • PDF

인화성 가스를 취급하는 반도체 제조장비에 설치된 가스박스 최적 환기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Ventilation Design for Gas Boxes Installed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Handling Flammable Liquids)

  • 조규선;김상령;양원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3-69
    • /
    • 2023
  • 대한민국은 세계 1위의 반도체 생산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산업 보호를 위한 현장의 폐쇄성으로 대부분의 연구가 단순한 물질 위험에 대한 위험성평가로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 안전 측면에서 유해위험물질의 누출 상태를 파악하는 가스 감지기 등의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구축하고 있으나, 누출 시 유해위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배기하기 위한 연구는 최근에서야 시작되었다. 인화성 물질이 다량 취급되는 반도체 제조설비(가스박스)는 현재 가스 감지기 및 공기투입구를 막는 방법으로 안전관리를 하고 있는데, 공기투입구가 없으면 박스 내부를 음압으로 관리할 수는 있으나 내부 기류가 원활히 생성되지 않아 인화성 물질 누출 시 단시간 희석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기준들을 기본으로 하여 가스박스 규모에 따른 덕트 사이즈의 결정, 공기 투입구의 적정크기 연구를 통하여 인화성 누출 시 유해화학물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배기 성능 요구량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최적 배기 설계를 해보고자 한다.

노말데칸과 에틸벤젠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utoignition Temperature(AIT) of n-Decane+Ethylbenzene System)

  • 이재화;김귀주;홍순강;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4-60
    • /
    • 2015
  •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가연성물질이 주위의 열에 의해 스스로 발화하는 최저온도이다. 최소자연발화온도는 유기혼합물중 가연성 액체혼합물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중요한 지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ASTM E659 장치를 이용하여 가연성 혼합물인 노말데칸과 에틸벤젠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이성분계를 구성하는 노말데칸과 에틸벤젠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각 각 $210^{\circ}C$, $430^{\circ}C$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측정된 노말데칸과 에틸벤젠 혼합물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값과 약 $11^{\circ}C$평균절대오차에서 일치하였다.